$\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핑거루트(Boesenbergia pandurata) 추출물의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내장 지방 축적에 대한 효능
Fingerroot (Boesenbergia pandurata) Extract Inhibits the Accumulation of Visceral Fat in C57BL/6J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 2013년, pp.26 - 32  

명길선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  안영태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  이명희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  박도영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  안영민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  허철성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우스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면서 핑거루트 추출물(BPE)의 비만 억제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57BL/6J 마우스를 두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8주 동안 각각 고지방식이와 고지방식이에 0.5%의 BPE를 보충한 식이를 급여하였다. BPE는 식이섭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체중증가를 줄이고,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였다. 또한 BPE를 급여한 군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중 지질, 간지질의 축적, 혈중 렙틴 농도를 감소시켰다. RT-PCR 분석 결과, 부고환지방내에서의 $C/EBP{\alpha}$$PPAR{\gamma}2$의 발현수준이 고지방식이 대비 각각 1.30배와 1.16배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BPE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내장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고, 이상지질혈증 개선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esenbergia pandurata (Roxb.) Schltr.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esenbergia pandurata extract (BPE) in a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model. C57BL/6J mice were fed with either the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마우스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면서 핑거루트 추출물(BPE)의 비만 억제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57BL/6J 마우스를 두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8주 동안 각각 고지방식이와 고지방식이에 0.
  • 최근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쥐에서 핑거루트의 활성성분 중 하나인 panduratin A가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의 활성화를 통하여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 본 연구에서는 핑거루트 추출물(BPE)의 체중증가 예방효과를 in vitro 및 in vivo에서 확인하고 분자생물학적 작용기전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a,bMeans not sharing a common superscrip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떻게 유발됩니까? 비만은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서 유발된다. 비만은 산업화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대사 질환 중의 하나이며, 체내지방 축적, 특히 내장 지방의 축적은 이상 지질혈증, 포도당 대사장애, 인슐린 항상성, 고혈압 등과 같은 대사이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
국내에서 핑거루트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습니까? 또한 핑거루트는 항균, 항염증, 항산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다고 보고되었다(5-7). 또한 국내에서도 산화방지제나 피부 보습제, 구강청결제 등의 형태로 제품에 이용되고 있고, 식품공전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으나 식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남아시아에서는 이미 식용경험이 풍부한 상태였다. 최근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쥐에서 핑거루트의 활성성분 중 하나인 panduratin A가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의 활성화를 통하여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어떻게 나눌 수 있습니까? 비만은 산업화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대사 질환 중의 하나이며, 체내지방 축적, 특히 내장 지방의 축적은 이상 지질혈증, 포도당 대사장애, 인슐린 항상성, 고혈압 등과 같은 대사이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보통 에너지 섭취를 조절하고 적당한 운동을 병행하는 등의 일반적인 생활 습관 개선 이외에도 약물을 통해 비만을 치료하기도 하는데,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식욕억제제와 지방의 흡수를 저해하는 약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약들은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어 최근 안전한 식품소재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mieux S. 2001. Contribution of visceral obesity to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Can J Appl Physiol 26: 273-290. 

  2. Kim YJ, Kim KY, Kim MS, Lee JH, Lee KP, Park T. 2008. A mixture of the aqueous extract of Garcinia cambogia, soy peptide and L-carnitine reduces the accumulation of visceral fat mass in rats rendered obese by a high fat diet. Genes Nutr 2: 353-358. 

  3. Pang J, Choi Y, Park T. 2008. I lex paraguariensis extract ameliorates obesity induced by high-fat diet: potential role of AMPK in the visceral adipose tissue. Arch Biochem Biophys 476: 178-185. 

  4. Fujikawa T, Hirata T, Wada A, Kawamura N, Yamaquchi Y, Fugimura K, Ueda T, Yrugi Y, Soya H, Nishibe S. 2010. Chronic administration of Eucommia leaf stimulates metabolic function of rats across several organs. Br J Nutr 104:1868-1877. 

  5. Taweechaisupapong S, Singhara S, Lertsatitthanakorn P, Khunkitti W. 2010. Antimicrobial effects of Boesenbergia pandurata and Piper sarmentosum leaf extracts on planktonic cells and biofilm of oral pathogens. Pak J Pharm Sci 23: 224-231. 

  6. Yanti, Anggakusuma, Gwon SH, Hwang JK. 2009. Kaempferia pandurata Roxb. inhibits Porphyromonas gingivalis supernatant-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expression via signal transduction in human oral epidermoid cells. J Ethnopharmacol 123: 315-324. 

  7. Yanti, Rukayadi Y, Lee KH, Hwang JK. 2009. Activity of panduratin A isolated from Kaempferia pandurata Roxb. against multi-species oral biofilms in vitro. J Oral Sci 51:87-95. 

  8. Kim D, Kim MS, Sa BK, Kim MB, Hwang JK. 2012. Boesenbergia pandurata attenuates diet-induced obesity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regulating lipid metabolism. Int J Mol Sci 13: 994-1005. 

  9. Yun JM, Kwon H, Hwang JK. 2003.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anduratin A isolated from Kaempferia pandurata in RAW264.7 cells. Planta Med 69: 1102-1108. 

  10.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1. Hsu CL, Yen GC. 2006. Induction of cell apoptosis in 3T3- L1 pre-adipocytes by flavonoids is associated with their antioxidant activity. Mol Nutr Food Res 50: 1072-1079. 

  12. Harmon AW, Harp JB. 2001. Differential effects of flavonoids on 3T3-L1 adipogenesis and lipolysis. Am J Physiol Cell Physiol 280: C807-C813. 

  13. Shindo K, Kato M, Kinoshita A, Kobayashi A, Koike Y. 2006.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contained in the Boesenbergia pandurata Schult. Rhizome. Biosci Biotechnol Biochem 70: 2281-2284. 

  14. Sohn JH, Han KL, Lee SH, Hwang JK. 2006. Protective effects of panduratin A against oxidative damage of tert-butylhydroperoxide in human HepG2 cells. Biol Pharm Bull 28: 1083-1086. 

  15. Rayalam S, Della-Fera MA, Baile CA. 2008. Phytochemicals and regulation of the adipocyte life cycle. J Nutr Biochem 19: 717-726. 

  16. Schaffler A, Scholmerich J, Buchler C. 2005. Mechanisms of disease: adipocytokines and visceral adipose tissueemerging role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t Clin Pract Gastroenterol Hepatol 2: 273-280. 

  17. Tamori Y, Masugi J, Nishino N, Kasuga M. 2002. Role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in mainten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mature 3T3-L1 adipocytes. Diabetes 51: 2045-2055. 

  18. Fajas L, Fruchart JC, Auwerx J. 1998.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genesis. Curr Opin Cell Biol 10: 165-173. 

  19. Sidell RJ, Cole MA, Draper NJ, Desrois M, Buckingham RE, Clarke K. 2002. Thiazolidinedione treatment normalizes insulin resistance and ischemic injury in the Zucker fatty rat heart. Diabetes 51: 1110-1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