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저유량 산소 요법에서 비가습 적용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Non-humidified Low Flow Oxygen Therapy by Nasal Cannula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1, 2013년, pp.87 - 94  

남애리나 (아주대학교의료원) ,  배우현 (아주대학교의료원) ,  박미미 (아주대학교의료원) ,  고은정 (아주대학교의료원) ,  박병남 (아주대학교의료원) ,  박정옥 (아주대학교의료원) ,  임지영 (아주대학교의료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non-humidified low flow oxygen by nasal cannula and to provide a guide for consistent care in nursing practice. Methods: A methodolog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with experts' opinions on collected items, framing PICO qu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미국과 영국에서는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 산소요법에 대한 권고사항이 정립되어 실행되고 있으나(Kallstrom, 2002; O’Driscoll, Howard, & Davison, 2008), 국내에는 저유량 산소 공급 시 가습과 비가습에 대한 객관적 근거와 기준에 대한 연구나 가이드라인이 없고, 저유량 산소공급에 대한 가습 적용 기준이 일관성 없이 적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근거기반 실무를 제공할 수 있는 관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개발된 외국의 가이드라인들은 한 두개의 근거문헌에 기초하여 권고를 하고 있었으며 근거문헌들의 질 평가를 제시하지 않고 있어, 저유랑 산소 요법에서 비가습에 관련된 문헌을 탐색하고 근거에 기반 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PICO 형식의 핵심 질문을 도출하고 저유량 산소용법, 비강 캐뉼라, 가습 산소, 가이드라인 등을 검색어로 하여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된 문헌들을 평가하고 종합하여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개발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실제 간호 실무 현장에서 일관되지 않게 적용되고 있는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저유량 산소요법 시 비가습에 관한 근거를 찾고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일관성 있는 간호를 제공하고 실무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저유량 산소요법 제공 시 비가습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일관성 있는 간호를 제공하고 실무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거기반 간호의 장점은? 근거기반 간호는 간호사가 실무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과학적인 근거를 간호사의 전문성, 대상자의 선호도와 가치, 활용자원들을 통합하여 최상의 중재를 수행하는 것이다. 근거기반 간호는 최상의 간호 실무를 제공하게 하여 대상자의 간호결과를 개선시키고, 비용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게 한다(Melnyk & Fineout-Overholt, 2005).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근거기반 실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임상 간호실무 지침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Gu et al.
과거에 가습 산소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가? 가습 산소는 기도삽관을 하지 않은 환자에게 증상을 줄이고 안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병원에서 보편적으로 처방하고 있으며(Campbell, Baker, & Crites-Silver, 1988), 이는 국외뿐 아니라 국내 임상에서도 통상적 처치로 시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건조한 의료용 가스의 흡입이 호흡기 점막의 건조를 가져와 불편감을 야기하고 호흡기 섬모 활동을 억제한다고 여겨져왔다(Dery, Pelletier, Acques, Clavet, & Haude, 1967). 그러나 Jackson (1965)은 환자가 손상 없는 상부기도를 통해 산소를 흡입한다면 상부기도의 가습 기능에 이상이 없어 충분한 가습이 이루어진다고 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처치되고 있는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저유량 산소 공급 시 가습 적용의 유용성은 상부기도 점막의 건조와 관련된 환자의 불편감을 예방하는 것이다(Campbell et al.
근거기반 실무란? 근거기반 실무는 오늘날 의료실무의 기반이 되는 가장 중요한 원리이며 보건 의료실무와 교육에서 커다란 패러다임의 변화이다(Brown, Wickline, Ecoff, & Glaser, 2009). 근거기반 간호는 간호사가 실무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과학적인 근거를 간호사의 전문성, 대상자의 선호도와 가치, 활용자원들을 통합하여 최상의 중재를 수행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dre, D., Thurston, N., Brant, R., Flemons, W., Fofonoff, D., Ruttimann, A., et al. (1997). Randomized double-blind trial of the effects of humidified compared with nonhumidified low flow oxygen therapy on the symptoms of patients. Canadian Respiratory Journal. 4(2), 76-80. 

  2. Brown, C. E., Wickline, M. A., Ecoff, L., & Glaser, D. (2009). Nursing practice,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ived barriers to evidence-based practice at an academic medical cent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 371-381. http://dx.doi.org/ 10.1111/j.1365-2648.2008.04878.x 

  3. Campbell, E. J., Baker, M. D., & Crites-Silver, P. (1988). Subjective effects of humidification of oxygen for delivery by nasal cannula. A prospective study. Chest, 93, 289-293. http://dx.doi.org/10.1378/chest.93.2.289 

  4. Dearholt, S. L., & Dang, D. (2012).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and guidelines (2nd ed.). Indianapolis, IN: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5. Dery, R., Pelletier, J. J., Acques, A., Clavet, M., & Haude, J. J. (1967). Humidity in anesthesiology III. Heat and moisture patterns in the respiratory tract during anesthesia with the semi-closed system. Canadian Anesthesiologist's Society Journal, 14, 287-298. http://dx.doi.org/10.1007/BF03003698 

  6. Estey, W. (1980). Subjective effects of dry versus humidified low flow oxygen. Respiratory Care, 35, 1265-1266. 

  7. Field, M. J., & Lohr, K. N. (1990). Clinical practice guideline: Directions for a new progra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8. Fulmer, J. D., & Snider G. L. (1984). ACCP-NHLBI national conference on oxygen therapy. Chest, 86, 234-247. http://dx.doi.org/10.1378/chest.86.2.234 

  9. Gu, M. O., Cho, M. S., Cho, Y. A., Jeong, J. S., Jeong, I. S., Park, J. S., et al. (2011). Topics for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307-318. 

  10. Hess, D., Figaszewski, E., Henry, D., Hoffman, S., & Pino, D. (1982). Subjective effects of dry versus humidified low flow oxygen on the upper respiratory tract. Respiratory Therapy, 12, 71-75. 

  11. Jackson, C. (1965). Humidification in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 physiological overview.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2, 27-32. 

  12. Kallstrom, T. J. (2002). AARC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xygen therapy for adult in the acute care facility-2002 revision & update. Respiratory Care, 47, 717-720. 

  13. Kalokerinou-Anagnostopoulou, A. (2008). Johns Hopkins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and guidelines: Book review. Hellenic Journal of Nursing Science, 1(2), 83-85. 

  14. Leake, P. Y. (2004). Teaming with students and a sacred cow contest to make changes in nursing practi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5(6), 271-277. 

  15. Melnyk, B. M., & Fineout-Overholt, E. (2005). Evidence-based practice in nursing & health car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6. Miyamoto, K., & Nishimura, M. (2008). Nasal dryness discomfort in individuals receiving dry oxygen via nasal cannula. Respiratory care, 53, 503-504. 

  17. O'Driscoll, B. R., Howard, L. S., & Davison, A. G. (2008). BTS guideline for emergency oxygen use in adult patients. Thorax, 63, vi1-vi68. http://dx.doi.org/10.1136/thx.2008.102947 

  18. Park, M. H. (2006).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1st ed.). Seoul: Koonja. 

  19. Schaffer, M. A., Sandau, K. E., & Diedrick, L. (2012). Evidence-based practice models for organizational change: Overview and practical application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Advanced online publication. http://dx.doi.org/ 10.1111/j.1365-2648.2012.06122.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