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원격교육학습환경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지각된 학업성취도 및 사이버교육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Study on validity verification of Korean version of DELES and its relationship with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and cyber education satisfa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4 no.1, 2013년, pp.63 - 72  

김정주 (고려대학교 BK21교육학국제화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원격교육학습환경 한국판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지각된 학업성취도와 사이버교육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 사이버대학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로 254개의 표본을 분석에 투입하였다.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원격교육학습환경척도의 구성요인을 검증하고 지각된 학업성취도와 원격교육만족도와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원격교육학습환경 한국판 척도는 교수자 지원, 학생간 상호작용과 협동, 개인적 연관성, 수업 실제성, 능동적 학습, 학습자 자율성 등의 6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모형적합도 역시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의 경로 분석 결과 원격교육학습환경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사이버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학업성취도 역시 사이버교육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t to verify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DELES (distance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survey) and analyze its relationship with learning achievement and distance education satisfaction.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is students of K cyber university and a total of 254 cas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원격학습환경의 객관적인 측정을 통한 자료 축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원격교육학습환경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판 원격교육학습환경척도 (distance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survey; DELES)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지각된 학업성취도와 사이버교육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 com’을 통해 실시한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이 사이버 대학생들인 점을 감안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을 진행함으로써 접근성과 수거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총 400명의 대상으로 이메일과 과목 공지사항을 통해 온라인 설문을 요청하였으며 그 중 287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판 원격교육학습환경도구 (DELES)의 개발을 통해 원격교육학습환경을 측정하는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도구로서의 입지를 확고하게 하는 것 뿐 아니라 지각된 학업성취도와 사이버교육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학습환경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위한 전략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DELES의 구성요인을 분석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활용해 대안적 모형을 비교함으로써 한국판 DELES가 교수자 지원, 학생간 상호작용과 협동, 개인적 연관성, 수업 실제성, 능동적 학습, 학습 자율성 등의 6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는 개념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격교육학습환경 한국판 척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원격교육학습환경척도의 구성요인을 검증하고 지각된 학업성취도와 원격교육만족도와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원격교육학습환경 한국판 척도는 교수자 지원, 학생간 상호작용과 협동, 개인적 연관성, 수업 실제성, 능동적 학습, 학습자 자율성 등의 6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모형적합도 역시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의 경로 분석 결과 원격교육학습환경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사이버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는? 이렇게 고등교육 수준의 원격교육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특정의 (사이버) 교실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일은 학습자들의 학습성과면에서 뿐 아니라 교수 방법의 개발 및 교수자 평가, 학습 시스템의 조정과 발전에 있어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원격교육에서 학습자들이 겪는 심리적 경험에 대한 이해는 그들의 학문적 성공 (Diaz, 2002)과 함께 학교 자체가 지니는 프로그램의 효과성 (Rovai, 2003)을 판단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그러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학습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학습환경을 측정하기위해 이제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이름으로 도구를 개발하였다. Moos와 Trickett (1974)의 교실환경척도 (classroom environment scale; CES), Fraser 등 (1982)의 나의 교실척도 (my class inventory; MCI), Treagust와 Fraser (1986)의 대학교실환경척도 (college and university classroom environment inventory; CUCEI), Taylor와 Fraser (1991)의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설문(constructive learning environment survey; CLES)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구들의 대부분은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CUCEI만 제외하고) 면대면의 전통적인 교실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들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stin, A. W. (1985). Achieving educational excellence, Jossey-Bass, San Francisco. 

  2.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 

  3. Biggs, M. J. G. (2006). Comparison of student perceptions of classroom instruction: Traditional, hybrid, and distance education.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TOJDE, 7, 46-51. 

  4. Cattell, R. B. (1978). The scientific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behavioral and life sciences, Plenum, New York. 

  5. Cho, S., Kim, C., Kim, B., Kim, C. and Kim, H. (2001). The effects of a portfolio syste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o-pyschological classroom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1, 36-43. 

  6. Choi, H. S., Lee, H. K. and Ha, J. (2012).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 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10005-1015. 

  7. Comrey, A. L. and Lee, H. B. (1992).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Lawrence Erlbaum, Hillsdale, New Jersey. 

  8. Diaz, D. P. (2002). Online drop rates revisited. The Technology Source, May/June, 93-106. 

  9. Fisher, D. L. and Fraser, B. J. (1983). Validity and use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scale.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5, 261-171. 

  10. Fraser, B. J. (1998). Classroom environment instruments: Development, validity and applications. Learning Environment Research, 1, 7-33. 

  11. Fraser, B. J., Anderson, G. J. and Walberg, H. J. (1982). Assessment of learning environments: Manual for the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LEI) and my class inventory (MCI), Western Australian Institute of Technology, Perth. 

  12. Hong, M., Kang, N. and Kim, J. (2010).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 68-79. 

  13. Hu, L. T. and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 1-55. 

  14. Kang, J. and Jung, S. (2009).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reliance, and loyalty to the life insurance compani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713-717. 

  15. Kim, C. and Cho, S. (2000). The effects of a portfolio syste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classroom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21, 95-107. 

  16. Kim, J. (2011).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presence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2, 763-777. 

  17. Lackey, N. R., Sullivan, J. J. and Pett, M. A. (2003).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 The use of factor analysis for instrument development in health care research, Sage Publications, Incorporated, Thousand Oaks, CA. 

  18. Moos, R. H. (1974). Systems for the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human environments: An overview. In Issues in Social Ecology: Human Milieus, edited by R. H. Moos and P. M. Insel, National Press Books, Palo Alto, CA, 5-29. 

  19. Moos, R. H. and Trickett, E. J. (1974). Classroom environment scale: A social climate scale manual,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CA. 

  20.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8). Distance education at degree-granting postsecondary in-stitutions: 2006-07, 2009-44, US Department of Education, Washington, DC. 

  21. Nix, R. K., Fraser, B. J. and Ledbetter, C. E. (2005). Evaluating an integrated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survey.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8, 109-133. 

  22. Ozkok, A., Walker, S. L. and Buyukozturk, S.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Turkish version of the DELES. Learning Environment Research, 12, 175-190. 

  23. Rovai, A. P. (2003). In search of higher persistence rates in distance education online program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6, 1-16. 

  24. Sahin, I. (2007). Predicting student satisfaction in distance educ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s.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TOJDE, 8, 113-119. 

  25. Taylor, P. C. and Fraser, B. J. (1991). CLES: An instrument for assessing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In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Lake Geneva, WI. 

  26. Treagust, D. F. and Fraser, B. J. (1986).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llege and university classroom environment inventory (CUCEI),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27. Tucker, L. R. and Lewis, C. (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 1-10. 

  28. Walker, S. L. (2005). Modifying formative evaluation techniques for distance education class evaluation.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6, 1-4. 

  29. Walker, S. L. and Fraser, B. J.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distance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in higher education: The distance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survey (DELES).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8, 289-3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