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면적 CIGS 광흡수층 증착을 위한 선형증발원 개발
Linear Source for Evaporating Large Area CIGS Absorber Layer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2 no.1, 2013년, pp.1 - 6  

서제형 ((주)야스 시스템개발팀) ,  정승욱 ((주)야스 시스템개발팀) ,  이원선 ((주)야스 시스템개발팀) ,  최윤성 ((주)야스 시스템개발팀) ,  최명운 ((주)야스 시스템개발팀) ,  최진철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  최광호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600{\times}1,200mm$ 기판에 대면적 CIGS 광흡수층 증착을 위한 선형증발원 개발을 위해 다른 크기의 노즐과 일정한 노즐 간격을 가지는 선형증발원의 플럭스 밀도를 전산 모사하여 플럭스 균일도 ${\pm}5%$의 조건을 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선형증발원을 이용하여 Cu, In의 단일막 두께균일도를 확인하였고, CIGS 광흡수층을 동시증발법으로 증착하여 박막의 두께균일도 및 증착 조성의 균일도로 선형증발원을 평가하였다. XRF 조성 분석을 통해 구한 조성불균일도는 600 mm 폭에서 $$Cu{\leq_-}5%$$, $$In{\leq_-}7%$$, $$Ga{\leq_-}4%$$, $$Se{\leq_-}3%$$으로 균일한 조성비로 성막된 것을 확인하였고 SEM 분석을 통해 표면 결정립의 형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XRD측정을 통해 선형증발원 방향의 대면적 CIGS 광흡수층이 칼코피라이트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개발된 하향 선형증발원이 CIGS 광흡수층 증착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o develop linear source for evaporating $600{\times}1,200mm$ size of large area CIGS absorber layer, we simulated linear thermal source and obtained ${\pm}5%$ thickness uniformity with various nozzle sizes and regular nozzle distance. Flux density was confirm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600 mm급의 선형증발원을 제작하여 Cu, In의 단일막 두께균일도, CIGS 광흡수층의 조성균일도 및 결정립의 형태를 측정하여 선형증발원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Cu와 In의 각각의 개별 증발원의 단일막 두께균일도는 5% 이하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적용한 CIGS 광흡수층은 선형증발원 방향의 600 mm 폭 방향으로 우수한 조성균일도(Cu≦5%, In≦7%, Ga≦4%, Se≦3%)와 CIGS 광흡수층의 칼코피라이트 결정구조 확인을 통해 선형증발원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CIGS 광흡수층 증착 공정은 가열 챔버에서 기판온도 약 550℃로 가열 후, Cu, In, Ga, Se 소스가 동시 증발되는 증착 챔버에서 4원소 동시증발법(Single stage)으로 진행 하여 대면적 CIGS 광흡수층을 증착하였다.
  • CIGS 광흡수층의 조성비 조절은 각각의 원소에 대해 Quartz crystal sensor (Ulvac社) 및 Flux monitor (YAS社, XTRTM)로 증발률을 모니터링 후 정류기의 인가전력을 각 증발원의 열원에 대해 조절하는 개별 제어 방식을 적용하였다.
  • XRF (Shimadze, XRF-1700) 측정으로 플럭스 균일도 및 조성의 불균일도를 확인하였다. X선 회절 분석(Ultima IV, RIGAKU)을 이용하여 대면적 CIGS 광흡수층의 결정 구조및 결정성을 분석하여 선형증발원을 평가하였다.
  • XRF (Shimadze, XRF-1700) 측정으로 플럭스 균일도 및 조성의 불균일도를 확인하였다. X선 회절 분석(Ultima IV, RIGAKU)을 이용하여 대면적 CIGS 광흡수층의 결정 구조및 결정성을 분석하여 선형증발원을 평가하였다.
  • 물질의 증발은 각각의 도가니에 넣고 고순도 흑연 열원에 연결된 정류기의 인가전력을 조절함으로써 각 물질이 증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각 원소(Cu, In, Ga, Se)의 증발률과 플럭스의 균일도 및 증발률을 확인 후 동시증발법으로 CIGS 광흡수층을 증착하였다.
  • 고온 증발원의 열원은 고순도 흑연을 사용하여 양쪽 끝단에 전극을 연결하고, 고순도 Boron Nitride 재질의 도가니를 열원 내부에 장착하여 도가니의 물질 분사구를 제외한 모든 면을 직접 가열할 수 있게 하여 금속 증기의 응축 현상을 최소화하였다(Fig. 3).
  • 대면적 기판(600×1,200 mm)에 증착 가능한 선형증발원을 개발하기 위해 선형증발원과 기판과의 거리, 각 노즐 사이의 거리 및 노즐 크기를 변수로 두어 다음 계산식을 통해 전산모사를 실시하였다 [9].
  • 도가니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격실로 분할되어 있어 용융 금속의 쏠림 현상 방지하였고, 금속 증기의 증기압 불균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가니 내부에 금속증기의 완충층을 형성시켜 금속증기의 부분압력이 균일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또한, 열원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Ta, Mo, W 등의 금속 시트의 반사판을 설치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 두 단일막은 전산모사의 결과와 유사한 모양으로 균일한 형상을 확인하였으며 각 원소(Cu, In)의 단일막 측정은 Alpha step (P-15, Tencor)으로 하였다.
  • 도가니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격실로 분할되어 있어 용융 금속의 쏠림 현상 방지하였고, 금속 증기의 증기압 불균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가니 내부에 금속증기의 완충층을 형성시켜 금속증기의 부분압력이 균일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또한, 열원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Ta, Mo, W 등의 금속 시트의 반사판을 설치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 유리 기판은 트레이 및 이송 시스템에 의해 가열 챔버, 증착 챔버, 가열 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CIGS 광흡수층을 증착하였고, 8회의 왕복 움직임을 통해 약 1 μm의 두께의 CIGS 광흡수층을 선형증발원으로 증착하였으며, 이때의 기판의 이동속도는 1,000 mm/min을 유지하였다.
  • 현재, 대면적 CIGS 모듈의 효율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증발원의 플럭스 균일도와 조성균일도가 높은 600 mm급 저항가열 증발원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대면적 증착이 가능한 선형증발원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동시증발법으로 증착한 대면적 CIGS 태양전지의 광흡수층에 대한 조성균일도, 표면분석 및 박막의 구조를 분석하여 제작된 선형증발원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 전산모사 결과(Fig. 1)에서 나온 최적의 플럭스 밀도로 물질 분사구의 구멍 크기와 구멍 사이 간격을 적용하여 선형증발원을 개발하였으며, 인라인 CIGS 광흡수층 증착장비에 적용하여 제작된 선형증발원의 성능을 검증하였다(Fig. 2).
  • 전산모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선형증발원으로 Cu와 In을 각각 증착시켜 단일막 두께균일도를 확인하였다(Fig. 5).
  • 증착된 CIGS 광흡수층의 분석은 선형증발원의 방향과 동일한 600 mm 폭 방향으로 150 mm 간격으로 다섯 샘플을 선정하여 CIGS 광흡수층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선형증발원 평가를 위해 ‘CIGS 광흡수층 증착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CIGS 광흡수층 증착 시스템은 600×1,200 mm 크기의 기판에 증착이 가능하다. 증착 시스템의 구성은 기판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로드락 챔버, 기판의 가열을 위한 가열 챔버 및 CIGS 증발원이 배치되어 있는 증착 챔버로 구성되었다(Fig. 4).

이론/모형

  • Cu 단일박막의 두께균일도는 ±3%이고 In 단일박막의 두께균일도는 ±5%임을 확인하였다. 두께균일도의 계산은 600 mm 폭에 대해 20 mm 간격으로 30포인트의 두께를 측정한 후 각 두께에 대해 Min-Max 계산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칼코피라이트계 구조의 CIGS 태양전지의 특징은? 칼코피라이트계 구조의 CIGS 태양전지는 직접천이형 반도체로서 Ga의 농도에 따라 1.0∼1.7 eV의 밴드갭 조절이 가능하고 광흡수계수(∼10-5 cm-1)가 높아 1 μm∼2 μm 의 얇은 두께로 태양전지제조가 가능하다. CIGS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4].
CIGS 태양전지 제조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CIGS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스퍼터링(sputtering), 전착법(electro deposition) 진공 증착(vacuum evaporation)등이 있으며 [3-6], 그 중에는 진공 증착법으로 증착한 ZSW의 CIGS 태양전지가 20.3% (cell area=0.
대면적 CIGS 모듈의 효율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저항가열 증발원을 위해 어떤 것을 개발했나? 현재, 대면적 CIGS 모듈의 효율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증발원의 플럭스 균일도와 조성균일도가 높은 600 mm급 저항가열 증발원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대면적 증착이 가능한 선형증발원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동시증발법으로 증착한 대면적 CIGS 태양전지의 광흡수층에 대한 조성균일도, 표면분석 및 박막의 구조를 분석하여 제작된 선형증발원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M. Acciarri, S. Binetti, A. Le Donne, B. Lorenzi, L. Caccamo, L. Miglio, R. Moneta, S. Marchionna, and M. Meschia, Cryst. Res. Technol. 46, 871 (2011). 

  2. S. H. Choi, J. J Park, J. O. Yun, Y. H. Hong, and I. S. Kim, J. Korean Vac. Soc. 21, 142 (2012). 

  3. S. Aksu, J. Wang, and B. M. Basol, Electrochem. Solid-State Lett. 12, D33 (2009). 

  4. C. Y. Su, W. H. Ho, H. C. Lin, C. Yo. Neih, and S. C. Liang, Sol. Energ. Mater. Sol. C. 95, 261 (2011). 

  5. J. H. Shi, Z. Q. Li, D. W. Zhang, Q. Q. Liu, Z Sun, and S. M. Huang, Prog. Photovolt: Res. Appl. 19, 160 (2011). 

  6. P. Jackson, D. Hariskos, E. Lotter, S. Paetel, R. Wuerz, R. Menner, W. Wischmann, and M. Powalla, Prog. Photovolt: Res. Appl. 19, 894 (2011). 

  7. F. Karg, Energy Procedia 15, 275 (2012). 

  8. T. Negami, T. Satoh, Y. Hashimoto, S. Nishiwaki, S. Shimakawa, and S. Hayashi, Sol. Energ. Mater. Sol. C. 67, 1 (2001). 

  9. L. Holland, Vaccum Depositon of Thin Films (Chapman & Hall Ltd., London, 1961), pp. 141-1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