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세스망 분리와 설비제공: 해외 사례 및 시사점
Access Network Separation and Facility Sharing: Recent Cases and Their Im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통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통신이론 및 시스템, v.38C no.1, 2013년, pp.78 - 88  

이종용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사업전략연구팀) ,  구정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사업전략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는 규제에 의해 관로, 전주 및 케이블 등 필수설비를 경쟁사업자에게 제공해주고 있는 유선 기존사업자의 도매사업 부서와 가입자 모집 및 유지 등 소매활동을 담당하는 부서 사이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아직까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에 의무제공사업자의 도매부서는 소매사업부와 연계하여 경쟁사업자의 설비제공 요청을 의도적으로 방해할 유인이 존재하며, 궁극적으로 의무설비제공 대상설비에 대한 액세스 동등성이 확보되지 못하게 되어 국내의 설비제공 활성화를 저해하는 근본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주요국의 액세스망 분리 사례를 분석하고, 설비제공 활성화를 위한 장기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no institutional tool or regulation exists by which a retail business in charge of gathering and maintaining subscribers can be guaranteed independence from the wholesale business division of a fixed incumbent provider of essential facilities such as ducts, poles and copper or fiber cab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설비제공제도 관련 일련의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향후 가시적인 성과가 달성되지 않을 경우 액세스망 분리에 대한 논의가 검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다음 장에서는 동등접근 확보를 위한 해외의 액세스망 분리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설비제공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점에서 해외 규제기관들의 액세스망 분리 추진사례는 우리에게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액세스망 분리를 통해 액세스망의 동등성을 확보하고 있는 해외의 경험을 살펴보고, 국내의 설비제공 활성화를 위한 향후 정책과제를 제안한다. 이는 설비제공제도의 문제를 액세스망 분리 규제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새로운 접근이라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액세스망 규제에 근거하고 있는 경제적 병목은 언제 발생되는가? 액세스망 규제는 과거의 경우 필수성과 중복가능성에만 중점을 두고 있는 전통적인 필수설비 원리에 기초하였으나, 최근에는 경제적 병목(economic bottleneck)에 근거하고 있다. 경제적 병목은 대체로 한 사업자가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으며, 유효한 인프라 기반 경쟁이 불가능한 경우 발생된다. 경쟁 사업자는 경쟁 인프라 구축에서 발생되는 원가의 불리함과 가입 전환을 저해하는 장벽으로 기존사업자의 우위를 극복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
설비제공은 무엇인가? 설비제공은 전주, 관로, 케이블 등 선로설비와 전용회선을 보유한 사업자와 이러한 설비를 이용하려는 사업자간 원활한 거래를 촉진함으로써 통신시장의 경쟁촉진과 희소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달성하면서 궁극적으로 소비자 후생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1992년 최초로 제도화된 이후 통신시장의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개선작업이 이어져온 국내의 설비제공제도는 전주, 관로 등 기초설비를 임차하여 자체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게 설비기반 경쟁을 지원하면서 아울러 특정 구간이나 연도에 해당되는 광케이블을 의무제공설비로 지정함으로써 서비스기반 경쟁을 지원하는 양면적 성격을 띠고 있다.
국내 설비제공제도의 특징은? 설비제공은 전주, 관로, 케이블 등 선로설비와 전용회선을 보유한 사업자와 이러한 설비를 이용하려는 사업자간 원활한 거래를 촉진함으로써 통신시장의 경쟁촉진과 희소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달성하면서 궁극적으로 소비자 후생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1992년 최초로 제도화된 이후 통신시장의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개선작업이 이어져온 국내의 설비제공제도는 전주, 관로 등 기초설비를 임차하여 자체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게 설비기반 경쟁을 지원하면서 아울러 특정 구간이나 연도에 해당되는 광케이블을 의무제공설비로 지정함으로써 서비스기반 경쟁을 지원하는 양면적 성격을 띠고 있다. 최근에는 설비제공대상이 공익사업자까지 확대되어 한국 전력, 도로공사 등이 보유한 설비에 대해서도 설비 제공기준이 적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ETRI, Review of establishing a monitoring body for equal access, 2009. 

  2. N. H. Kwon and G. H. Lee, "Organization separation and competition: recent cases and their implications," Int. Telecommun. Policy Review, vol. 14, no. 4, Dec. 2007. 

  3. J. Y. Lee, "Analysis on new regulation approach to BT in the UK," in Proc. Joint Conf. On Commun. And Inform. (JCCI), Apr. 2006. 

  4. KISDI, Evaluation of competition status in the telecommunications market of 2009, 2010. 

  5. M. Cave, "Six degrees of separation: operational separation as a remedy in european telecommunications regulation," Commun & Strategies, no. 64, pp. 80-103, Dec. 2006. 

  6. M. Cave, "Encouraging infrastructure competition via the ladder of investment," Telecommun. Policy, vol. 30, no. 3-4 pp. 223-237, Apr.-May 2006. 

  7. C. Cambini and Y. Jiang, "Broadband investment and regulation: a literature review," Telecommun. Policy, vol. 33, no. 10-11, pp. 559-574, Nov.-Dec. 2009. 

  8. F. Kirsch, and C. Hirschhausen, "Regulation of NGN: structural separation, access regulation, or no regulation at all?," Commun. & Strategies, no. 69, pp. 63-82, Mar. 2008. 

  9. ERG, Opinion on regulatory principle of NGA, 2007. 

  10. B. G. Choung, Restructuring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for efficient network enhancement, 2008 

  11. J. C. Shin, "Process of the merger between KT and KTF and its future prospect," KTOA's Telecommunications Association, vol. 48, no. 1, Spring, 2009. 

  12. Y. S. Yum, Environment changes in telecommunications markets and issues on a merger among operators, 2009 

  13. NARS, A study on a merger between KT and KTF, 2009 

  14. KT, A presentation material about facility sharing regulation in the hearing of KCC, 2011. 

  15. KT, Terms and conditions for facility sharing and their implementation status, 2009. 

  16. KCC, A new plan to reform facility sharing regulation such as terms and conditions and pricing methodology, 2011 

  17. SKB, A proposal for promoting facility sharing, 2011. 

  18. ACRC, Determining 73 projects for amendments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Press Release, 2009. 

  19. KCC, Regulation about provision conditions and pricing methods of telecommunications facility sharing, No. 2012-38, 2012. 

  20. Ofcom, Review of the wholesale local access market, Statement on market definition, market power determinations and remedies, 2010. 

  21. UKE, Agreement between TP and President of UKE, Republic of Poland Offic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2009. 

  22. MIC, "Toward realization of the new broadband super highway(Hikari no Mishi) plan final report(draft)," ICT policy task force of a global era, Document 18-1, Nov. 2010. 

  23. C. A. Middleton, Structural and functional separation in broadband networks: An insufficient remedy to competitive woes in the Canadian broadband market, Telecom notice of consultation, CRTC 2011-77, 2011. 

  24. C. Y. Jung, J. Y. Lee, and S. M. Jung, "The effect on social welfare of asymmetric mobile termination rate," J. KICS, vol. 37B, no. 6, pp. 453-463, Jun.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