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난대상록수림에서 착생식물의 다양성 연구
Diversity of Epiphyte in the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Jejudo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2 no.1, 2013년, pp.99 - 107  

송국만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강영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현화자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변광옥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epiphytes and host trees in Jejudo's warm-temperate evergreen forests area. The gathered data will be used for evaluating ec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study found 46 species of epiphytes in Jejudo; 12 of which were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계 변화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위해 제주도의 난대상록수림에서 착생식물과 숙주식물의 분포 및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기후 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제주도의 난대상록수림 지역에서 착생식물과 숙주식물의 분포 및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제주도는 총 46 종의 착생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중 양치식물 12 종, 난과식물 5 종 등총 17 종의 착생식물이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착생식물이란? 착생식물(Epiphyte)은 기근이 노출되어 수분과 양분을 공기중에서 흡수하며 다른 식물(주로 나무) 위에자라는 식물을 말한다(Raunkiær, 1937). 전 세계에 분포하는 식물 중에서 약 10%는 착생식물이고, 특히 열대지방에서는 모든 관속식물의 약 25% 정도가 이에속하며, 양치식물 이외에 난초과(Orchidaceae) 등으로 구성되어 열대우림의 종다양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Hattori 등, 2009; Minagawa와  Nakamura, 1997; Zotz와 Schultz, 2008).
착생식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곳은? 전 세계에 분포하는 식물 중에서 약 10%는 착생식물이고, 특히 열대지방에서는 모든 관속식물의 약 25% 정도가 이에속하며, 양치식물 이외에 난초과(Orchidaceae) 등으로 구성되어 열대우림의 종다양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Hattori 등, 2009; Minagawa와  Nakamura, 1997; Zotz와 Schultz, 2008). 착생식물에 대한 연구는 열대및 아열대수림이 발달한 아메리카, 중미,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정글 등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Ishida, 2005), 일본의 경우 조엽수림(Iaurel forest)에서 종다양성 연구(Hirata 등, 2005) 뿐만 아니라, 산림의 자연성 평가를 위한 지표로서의 착생식물 연구(2003; Hattori 등, 2007; Matsumura 등, 2007; Tochimoto 등, 2008)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제주도에 식물이 분포되어있는 상황은? 제주도는 한라산(1,950 m)에 의해 다양한 기후대가 분포하며 이에 따라 독특한 식생대가 형성되어 있다. 저지대와 서귀포시의 부속도서는 열대와 아열대지역의 기원이 되는 식물, 난대상록활엽수림 및 온대낙엽수림과 같이 한반도와 일본 및 중국 남부 등에서 기원하는 식물, 한라산 고지대의 아고산 지역은 우리나라 북부지역, 만주, 몽골 등 대륙에서 기원하는 식물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Rim과 Kim, 1994; Kim 등, 2006). 제주도는 각종 양치류 및 난과 식물들의 많아 종 다양성이 높고 난대상록활엽수림이 발달한 계곡과 유․무인도서, 낙엽활엽수림 및 보호림과 기념물로 지정 보호되는 지역이 많아 착생식물이 다양하다(Park과 Lee, 1968; Cha, 1970; Koh 등, 1991; Kim과 Oh, 198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 J. W., 1970, The communities of the Crinum maritimum and Torreya nucifera Ecological studies on plant communities of Quelpart Island, Korea Journal of Plant Biology, 13(1), 13-24. 

  2. Hattori, T., Asami, K., Kodate, S., Ishida, H., Minamiyama, N., Akamatsu, H., 2003, Distribution of the lucidophyllous elements and species richness of lucidophyllous forest along the micro-scale geomorphic condition in Kawanaka, Aya, Miyazaki Prefecture, Vegetation Science, 20, 31-42. 

  3. Hattori, T., Tochimoto, D., Iwakiri, K., Minamiyama, N., Hashimoto, Y., 2007, Species richness epiphytes in a lucidophyllous forest in Kawanaka, Aya, Miyazaki Prefecture, Vegetation Science, 24, 73-83. 

  4. Hattori, T., Tochimoto, D., Minamiyama, N., Hashimoto, Y., Sawada, Y., Ishida, H., 2009,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vascular spiphytes in the Iucidophyllous forests in southern Kyushu, Vegetation Science, 26, 49-61. 

  5. Ishida, H., Hattori, T., Hashimoto, Y., 2005, Comparisi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richness among primebal, natural, and secondary lucidophyllous forests in southeastern Kyushu, Japan, Vegetation Science, 22, 71-86. 

  6. Kang, Y. J., 2009, Species richness of epiphyte on forest vegetation in Jeju,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7. Kim, J. M., Kim, C. S., Park, B. G., 1987, The vegetation survey method, Ilsinsa, Seoul, Korea, 1-170. 

  8. Kim, M, H., Oh, H. D., 1980, A study on the flora of cheonjeyeon vally, Cheju University Journal, Cheju, Korea, 12, 169-177. 

  9. Kim, M. H., Song, G. P., Moon, M. O., Hyun, H. J., Song, K. M., 2006, A report of scientific investigation Asplenium antiqumm habitat located, Jejudo, Seogwipo City, Jeju, Korea. 

  10. Koh, K. S., Lee, Y, M., Kim, T. W., Bae, J. O., 1991, The endangered plants in Chejudo,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 Agricultural Research, 16(2), 71-81. 

  11. Lee, C. B., 2003, An Illustrated Book of the Korean Flora. Hyangmoonsa, Seoul, Korea, 1-910. 

  12. Lee, W. C., 1996,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Academybook, Seoul, Korea, 1-1688. 

  13. Lee, Y. M., 2002, The statistical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Gwangju, Korea, 1-262. 

  14. Matsumura, T., Hattori, T., Hashimoto, Y., Ban, K., 2007, Relationship between cover of evergreen species and species richness or species composition of coppice forest in Hokusrtsu area, Hyogo, western Japan, Vegetation Science, 24, 4-52. 

  15. Minagawa, R., Nakamura, T., 1997, Epiphyte ecology and characteristics of climbing plants in the tropical dry forest of Thailand, J. Agri. Sci., Tokyo Nogyo Univ., 42(1), 20-30. 

  16. Moon, M. O., 2007, Pteridophyte Flora of Jeju Island, Korea,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17. Park, M. G., 1975,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fauna] vol. 16 (Pteridophyta), The Education Department, Seoul, Korea, 1-549. 

  18. Park, M. G., Lee, Y. N., 1968, Hallasan and Hongdo, A report of scientific investigation, A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s, Seoul, Korea, 15-166. 

  19. Raunkiær, 1937,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8-104. 

  20. Rim, Y. D., Kim, S. N., 1994, On the Distribution and Ecology Family Orchidaceae with Elevation in Mt. Halla of Chejudo,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ournal, Incheon, Korea, 28(1), 271-290. 

  21. Tochimoto, D., Hattori, T., Iwakiri, K., Minamiyama, N., Sawada, Y., 2008, Species richness or species composition of epiphytes in a lucidophyllous forest in Mt. Omoridake, Aya, Miyazaki Prefecture, Vegetation Science, 25, 63-72. 

  22. Yeocheon Ecology Research Society, 2005, Hyundae ecology experiment, Kyomunsa, Seoul, Korea, 1-370. 

  23. Zotz, G., Schultz, S., 2008, The vascular epiphytes of a lowland forest in Panama species composition and spatial structure, Plant Ecology, 193, 131-1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