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액비를 처리하고 동시에 유용한 전기에너지 발생이 가능한지를 실험한 것이다. 탄소섬유전극(graphite felt)와 스테인레스 스틸망을 다른 비율로 충진한 single-chamber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였으며 탄소섬유전극보다 스테인레스망을 더 많이 충진한 미생물연료전지를 대조구(CMFC)로 하여 탄소섬유전극이 더 많이 충진된 미생물연료전지(SMFC)와 서로 비교하였다. 농화 배양이 끝난 후, SMFC로부터 발생되는 전류는 $3.167{\pm}80\;mg/L$ 의 액비를 공급할 때 18 mA가 안정적으로 발생되었다. 이때 최대 전력밀도와 전류밀도는 각각 $680\;mW/m^3$$3,770\;mA/m^3$이었으며, CMFC의 전력밀도와 전류밀도보다는 높았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는 SMFC와 CMFC에서 $3.718{\pm}80\;mg/L$에서 $865{\pm}21$$930{\pm}14\;mg/L$로 감소하여 각각 72.7%와 70.6%가 감소되었다. SMFC와 CMFC로부터 부유물질(SS)은 99% 이상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MFC의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그리고 인산염인과 같은 영향물질 농도의 변화도 각각 65.4%, 57.5%, 그리고 73.7%이 감소되었으며 CMFC의 경우도 거의 유사한 제거율을 보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저가 재료가 충진한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함으로써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가축분뇨로부터 적지만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simultaneous electricity generation and treatment of swine farm wastewater using microbial fuel cells (MFCs) was examined. Two single-chamber MFCs containing an anode filled with different ratio of graphite felt and stainless-steel cross strip was used in all test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높은 유기오염농도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포함하는 가축분뇨를 이용하는 미생물연료전지 연구는 미비한 상태인데[7], 2007년 Kim은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한 nitrogen 제거는 single-process system에서는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2단계 변형 포기조/무산소조(oxic/anoxic) process와 같이 multiple반응조를 이용하여 ammonia-rich 가축분뇨 처리에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 process는 높은 운전비용이 요구된다고 하였다[8]. 그러나 미생물연료전지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멤브레인과 같이 고가 재료를 대체해야 하며 시스템이 단순화한 single system 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연료전지를 single-chamber형태로 탄소섬유 전극과 스테인레스 스틸망을 혼합하여 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멤브레인을 아크릴판으로 대체하여 가축분뇨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질, 질소 그리고 인의 분해능 정도와 이 과정에서 전기에너지 생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 액비는 유기오염물질과 함께 질소나 인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한 이들 처리능을 알아보았다. 미생물연료전지를 운전하면서 암모니아성 질소(NH3+), 질산 성질소(NO3-)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Fig.
  • 본 연구는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액비를 처리하고 동시에 유용한 전기에너지 발생이 가능한지를 실험한 것이다. 탄소섬유전극(graphite felt)와 스테인레스 스틸망을 다른 비율로 충진한 single-chamber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였으며 탄소섬유전극보다 스테인레스망을 더 많이 충진한 미생물연료전지를 대조구(CMFC)로 하여 탄소섬유전극이 더 많이 충진된 미생물연료전지(SMFC)와 서로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폐수 처리에 미생물연료전지를 사용 시 장단점은? 미생물연료전지는 유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하·폐수 뿐만 아니라 황산이온, Cr6+, Nitrilotriacetic acid(NTA) 등 독성물질을 처리하고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음이 여러 연구 그룹에서 발표되었다[6, 9, 15]. 그러나 미생물연료전지는 다양한 폐수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극, 멤브레인 그리고 촉매 등 사용되는 재료들이 고가로 초기 투자비용이 크다는 것과 scale-up을 하면 내부저항이 커져 출력 에너지 양이 적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경제성이 있는 미생물연료전지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전극과 멤브레인을 저가의 재료로 대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multiple 반응조를 쓰는 가축분뇨를 이용하는 미생물연료전지 process가 가진 높은 운전 비용 문제점을 보완하고 실용화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지금까지 높은 유기오염농도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포함하는 가축분뇨를 이용하는 미생물연료전지 연구는 미비한 상태인데[7], 2007년 Kim은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한 nitrogen 제거는 single-process system에서는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2단계 변형 포기조/무산소조(oxic/anoxic) process와 같이 multiple반응조를 이용하여 ammonia-rich 가축분뇨 처리에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 process는 높은 운전비용이 요구된다고 하였다[8]. 그러나 미생물연료전지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멤브레인과 같이 고가 재료를 대체해야 하며 시스템이 단순화한 single system 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연료전지를 single-chamber형태로 탄소섬유 전극과 스테인레스 스틸망을 혼합하여 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멤브레인을 아크릴판으로 대체하여 가축분뇨에 포함된 유기 오염물질, 질소 그리고 인의 분해능 정도와 이 과정에서 전기에너지 생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미생물연료전지란 무엇인가? 미생물연료전지 이용 기술은 하·폐수 처리와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킬 수 있는 친환경 신기술로 하·폐수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질의 처리와 동시에 바이오 에너지를 생성하는 지속 가능한 기술로 제안되었다[1, 4, 5, 10, 11, 12, 14]. 미생물연료전지는 음극부에 미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해 분해 가능한 모든 물질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미생물이 대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미생물연료전지는 미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적절한 농화배양 단계를 거치면 다양한 폐수를 대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ngenent, L., K. Karim, M. H. Al-Dahhan, B. A. Wrenn, and R. Domiguez-Espinosa. 2004. Production of bioenergy and biochemicals from industrial and agricultural wastewater. Trends Biotechnol,. 22: 477-485. 

  2. Cho, K. S. and H. W. Ryu. 2009. Biotechnology for the mitigation of methane emission from landfill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293-305. 

  3. Dumas, C., A. Mollica, D. Feron, R. Basseguy, L. Etcheverry, and A. Bergel. 2007. Marine microbial fuel cell: Use of stainless steel electrodes as anode and cathode lmaterials. Electrochimica acta. 53: 468-473. 

  4. Gil, G. C., I. S. Chang, B. H. Kim, M. Kim, J. K. Jang, H. S. Park, and H.J. Kim. 2003. Operational paramete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Biosens. Bioelectron. 18: 327-324. 

  5. Jang, J. K., T. H. Pham, I. S. Chang, K. H. Kang, H. Moon, K. S. Cho, and B. H. Kim. 2004.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novel mediator- and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Process Biochem. 39: 1007-1012. 

  6. Jang, J. K., I. S. Chang, H. Moon, K. H. Kang, and B. H. Kim. 2006. Nitrilotriacetic acid degradation under microbial fuel cell environment. Biotech. Bioeng. 95: 772-774. 

  7. Kim, J. R., J. Dec, M. A. Bruns, and B. E. Logan. 2008. Removal of odors from swine wastewater by using microbial fuel cell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4: 2540-2543. 

  8. Kim, J. R., Y. Zuo, J. M. Regan, and B. E. Logan. 2008. Analysis of ammonia loss mechanisms in microbial fuel cells treating animal wastewater, Biotechnology Bioengineering, 99: 1120-1127. 

  9. Li, Zhongjian, X. Zhang, and L. Lei. 2008. Electricity production during the treatment of real electrophating wastewater containing $Cr^{6+}$ using microbial fuel cell. Process Biochemistry. 43: 1352-1358. 

  10. Liu, H., R. Ramnarayanan, and B. E. Logan. 2004. Production of electricity during wastewater treatment using a single chamber microbial fuel cell. Environ. Sci. Technol. 38: 2281-2285. 

  11. Logan, B. E. B. Hamelers, R. Rozendal, U. Schroder, J. Keller, S. Freguia, P. Aelterman, and K. Rabaey. 2006. Microbial fuel cells: Methodology and technology. Environ. Sci. Technol. 40: 5181-5192. 

  12. Lovley, D. R. 2006. Bug juice: harvesting electricity with microorganisms. Nature. 4: 497-508. 

  13. Min, B., J. R. Kim, S. E. Oh, J. M. Regan, and B. E. Logan. 2005. Electricity generation from swine wastewater using microbial fuel cell. Water Research. 39: 4961-4968. 

  14. Rabaey, K. and W. Verstraete. 2005. Microbial fuel cells: novel biotechnology for energy generation. Trends Biotechnol. 23: 291-298. 

  15. Zhao, F., N. Rahunen, J. R. Varcoe, A. Chandra, C. Avignone- Rossa, A. E. Thumser, and R. C. T. Slade. 2008. Activated carbon cloth as anode for sulfate removal in a microbial fuel cell, Environ. Sci. Technol. 42: 4971-4976. 

  16. 최규철, 권오억, 김동욱, 김용환, 박광하, 이우식, 이징연, 전세진, 정수경. 2006.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주해. 동화기술 p. 253-255. 

  17. 이상복. 2007. 저농도(SCB) 액비 이용 벼 재배 기술, 작물과학원 호남연구소 p. 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