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특징 분석: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cused on Chemistry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7 no.1, 2013년, pp.127 - 137  

최원호 (국립순천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9,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성취수준별 특징을 조사하였다.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았다. 우수학력 학생들은 현상의 변화를 물질의 특징과 모형을 함께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보통학력 학생들은 단순한 상황에 한정하여 모형을 활용하여 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기초학력 학생들은 모형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여 물질 현상을 모형을 이용하여 설명하지 못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student's characteristics in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using the results of the NAEA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9 and 2010 for Grade 9 students.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item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revealed that (a) advanc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 선행 연구16−18에서는 각 성취수준별 의미를 제시하고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 수준별 수업이나 평가를 하기위해 필요한 성취수준별 특징이나 각 성취수준에 속한학생들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수준별 정답률이 공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중학교 3학년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화학이라는 학문을 구성하는 지식의 구조에서 학생들이성취수준별로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성취 수준별로 학생들의 능력을 이해하고 수준별 수업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가설 설정

  • 먼저 대표 문항이 속한 성취수준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분석 대상 문항을 구성하는 보기의 진위를 판단하거나 서답형의 답을 서술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그 문항의 출제 의도와 문항 구성 내용을 참고하여 기술하였으며, 이 능력을 대표 문항이 속한 성취수준의 특징으로가정하였다. 그리고 대표 문항이 속한 성취수준의 하위성취수준에서는 해당 문항의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가정하고 그 문항을 해결하지 못하는 이유를 추론하기 위해 반응률이 가장 높은 오답의 특징을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정기 고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수준별 교육 및 수업에 관한 선행 연구에 의하면, 우선 수준별 집단 편성과 특별보충 과정 이수에 대한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7 수준별 수업에 대한 반성과 개선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수준별 수업의 분반 준거로 정기 고사 결과를 주로 활용하고 있는데8, 학교 정기 고사는 주로 상대적 서열 도출을 목적으로 하는 규준지향 평가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수준별 수업을 위해 학생들이 해당 교과의 특정 성취기준에 얼마나 도달하고 있는지 판단하거나 학생들의 수준을 이해하는 데는 불충분하다9. 학교 현장에서는 수준별 학습에 대한 체계적 평가710와 수준별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재 개발11의 필요성이 제안되고 있지만 수준별 수업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무엇인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 수준에서 학교 교육의 질을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매년 실시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구성 문항은 단원별, 행동영역별, 성취수준별로 골고루 출제되고 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과 정답률은 매년 공개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성취수준별 정답률이 공개된 2009,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1718에서 중학교 화학 문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원별로 출제된 분석 대상 문항 수는 Table 1과 같다.
과학과의 교육과정의 위계적인 구성의 특징 상 나타날 수 있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과학과의 교육과정은 초등학교부터 중학교를 거쳐 고등학교까지 특정 개념이 그 폭과 범위를 달리하면서 쉬운 정도에서 어려운 정도로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나 중학교에서 하위 개념의 이해가 부족할 경우 고등학교에서 상위 개념을 연속적으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과학 과목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과학 과목에서 학생들의 성취수준별 이해 수준 등의 특징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수준별 분반이나 수업에 대한 학교 현장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Korea, 2007.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2009. 

  3. Jeong, E.; Kim, M.; Sang, K. A Study on Improving the National Assessment System of Educational Achieve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2008. 

  4. Kim, S.; Nam, M.; Jeong, E.; Kim, S. KICE Position Paper 2009, 1(1). 

  5. Ministry of Education. 7th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1997. 

  6. Yi, B.; et al.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2005. 

  7. Kim, S.; Kim, J.; Jung, S. J. Curriculum Studies 2004, 22(1), 45. 

  8. Choe, S.; Lee, D. J. Korean Soc. Math. Ed. Ser. A: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05, 44(3), 325. 

  9. Do, J.; Ko, J.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08, 22(2), 109. 

  10. Jang, J. J. Linguistic Science 2000, 51, 277. 

  11. Jeong, Y.; Kang, M. Korea Soc. Math. Ed. The 41th Proceedings of National Meeting of Math. Ed 2008, 3. 

  12. Kwon, J. J. Korean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12, 16(1), 29. 

  13. Cho, Y. J.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2005, 7(1), 33. 

  14. Cho, N.; Baek, S.; So, K.; Kim, K.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Based Assessment Standards for High School 10 Common Compulsory Course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1998. 

  15. Lee, Y.; Lee, S.; Hong, M.; Hong,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99, 19(1), 159. 

  16. Jeong, E.; Kim J.; Lee, K.; Choi, 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I) in 2002-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2002. 

  17. Choi, W.; Lee, I.; Park, J.; Sin, M.; Kim, J.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9-Analysis of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Result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2010. 

  18. Kim, H.; Lee, I.; Kim, M.; Jeong, J.; Sin, M.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10-Analysis of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Result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2011. 

  19. Jeong, E.; Nam, M.; Kim, D.; Kim, H.; Park, G.; Lee, B.; Kwon, J.; Choi, W.; Lee, I.; Joe, B.; Song, M.; Choi, I.; Kim, H.; Kim, S. A Study on developing framework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each subjec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2010. 

  20. Choi, W.; Lee, I.; Kim, J.; Jeong, E.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1, 14(2), 2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