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어 트위터 감성 분석을 위한 SentiWordNet 활용 기법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Using SentiWordNet for English Twitter Sentimen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3 no.4, 2013년, pp.317 - 324  

강인수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트위터 감성 분석은 트윗글의 감성을 긍정과 부정으로 분류하는 작업이다. 이 연구에서는 SentiWordNet(SWN) 감성 사전에 기반한 트윗글 감성 분석을 다룬다. SWN은 전체 영어 단어에 대해 단어의 의미별로 긍정, 부정의 감성 강도를 저장해 둔 감성 사전이다. 기존 SWN 기반 감성 분석 연구들은 문서에 출현하는 각 용어의 감성을 SWN으로부터 결정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문서 전체의 감성을 결정하였는데, 그 방법들이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한 용어의 감성 결정 시 해당 용어의 SWN 내 의미별 긍정, 부정 감성 강도 차이들의 평균을 계산하거나 긍정과 부정 각각의 감성 강도 평균 혹은 최대값을 구하기도 하며, 문서 전체의 감성을 결정하는 경우에도 문서 내 용어들의 감성 값들에 대해 평균 혹은 최대값을 취하기도 하였다. 또한 SWN 내 형용사, 동사, 명사, 부사의 품사 집합 전체 혹은 특정 부분집합에 대해 위의 감성 결정 작업을 적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기존 연구에서는 SWN 기반의 다양한 감성 자질 추출 절차가 시도되고 있으나 이들 자질 추출 기법 전반에 대한 성능 비교 연구는 찾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SWN을 트위터 감성 분석에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일반화하는 절차들을 소개하고 각 방법들의 성능 비교 및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itter sentiment analysis is to classify a tweet (message) into positive and negative sentiment class. This study deals with SentiWordNet(SWN)-based twitter sentiment analysis. SWN is a sentiment dictionary in which each sense of an English word has a positive and negative sentimental strength.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들 자질 추출 기법 전반에 대한 성능 비교 연구는 찾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SWN을 트위터 감성 분석에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일반화된 절차로 제시하고, 성능 비교 및 분석 결과를 기술한다. 실험에서는 총 720가지 SWN 기반 감성 자질 추출법에 대해 SVM 기계학습을 적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어 트위터 감성 분석을 위한 기존 연구에서는 어떠한 방법들이 시도되었는가? 영어 트위터 감성 분석을 위한 기존 연구에서는 n-gram 형식의 용어 자질을 사용한 기계학습법[1]으로 시작하여, 품사(POS, Part-of-speech) 자질[2,3], 감성 사전에서 추출된 자질[2,4], 그리고 전술한 이모티콘, 해쉬태그, 유저태그 등의 마이크로블로깅(microblogging) 자질을 활용하는 방법들[4,5]이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트윗글에 출현하는 용어에 내재된 PERSON, COMPANY, PRODUCT 등의 개념 자질들을 활용하여 감성 분석의 성능 향상이 시도되고 있다[6].
트위터(Twitter) 감성 분석이 기존의 텍스트 유형의 의견 분석과는 다른 특징은 무엇인가? 트위터(Twitter)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은 하나의 트윗글(Tweet Message)을 입력으로 받아 그 트윗글을 통해 전달되는 감성의 극성(Polarity)을 긍정(Positive)과 부정(Negative)으로 분류하는 작업이다. 기존 의견 분석(Opinion Mining)이 시도되었던 영화평, 도서평, 상품평 등의 텍스트 유형과 달리, 트윗글은 최대 140자 길이 제약과 함께 이모티콘(Emoticon), 해쉬태그(Hash Tag), 유저태그(Username), 리트윗(RT), URL 등의 독특한 용어/구문적 특성을 갖고 있어, 새로운 복잡도를 갖는 감성 분석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트위터 감성 분석이란? 트위터(Twitter)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은 하나의 트윗글(Tweet Message)을 입력으로 받아 그 트윗글을 통해 전달되는 감성의 극성(Polarity)을 긍정(Positive)과 부정(Negative)으로 분류하는 작업이다. 기존 의견 분석(Opinion Mining)이 시도되었던 영화평, 도서평, 상품평 등의 텍스트 유형과 달리, 트윗글은 최대 140자 길이 제약과 함께 이모티콘(Emoticon), 해쉬태그(Hash Tag), 유저태그(Username), 리트윗(RT), URL 등의 독특한 용어/구문적 특성을 갖고 있어, 새로운 복잡도를 갖는 감성 분석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 Go, R. Bhayani, L. Huang, "Twitter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Distant Supervision," CS224N Project Report, Stanford, 2009. 

  2. A. Agarwal, B. Xie, I. Vovsha, O. Rambow, R. Passonneau, "Sentiment Analysis of Twitter Data,"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Languages in Social Media (LSM), 2011. 

  3. A. Pak, P. Paroubek, "Twitter as a Corpus for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2010. 

  4. L. Barbosa, J. Feng, "Robust Sentiment Detection on Twitter from Biased and Noisy Data,"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COLING), 2010. 

  5. E. Kouloumpis, T. Wilson, J. Moore, "Twitter Sentiment Analysis: The Good the Bad and the OMG!,"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ICWSM), 2011. 

  6. H. Saif, Y. He, H. Alani, "Semantic sentiment analysis of twitter,"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Semantic Web (ISWC), 2012. 

  7. S. Baccianella, A. Esuli, F. Sebastiani, "SentiWordNet 3.0: An Enhanced Lexical Resource for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2010. 

  8. K. Denecke, W. Nejdl, "How valuable is medical social media data? Content analysis of the medical web," Information Sciences, vol. 179, no. 12, pp. 1870-1880, 2009. 

  9. M. Taboada, J. Brooke, M. Tofiloski, K. Voll, "Lexicon-Based Methods for Sentiment Analysis," Computational Linguistics, vol. 37, no. 2, pp. 267-307, 2011. 

  10. A. Hamouda, M. Rohaim, "Reviews Classification Using SentiWordNet Lexicon," The Online Journal on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OJCSIT), vol. 2, no. 1, pp. 120-123, 2011. 

  11. R. Dehkharghani, B. Yanikoglu, D. Tapucu, Y. Saygin, "Adaptation and Use of Subjectivity Lexicons for Domain Dependent Sentiment Classification," IEE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Workshops (ICDMW), 2012. 

  12. Y. Lee, S. Na, J. Kim, S, Nam, H. Jung, J. Lee, "KLE at TREC 2008 Blog Track: Blog Post and Feed Retrieval," Proceedings of The Seventeenth Text REtrieval Conference (TREC), 2008. 

  13. B. Ohana, B. Tierney, "Sentiment classification of reviews using SentiWordNet," Proceedings of the 9th IT&T Conference, 2009. 

  14. R. Feldma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for sentiment analysi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56, no. 4, pp. 82-89, 2013. 

  15. B. Liu,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Synthesis Lectures o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Morgan & Claypool Publishers, 2012. 

  16. B. Pang, L. Lee,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Foundations and Trends in Information Retrieval, vol. 2, no. 1-2, pp. 1-135, 2008. 

  17. P. Gehler, S. Nowozin, "On feature combination for multiclass object classification," Proceedings of IEE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ICCV), 2009. 

  18. S. Kim, S. Park, S. Park, S. Lee, K. Kim, "A Syllable Kernel based Sentiment Classification for Movie Review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0, no. 2, pp. 202-207,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