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온기 야간시간 근권냉방이 파프리카 배지온도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ot Zone Cooling at Night on Substrate Temperature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Paprika in Hot Climate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2 no.4, 2013년, pp.349 - 354  

최기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고지연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최은영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이한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이성은 (제주한라대학교 마축자원학과) ,  이용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고온기 근권냉방이 파프리카의 배지온도 하강과 파프리카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7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코이어 배지에서 재배하였다. 냉방방식은 공기순환 덕트(지름 12cm, 미세구멍(0.1mm)으로 찬 공기(7월~8월; $20{\pm}2^{\circ}C$, 9월; $23{\pm}2^{\circ}C$)를 야간시간(오후 5시~오전 3시) 공급하였다. 고온기(7월 23일부터 8월 31일) 중 파프리카 배지의 일평균 온도가 냉방처리구는 $24.7^{\circ}C$, 대조구는 $28.2^{\circ}C$로, 냉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3.0{\sim}5.6^{\circ}C$ 배지온도가 낮아졌다. 하루 중 맑은 날($650{\sim}700W{\cdot}m^{-2}$) 주간(오전 5시~오후 8시)/야간(오후8시~오전5시) 냉방처리구 배지 온도는 대조구보다 $1.7^{\circ}C/3.3^{\circ}C$ 낮아졌다. 오후 6시에서 8시까지 초저녁 배지온도 하강속도가 냉방처리구에서는 평균 $0.5^{\circ}C/h$, 대조구는 $0^{\circ}C/h$였다. 배지 상부와 하부 간의 대조구 대비 냉방처리구의 온도차도 각각 $1.3^{\circ}C$, $0.6^{\circ}C$였다. 냉방처리는 고온($28{\sim}32^{\circ}C$) 배지 온도 노출율을 대조구 대비 32.5% 감소시켰다. 냉방처리구의 파프리카 광합성, 증산율 및 수분포텐셜은 대조구보다 높았다. 첫 개화시기도 대조구보다 4일 앞당겨지고, 착과수도 증가하였다. 냉방처리구의 엽장은 짧아졌으나, 초장, 경경, 분지수, 엽폭 등은 차이가 없었다. 야간 근권냉방으로 배지 온도가 $3.0{\sim}5.6^{\circ}C$를 낮추었으나, 고온기 온실 온도가 고온에서는 파프리카 착과가 지연되므로, 지상부 온도 하강 방법을 병행하면 파프리카 생육과 착과에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a technique for cooling root zone aimed at lowering substrate temperature for sweet pepper (Capsicum annum L. 'Orange glory') cultivation in coir substrate hydroponics during hot season, from the $16^{th}$ of July to $15^{th}$ of October in 2012. The root z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고온기 파프리카 수경재배에서 작물과 작물 사이에 공기 순환 덕트를 이용하여 야간시간 냉방하였을 때 근권의 배지 온도 변화와 파프리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 본 실험은 고온기 근권냉방이 파프리카의 배지온도 하강과 파프리카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7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코이어 배지에서 재배하였다. 냉방방식은 공기순환 덕트(지름 12cm, 미세구멍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프리카 재배 적정온도는 몇 도인가? 우리나라 여름철 일중 최고 온도는 30~ 35℃를 웃돌기 때문에 시설 내부 온도는 이보다 높은 40℃를 상회하기도 한다. 파프리카 재배 적정온도는 착과 이전에는 주간 25~27℃, 야간 18~20℃이며, 착과 후 에는 일평균 온도를 21℃로 관리함을 권장 목표로 한다 (Bakker와 Uffelen, 1988). 그러나 여름철 고온 다습한 시설 환경은 배꼽썩음과, 꼭지무름과, 일소과 등의 생리 장해 뿐 아니라 낙화 및 낙과율이 증가하여 생산성과 품질 향상의 제한 요인이 된다(Cho 등, 2009; Rylski와 Spigelman, 1982).
우리나라 파프리카는 어디를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는가? 파프리카는 남부 지방과 강원도 지방을 중심으로 연중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여름철 일중 최고 온도는 30~ 35℃를 웃돌기 때문에 시설 내부 온도는 이보다 높은 40℃를 상회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파프리카 재배의 제한 요인은 무엇인가? 파프리카 재배 적정온도는 착과 이전에는 주간 25~27℃, 야간 18~20℃이며, 착과 후 에는 일평균 온도를 21℃로 관리함을 권장 목표로 한다 (Bakker와 Uffelen, 1988). 그러나 여름철 고온 다습한 시설 환경은 배꼽썩음과, 꼭지무름과, 일소과 등의 생리 장해 뿐 아니라 낙화 및 낙과율이 증가하여 생산성과 품질 향상의 제한 요인이 된다(Cho 등, 2009; Rylski와 Spigelman, 198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oni, B., T. Pashkar, and L. Karni. 1991. Partitioning of 14C sucrose and acid invertase activity in reproductive organs of pepper plants in relation to their abscission under heat stress. Ann. Bot. 67:371-377. 

  2. Bakker, J.C. and J.A.M. van Uffelen. 1988. The effects of diurnal temperature regimes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pepper. Neth. J. Agri. Sci. 36:201-208. 

  3. Behboudian, M.H., W.R. Graves, C.S. Walsh, and R.F. Korcak. 1994. Water relations, mineral nutrition, growth and 13C discrimination in two apple cultivars under daily episodes of high root-medium temperature. Plant and Soil 162:125-133. 

  4. Cho, I.H., W.M. Lee, K.B. Kwan, Y.H. Woo, and K.H. Lee. 2009. Stable production technique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by hydrogen peroxide treatment at summer. J. Bio-Environ. Cont. 18:297-301 (in Korean). 

  5. Choi, K.Y., J.Y. Ko, H.C. Rhee, S.T. Park, G.H. Jung, and Y.B. Lee. 2012. Effect of Cooling method and time in root zone on leaf temperature and substrate temperature of sweet pepper in summer season. Kor. J. Hort. Sci. Technol. 30(Suppl II):80 (in Korean). 

  6. Erickson, A.N. and A.H. Markhart. 2001. Flower production, fruit set and physiology of bell pepper during elevated temperature and vapor pressure deficit. J. Amer. Soc. Hort. Sci. 126(6):697-702. 

  7. Jang, Y.A., J.G. Lee, Y.C. Um, S.Y. Kim, S.S. Oh, and S.H. Cha. 2010.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cooling on fruit setting and yield of paprika in summer hydroponics. Kor. J. Hort. Sci. Technol. 28(Suppl I):58-59 (in Korean). 

  8. Khah, E.M. and H.C. Passam. 1992. Flowering, fruit set and development of the fruit and seed of sweet pepper cultivated under conditions of high ambient temperature.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67:251-258. 

  9.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 (aT). 2013. Import&export statistics. 

  10. Lee, J.H., K.J. Kwon, O.K. Kwon, Y.H. Choi, and D.K. Park. 2002. Cooling efficiency and growth of tomato as affected by root zone cooling methods in summer season. J. Bio-Environ. Cont. 11:81-87 (in Korean). 

  11. Lee, E.J. D.H. Kim, D.J. Myoung, J.H. Bae, and J.H. Lee. 2011. Effect of early-night temperature in summer season o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of sweet pepper. Kor. J. Hort. Sci. Technol. 29(Suppl II):81 (in Korean).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RFA). 2012. Greenhouse status and crop production of vegetables (in Korean). 

  13. Moon, J.H., Y.K. Kang, and H.D. Suh. 2007. Effect of root-zone cool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at supraoptimal air temperature. Acta Hort. 761:271-274. 

  14. Morgan, L. 2011. Root zone chilling. http://www.thctalk.com/ cannabis-forum/archive/index.php/t-50357.html. 

  15. Na, T.S., K.J. Choi, B.K. Yun, M.S. Cho, H.G. Kim, and H.J. Kim. 2011. Cooling effect on bell pepper on glass house in summer. Kor. J. Hort. Sci. Technol. 29(Suppl II):79-80 (in Korean). 

  16. Nilson, E. and D. Orcutt. 1996. Physiology of plants under stress: Abiotic factors. Wiley, New York. 

  17. Tan, L.P., H.E. Jie, and S.K. Lee. 2002. Effect of root zone temperature on the root development and nutrient uptake of Lactuca sativa L. "PANAMA" grown in an aeroponic system in the tropics. J. Plant Nutrition 25:297-314. 

  18. Rylski, I. and M. Spigelman. 1982. Effects of different diurnal temperature combinations on fruit set of sweet pepper. Scientia Horticulture 17:101-1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