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기순환 덕트를 이용한 근권부 냉방이 고온기 파프리카 재배에서 온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Zone Cooling Using the Air Duct on Temperatures and Growth of Paprika During Hot Temperature Period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4 no.3, 2015년, pp.243 - 251  

최기영 (강원대학교 시설농업학과) ,  장은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이한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  여경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  최은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김일섭 (강원대학교 원예학과) ,  이용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권부 공기순환 덕트 냉방이 온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고온기 파프리카((Capsicumannum.L. 'Veyron')을 코이어배지에서 수경재배하였다. 냉방시간처리는 24시간 연속 가동한 연속냉방(All-day), 17시부터 다음날 1시까지 8시간 냉방한 야간냉방(Night), 대조구인 냉방 무처리(Control) 등 3 처리하여 온실 상 하부 온도, 근권온도, 엽온, 과실 특성 및 기관 분배율을 측정하였다. 근권부 덕트 냉방하였을 때, 고온기(6월 ~8월) 온실하부(바닥으로부터 40cm)와 상부(바닥으로부터 180cm) 온도, 근권온도는 하강되었다. 대조구와 비교하여 온실하부/상부 온도 차이가 연속냉방에서는 $4.4{\sim}5.1^{\circ}C/2.1{\sim}3.1^{\circ}C$ 하강을, 야간냉방 처리에서는 $3.4{\sim}3.8^{\circ}C/2.2{\sim}2.7^{\circ}C$ 하강되었다. 근권온도는 온실 하부 온도 결과와 유사했으며, 연속냉방($22.8^{\circ}C$)> 야간 냉방($24.1^{\circ}C$) > 대조구($27.7^{\circ}C$) 순으로 온도가 낮았다. 연속냉방 처리에서 덕트 위치(통로, 베드하단)와 송풍 방향($45^{\circ}$, $90^{\circ}$, $180^{\circ}$)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덕트의 위치가 통로에 위치하고 송풍방향이 상향($45^{\circ}$) 또는 수평($180^{\circ}$)인 처리는 지상부 100cm까지의 수직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가 크지 않지 않으면서, 근권부위 온도인 지상 50cm 온도가 낮은 특징을 보였고 베드와 베드 공간 사이로 덕트 송풍 방향이 직각($90^{\circ}$)이였을 때는 바닥과 지상 50cm 부위의 온도가 높고, 지상 100cm 이상 200cm 부위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속냉방 또는 야간냉방 처리했을 때 파프리카 엽온은 오후 7시가 오전 9시 보다 엽온 하강이 컸다. 과실 분배율은 대조구(24.4%)에 비해 연속냉방(48.6%)과 야간냉방(45.6%)에서 높았으며, 평균과중, 과수 및 수량도 연속냉방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야간냉방 처리에서도 고온기 평균 지상부 및 근권온도를 낮추었으나, 누적된 평균온도가 가장 낮은 연속냉방처리에서 과실로의 동화산물 분배율을 높여 파프리카 수량을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oot zone cooling using air duct on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root zone and leaf temperatures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m L. 'Veyron') grown on coir substrate hydroponic system in a greenhouse. When the air duct was laid at the passage adjac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기 순환 덕트를 이용한 근권부 냉방은 인위적인 공기 유입으로 인해 온실 내부의 공기 흐름에 변화가 생기고, 이로 인해 덕트 주변의 근권 온도 뿐 아니라 온실내 지상부 온도 분포와 엽온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온기 파프리카 수경재배에서 근권부 공기 순환 덕트를 설치하고 냉방하였을 때 냉방 시간에 따른 온실과 작물 온도, 덕트 위치와 송풍 방향에 따른 작물 부위별 온도 및 파프리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물 생육에 있어 고온 극복을 위한 냉방시설의 종류는? 최근에는 공기열 히트펌트, 지열시스템 등 냉방 시설을 도입하여 고온 극복을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온실 전체 냉방은 냉방부하가 상대적으로 크고, 시설 내 냉방 시설을 도입하는 초기 비용과 에너지 소모량에 다른 운영 비중이 높아 작물 생육에 적합한 온도로 온실 환경을 유지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다.
코이어배지에 수경재배한 파프리카에 근권부 공기순환 덕트 냉방하였을 때, 고온기 온실상하부 및 근권온도의 변화는? 냉방시간 처리는 24시간 연속 가동한 연속냉방(All-day), 17시부터 다음날 1시까지 8시간 냉방한 야간냉방(Night), 대조구인 냉방 무처리(Control) 등 3 처리하여 온실 상·하부 온도, 근권온도, 엽온, 과실 특성 및 기관 분배율을 측정하였다. 근권부 덕트 냉방하였을 때, 고온기(6월 ~8월) 온실하부(바닥으로부터 40cm)와 상부(바닥으로부터 180cm) 온도, 근권온도는 하강되었다. 대조구와 비교하여 온실하부/상부 온도 차이가 연속냉방에서는 4.
고온기 작물 재배에 이용하는 국소냉방 방식의 종류는? 따라서 온실 전체를 냉방하는 것보다는 부분 냉방 방식이 더 경제적일 수 있다 (Lee 등, 2002; Morgan, 2011). 유공덕트와 열교환기를 이용하거나 XL 파이프 등을 이용한 지하수 환류 방식을 이용한 국소냉방 방식으로 고온기 작물을 재배하였을 때 근 권온도 하강과 함께 작물 생육에 긍정적이었음을 딸기 (Kim 등, 2010), 파프리카(Choi 등, 2013, Won 등, 2007), 토마토(Lee 등 2002) 및 엽채류(He 등, 2001) 등에서 보고한 바 있다(Choi 등, 2004; Morga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Faraj, A., G.E. Meyer, and G.L. Horst. 2001. A crop water stress index for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irrigation decision-making-a traditional method. Comp. Electron. Agric. 31:107-124. 

  2. Bakker, J.C. 1989.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flowering, fruit set and fruit development of glass sweet pepper. J. HortSci. 64:313-320. 

  3. Choi, K.Y., J.Y. Ko, E.Y. Choi, H.C. Rhee, S.E. Lee, and Y.B. Lee. 2013. The effect of root zone cooling at night on substrate temperature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paprika in hot climate. Protected Hort. Plant Fac. 22:349-354 (in Korean). 

  4. Choi, K.Y., J.Y. Ko, H.J. Yoo, E.Y. Choi, H.C. Rhee, and Y.B. Lee. 2014. Effect of cooling timeing in the root zone on substrate temperature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sweet pepper in summer cultivation. Kor. J. Hort. Sci. Technol. 32:53-59 (in Korean). 

  5. Choi, Y.H., J.K. Kwon, J.H. Lee, N.J. Kang, M.W. Cho, and B.G. Son. 2004. Effect of Cooling Method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 and Pepper Grown in Summer Season Greenhouse Culture. Kor. J. Hort. Sci. Technol. 22:388-392. 

  6. He, J., S.K. Lee, and I.C. Dodd. 2001. Limitations to photosynthesis of lettuce grown under tropical conditions: alleviation by root-zone cooling. J. of Expt. Bot. 52:1323-1330. 

  7. Khah, E.M. and H.C. Passam. 1992. Flowering, fruit set and development of the fruit and seed of sweet pepper cultivated under conditions of high ambient temperature. J. HortSci. 67:251-258. 

  8. Kim, K.D, Y.S. Ha, K.M. Lee, D.H. Park, S. Kwon, J.M. Park, and S.W. Chung. 2010. Development of temperature control technology of root zone using evaporative cooling methods in the strawberry hydroponics. J. Bio-Env. Con. 19:184-188. 

  9. Lee, J.H., K.J. Kwon, O.K. Kwon, Y.H. Choi, and D.K. Park. 2002. Cooling efficiency and growth of tomato as affected by root zone cooling methods in summer season. J. Bio-Environ. Con. 11:81-87 (in Korean). 

  10. Lee, J.H, Y.B. Lee, J.K. Kwon, N.J. Kang, H.J. Kim, Y.H, Choi, J.M. Park, and H.C. Rhee. 2006. Effect of greenhouse cooling and transplant quality using geothermal heat pump system. J. Bio-Env. Con. 15:211-216 (in Korean). 

  11. Lee, J.H. 2009. Effect using for energy saving by geothermal heat and root-zone cooling system in a greenhouse. PhD. Diss., Youngnam Univ., Kyungsang, Korea. p.2 and 6-7 (in Korean). 

  12. Lee, E.J. D.H. Kim, D.J. Myoung, J.H. Bae, and J.H. Lee. 2011. Effect of early-night temperature in summer season o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of sweet pepper. Kor. J. Hort. Sci. Technol. 29(Suppl ):81 (in Korean). 

  13. Morgan, L. 2011. Root zone chilling. http://www.thctalk.com/cannabis-forum/archive/index.php/t-50357.html. 

  14. Na, T.S., K.J. Choi, B.K. Yun, M.S. Cho, H.G. Kim, and H.J. Kim. 2011. Cooling effect on bell pepper on glass house in summer. Kor. J. Hort. Sci. Technol. 29(Suppl ):79-80 (in Korean). 

  15. Ofir, M., Y. Gross, F. Bangerth, and J. Kigel. 1993. High temperature effects on pod and seed production as related to hormone levels and abscission of reproductive structure in common bean (Phaseoulus vulgaris L.). Sci. Hortic. 55:201-211. 

  16. Rylski, I. and M. Spigelman. 1982. Effects of different diurnal temperature combinations on fruit set of sweet pepper. Sciencia Hort. 17:101-106. 

  17. Won J.H., S.J. Jeon, S.Y. Lee, and B.C. Jeong. 2007. The effect of root-zone cooling on the yield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in hydroponics during summer cultivation. J. Bio-Environ. Con. 16:288-29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