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복숭아 '장호원황도'의 엽위별 잎 발달과 광합성능의 변화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on the Leaf Growth and Changes of Photosynthetic Characterization by Leaf Position in 'Changhowon Hwangdo' Peach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2 no.4, 2013년, pp.361 - 365  

윤익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윤석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전지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남은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권정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배해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문병우 (엠원예기술연구소) ,  강희경 (공주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엽 후 10일이 경과하면 잎의 위치별 엽내 엽록소 함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엽 후 10일이 경과되지 않은 잎의 엽록소 함량은 전엽 경과일수가 적을수록 낮았다. 동일한 잎의 위치에서 전엽 후 경과일수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경시적 변화는 전엽 직후에 $2.56{\mu}g/cm^2$에서 12일째에는 $6.35{\mu}g/cm^2$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 약 2개월간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였는데 엽록소 함량이 가장 높은 시기는 전엽 후 11주째로 $9.03{\mu}g/cm^2$이었다. 엽면적은 전엽 직후부터 전엽 후 10일까지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잎의 광합성률은 전엽 후 30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여 전엽 30일 후에 $13.8{\mu}mol/m^{-2}/sec^{-1}$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이후에는 잎의 광합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졌다. 전엽 후 1주와 4주의 광도에 따른 광합성률은 두 시기 모두 PPFD $600{\mu}mol/m^{-2}/sec^{-1}$까지는 PPFD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률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 PPFD $1,200{\mu}mol/m^{-2}/sec^{-1}$까지는 완만한 증가율을 보이다 그 이상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전엽 후 1주와 전엽 후 4주간에는 전엽 후 4주가 전엽 후 1주에 비해 PPFD 증가에 따른 광합성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CO_2$ 농도별 광합성률은 600ppm까지는 농도가 높을수록 광합성성률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차광시간별 엽내 sucrose 함량은 1시간 까지는 차광처리구와 무처리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시간부터는 차광처리에서 sucrose 함량이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factors determining peach fruit quality, chlorophyll content by leaf positions, chlorophyll content of foliated leaf, change of leaf area, and photosynthetic capacity were monitored. Photosynthetic rate in response to radiation intensity and $CO_2$ concentration, and chan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복숭아의 경우 우리나라의 기상환경 특성상 과실의 성숙기에 기상변화에 따른 과실의 품질에 환경요인의 간섭을 많이 받음에도 불구하고 광합성능 및 광에 대한 품질개선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과실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복숭아 잎의 발달 특성과 광합성능에 대한 특성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숭아의 성숙기를 방해하는 장마의 영향은? 과실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당성 분은 광합성산물의 과실로의 전류에 의해 축적되는 만큼 잎의 광합성작용은 과실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복숭아의 성숙기와 중복되는 장마 기는 과실의 품질을 높이는데 불리한 환경에 처하게 되는데, 일조부족 혹은 차광(Oh 등, 1997; Kim 등, 2005), 침수 및 배수불량(Kang 등, 2008), 고온(Dejong, 1989; Lee 등, 2009) 및 건조(Kim 등, 2004) 등은 광합성 능력을 저하시켜 과실품질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복숭아의 경우 우리나라의 기상환경 특성상 과실의 성숙기에 기상변화에 따른 과실의 품질에 환경요인의 간섭을 많이 받음에도 불구하고 광합성능 및 광에 대한 품질개선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잎의 광합성작용이 과실의 품질에 중요한 이유는? 이렇게 해에 따른 품질변화가 심한 것은 대부분의 복숭아 품종의 성숙기가 장마기와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서 기상변화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과실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당성 분은 광합성산물의 과실로의 전류에 의해 축적되는 만큼 잎의 광합성작용은 과실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복숭아의 성숙기와 중복되는 장마 기는 과실의 품질을 높이는데 불리한 환경에 처하게 되는데, 일조부족 혹은 차광(Oh 등, 1997; Kim 등, 2005), 침수 및 배수불량(Kang 등, 2008), 고온(Dejong, 1989; Lee 등, 2009) 및 건조(Kim 등, 2004) 등은 광합성 능력을 저하시켜 과실품질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복숭아 과실의 품질변화가 해마다 심한 이유는? 복숭아는 해에 따라 과실의 품질변화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해에 따른 품질변화가 심한 것은 대부분의 복숭아 품종의 성숙기가 장마기와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서 기상변화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과실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당성 분은 광합성산물의 과실로의 전류에 의해 축적되는 만큼 잎의 광합성작용은 과실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ejong, T.M. 1989.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Peaches, Plums and Nectarines. University of California. pp. 38-41. 

  2. Jones, J.W., E. Dayan, L.H. Allen, H. Van Kuelen, and H. Challa. 1991. A dynamic tomato growth and yield model. Amer. Soc. Agricultral Biol. Eng. 34:663-672. 

  3. Kamaura, J., H. Yamaya, M. Seito, and S. Ichiki. 1990. Influences of some external treatments and some cultural practices on the occurrence of June drop in apple, with special referrence to photosynthates and and its translocation. Bull. Aomori Apple Exp. Stn. 26:109-133. 

  4. Kang, S.B., H.I. Jang, I.B. Lee, J.M. Park, and D.K. Moon. 2008. Effect of waterlogging condition on the photosynthesis of "Campbell Early" grapevine. Kor. J. Hort. Sci. Technol. 26(4):372-379. 

  5. Kim, K.Y. and F. Kamota. 1985. The effect of solar radiation on photosynthesis, dark respiration and leaf characteristics in japanese pear and peach canopy. J. Kor. Soc. Hort. Sci. Abst. pp. 56-57. 

  6. Kim, S.E., M.Y. Lee, and Y.S. Kim. 2013. Characterization of photosynthetic rates by tomato leaf position. Kor. J. Hort. Sci. Technol. 31(2):46-152. 

  7. Kim, S.J., D.J. Yu, J.H. Kim, T.C. Kim, B.Y. Lee, and H.J. Lee. 2004. Comparative photosynthetic charateristics of well-watered and water-stressed 'Rancocas' highbush blueberry leaves. J. Kor. Soc. Hort. Sci. 45(3):143-148. 

  8. Kim, S.J., R.N. Bae, D.J. Yu, and H.J. Lee. 2005. Photosynthetic response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shaded blueberry. Kor. J. Hort. Technol. 23(SUPPL. II) October p. 25. 

  9. K.M.A. 2009. Weather information. Korea Meteological Administration. 

  10. Lee, C.H., S.B. Kim, B.J. Park, J.H. Koh, and S.J. Kang. 1996. The fruit growth and changes in soluble sugar contents of two peach fruit cultivars after stone hardening stage. J. Kor. Soc. Hort. Sci. Abst. pp.328-329. 

  11. Lee, S.G., J.H. Moon, Y.A. Jang, S.Y. Kim, and K.D. Ko. 2009. Change of photosynthesis and cellular tissue under high CO2 concentration and high temperature in radish. Kor. J. Hort. Sci. Technol. 27(2):194-198. 

  12. Oh, S.D., D.G. Choi, and C.H. Cho. 1997. Effect of different light condition within canopy on growth and photosynthesis in apple tree. J. Kor. Soc. Hort. Sci. 38(4):391-395. 

  13. Ro, H.M., P.K. Kim, I.B. Lee, and J.M. Park. 2001. Photosynthetic and Morphometic response of apple trees after three years of exposure to elevated carbon dioxide and temperature. Kor. J. Hort. Technol. 23(SUPPL. I) p. 40. 

  14. Roh, H.M., S.K. Yun, and H.J. Lee. 2011. Photosynthetic efficiencies in the leaves of peach (Prunus percica) trees exposed to increased ambient $CO_2$ concentration. Kor. J. Hort. Technol. 29(SUPPL. I) p. 127. 

  15. Yoon, I.K., J.K. Kim, and H.C. Lee. 2002. Study on fruit qualities of peach fruits. Ann. Rep. Nat. Re. Ins. pp. 163-1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