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정보보안 기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방법
A Study for Security-Based Medical Information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Methodology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3 no.6, 2013년, pp.35 - 41  

김점구 (남서울대학교 컴퓨터학과) ,  노시춘 (남서울대학교 컴퓨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정보 보안에 대한 대안은 무엇보다 의료정보의 안전한 보존과 각종의 보안 위협으로부터 안전성을 강구하는 소프트웨어 설계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의료정보시스템은 산재된 의료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할 수 있어야 하고 의료정보의 교환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이어야 한다. 의료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는 의료정보 공유상 보안 문제를 파악하고 의사소통을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소프트웨어 설계에 반영한다.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설계, 메시지 표준 설계, 웹기반 프로세스간 통신절차 설계, 접근제어 알고리즘 설계, 아키텍처 기술서 작성, 아키텍처 평가의 제반 절차를 정립한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초기 결정은 설계, 개발, 테스트, 유지보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프로젝트상의 세부적 의사결정 근거가 된다. 의료정보보안 기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방법은 오늘날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는 의료정보 보안의 기본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at is an alternative to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of medical information more secure preservation and safety of various types of security threats should be taken, starting from the software design. Interspersed with medical information systems medical information to be able to integrate the 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른 평가는 아키텍처가 완성을 기다릴 필요없이 이미 내린 결정과 고려하는 결정 을 아키텍처 구축 과정 어느 때나 평가한다. 본 연구는 실제상황이 아니므로 평가방법 모델을 제시 하고 본 모델을 업무에서 활용토록 방법을 제시한다.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통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요구 성능이 충족되도록 방법론을 통하여 구체 적으로 분석되고 구현 및 테스트 방안이 기술되는지 평가한다.
  • 그러나 HL7이 정보교환 시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며 그 자체가 모든 상황을 완벽하게 대비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의료정보 공유상 보안문제 해결방안으로 의료정보 보안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의료정보보안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아키텍처가 개발되어야 하는 이유는 시스템 구축 후 문제점을 수정하기보다 설계, 개발단계에서 보안을 고려하여 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의료정보 단말노드인 스마트폰에서부터 인터넷 접속 환경, 그리고 PC와 서버에 침투하는 각종 보안위협은 날로 새로운 피해를 발생시키다. 이에 대한 대안은 무엇보다 의료정보의 안전한 보존과 각종 보안위협으로부터 안전성을 강구하는 소프트웨어 설계이다. 의료정보의 표준으로 활용되는 HL7은 정보의 표현 형식을 표준화하여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정보 단말노드인 스마트폰에서부터 인터넷 접속 환경, 그리고 PC와 서버에 침투하는 각종 보안위협은 날로 새로운 피해를 발생시키는데 이에 대한 대안은? 의료정보 단말노드인 스마트폰에서부터 인터넷 접속 환경, 그리고 PC와 서버에 침투하는 각종 보안위협은 날로 새로운 피해를 발생시키다. 이에 대한 대안은 무엇보다 의료정보의 안전한 보존과 각종 보안위협으로부터 안전성을 강구하는 소프트웨어 설계이다. 의료정보의 표준으로 활용되는 HL7은 정보의 표현 형식을 표준화하여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의료정보시스템의 필수요건은? 의료정보 보안에 대한 대안은 무엇보다 의료정보의 안전한 보존과 각종의 보안 위협으로부터 안전성을 강구하는 소프트웨어 설계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의료정보시스템은 산재된 의료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할 수 있어야 하고 의료정보의 교환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이어야 한다. 의료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는 의료정보 공유상 보안 문제를 파악하고 의사소통을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소프트웨어 설계에 반영한다.
의료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는 어떤 소프트웨어 설계를 반영하는가? 의료정보시스템은 산재된 의료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할 수 있어야 하고 의료정보의 교환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이어야 한다. 의료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는 의료정보 공유상 보안 문제를 파악하고 의사소통을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소프트웨어 설계에 반영한다.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설계, 메시지 표준 설계, 웹기반 프로세스간 통신절차 설계, 접근제어 알고리즘 설계, 아키텍처 기술서 작성, 아키텍처 평가의 제반 절차를 정립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IEEE Std. 1971 (Recommended Practice for Architectural Description of Software-Intensive Systems), 2000.10 

  2. Technical Report CMR/ SEI-95-Tr-021, 1995 

  3. David Gourley and Brian Totty, "HTTP: The Definitive Guide", O'Reilly Media, 2002. 

  4. http://www.owasp.org/index.php/ Cross-Site _Request_Forgery 

  5. http://www.owasp.org/index.php/CSRF_GuardOWASP,CSRFGuard, 

  6. Sichoon,Noh,"A Securing Method of Multispectral Protection Infrastructure for Malicious Traffic in Intrne System", DCS, 2006.02 

  7. R. H. Dolin, L. Alschuler, S. Boyer, C. Beebe,F. M. Behlen, et al(2005),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release 2," J. Am. Med. Inform.Assoc., 13(1), 30-39 

  8. Bernd Blobe(2004), "Authorisation and access control for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3, 251-257. 

  9. J.W. Choi, S.Y. Yoo, H.Y. Park, J.H. Chun(2005),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L7-based Real-time Data Communication for Mobile Clinical Information System", J. Biomed. Eng.Res.Vol.26, No2,65-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