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폐쇄적 내만 광양만에서 종속영양적조생물 야광충의 수문학적 및 생태학적 특성
Hydrographical and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Red Tide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in Semi-enclosed Gwangyang Bay,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1 no.4, 2013년, pp.308 - 321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  김동선 (해양순환 기후연구부) ,  최현우 (해양과학데이터센터) ,  김영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양만에서 야광충 Noctiluca scintillans의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계지리학적 및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2010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19 또는 20개 정점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야광충은 하계의 수온범위가 $15^{\circ}C$에서 $22^{\circ}C$로, 염분이 25.0 psu에서 30.0 psu 사이의 환경조건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이와 반대로, 그들의 개체군은 동계 $4^{\circ}C$의 낮은 수온 조건에서도 출현하였으나, 동계를 비롯하여 춘계, 추계에는 야광충의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27^{\circ}C$ 이상의 높은 수온과 12.0 psu 이하의 낮은 염분조건의 환경에서는 야광충 개체수의 사멸로 이어졌다. 야광충의 먹이원인 Chl.a 농도와는 동계, 춘계, 추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었고, 하계 야광충의 높은 밀도가 관찰되었을 때에는 Chl.a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야광충의 포식압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되며, 하계와 같이 야광충의 개체수밀도가 높았을 때에는 식물 플랑크톤(Chl.a)을 현저하게 포식하여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을 것이고, 나머지 계절의 양(+) 상관관계는 야광충의 개체수를 유지하는데 일정량 먹이원이 필요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pulation dynamics of red tide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we examined its hydrographical and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t 19 to 20 stations of Gwangyang Bay during all four seasons from 2010 to 2012. During the 3-year period, N. scintillans was seasonal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Baek et al. (2011)의 후속 연구로서 반폐쇄적인 광양만에서 조류의 흐름, 먹이생물, 해양의 일반환경과 같은 수계지리학적 및 생물생태학적 관점과 더불어 풍향, 풍속, 강우 등과 같은 기상학적 관점에서 야광충의 개체수 변동과 집적에 관한 계절적 변동 특색을 논의 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동물플랑크톤을 채집하는 네트로 저층에서 표층까지 수직인양하는 방법은 개체수가 존재하지 않는 수층의 여과 수율(filtering rate)까지 환산되기 때문에 그들의 개체수를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산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표층부에 분포하는 야광충 개체수의 계절적 정점별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표층수를 버켓으로 채수한 후 망목(mesh)으로 농축하여 개체수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특히 야광충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주요 환경인자로는 수온, 염분, 먹이농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Enomoto 1956; Uhlig and Sahling 1990; Huang and Qi 1997; Tada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광충 적조가 대부분 표층에 분포하는 이유는? 야광충 적조의 형성은 풍선 같이 생긴 그들 생물의 형태학적 특성에 의한 영향으로 대부분 표층에서 분포하며, 유영능력이 극히 떨어져 바람 및 해류 등으로 인하여 수동적으로 집적과 확산을 반복한다(Le Fevre and Grall 1970; Schaumann et al. 1988; Huang and Qi 1997; DelaCruz et al.
적조현상이란? 적조현상은 미소생물이 호조건의 환경하에서 일시에 다량으로 증식하여 해수의 색깔을 변색시키는 현상이다. 우리나라 연안의 유해 유독 적조현상은 1980년대 이후 편모조류를 중심으로 빈번하게 발생하여 수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까지 발생하는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광양만의 풍속 평균은 어떤 계절 순으로 높았습니까? 풍향 및 풍속은 기상청 여수서비스 센터에서 운영되는 자료를 취합하여 현장조사 당일 기준으로 10일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풍속의 평균은 동계, 추계, 춘계, 하계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최고치는 2012년 춘계 15.2 m s-1로 관찰되었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k SH, HH Shin, DS Kim and YO Kim. 2011.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Gwangyang Bay and Jinhae Bay. Korean J. Environ. Biol. 29:81-91. 

  2. Baek SH, S Shimode, HC Kim, MS Han and T Kikuchi. 2009. Strong bottom-up effects on phytoplankton community caused by a rainfall during spring and summer in Sagami Bay, Japan. J. Mar. Syst. 75:253-264. 

  3. Baek SH, S Shimode, MS Han and T Kikuchi. 2008. Population development of the dinoflagellate Ceratium furca and Ceratium fusus during spring and early summer in Iwa Harbor, Sagami Bay, Japan. Ocean Sci. J. 43:49-59. 

  4. Buskey EJ. 1995. Growth and bioluminescence of Noctiluca scintillans on varying algal diets. J. Plankton Res. 17:29-40. 

  5. Dela-Cruz J, P Ajani, R Lee, T Pritchard and I Suthers. 2002. Temporal abundance patterns of the red tide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along the southeast coast of Australia. Mar. Ecol. Prog. Ser. 236:75-88. 

  6. Elbrachter M and YZ Qi. 1998. Aspects of Noctiluca (Dinophyceae) population dynamics. pp. 315-335. In: Physiological ecology of harmful algal blooms (Anderson DM, AD Cembella and MG Hallegraeff eds.). Springer Verlang Berlin. 

  7. Enomoto Y. 1956. On the occurrence and the food of Noctiluca scintillans (Macartney) in the waters adjacent to the west coast of Kyushu,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ossibility of the damage caused to the fish eggs by that plankton. Bull. Jap. Soc. Sci. Fish. 22:82-89. 

  8. Hansen PJ, L Miranda and R Azanza. 2004. Green Noctiluca scintillans: a dinoflagellate with its own greenhouse. Mar. Ecol. Prog. Ser. 275:79-87. 

  9. Huang C and Y Qi. 1997. The abundance cycle and influence factors on red tide phenomena of Noctiluca scintillans (Dinophyceae) in Dapeng Bay, the South China Sea. J. Plankton Res. 19:303-318. 

  10. Jang MC, K Shin, PG Jang and WJ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hort-term variations of mesozooplankton during summer in Jangmok Bay, south coast of Korea. Ocean Polar Res. 32:41-52. 

  11. Kang JH. 2010.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carrying capacity of the potentially risky species Noctiluca scintillans at international Korean seaports. Ocean Polar Res. 32:449-462. 

  12. Kim DI, Y Matsuyama, S Nagasoe, M Yamaguchi, YH Yoon, Y Oshima, N Imada and T Honjo. 2004.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red tid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J. Plankton Res. 26:61-66. 

  13. Kuroda I and S Saga. 1978. The distribution and ecology of Noctiluca scintillans in Ohsaka Bay. Bull. Jap. Soc. Fish. Oceanogr. 32:56-67. (in Japanese) 

  14. Le Fevre J and JR Grall. 1970. On the relationships of Noctiluca swarming off the western coast of Brittany with hydrological features and plankton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J. Exp. Mar. Biol. Ecol. 4:287-306. 

  15. Lee YS, CK Kang, YK Choi and SY Lee. 2007. Origi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t Gwangyang Bay in the fall. The Sea. 12:1-8. 

  16. Miyaguchi H, T Fujiki, T Kikuchi, VS Kuwahara and T Toda. 2006. Relationship between the bloom of Noctiluca scintilla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waters of Sagami Bay, Japan. J. Plankton Res. 28:313-324. 

  17. Montani S, S Pithakpol and K Tada. 1998. Nutrient regeneration in coastal sea by Noctiluca scintillans, a red tide causing dinoflagellate. J. Mar. Biotechnol. 6:224-228. 

  18. Nagasoe S, DI Kim, Y Shimasaki, Y Oshima, M Yamaguchi and T Honjo. 2006.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red dinoflagellate Gyrodinium instriatum Freudenthal et Lee. Harmful Algae 5:20-25. 

  19. Nakamura Y. 1998. Biomass, feeding and production of Noctiluca scintillans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J. Plankton Res. 20:2213-2222. 

  20.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2002. Tidal current charts (Approaches to Gwangyang Hang).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Republic of Korea. 11-1520290-0000048-14. 

  21.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173pp. 

  22. Qi Y, Z Zhang and Y Hong. 1993. Occurrence of red tides on the coasts of China. pp. 43-46. In Toxic Phytoplankton Bloom in the Sea (Smayda TJ and Y Shimizu e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23. Schaumann K, D Gerdes and KJ Hesse. 1988. Hydrographic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Noctiluca scintillans red tide in the German Bight. Meeresforschung 32:77-91. 

  24. Sekiguchi H and T Kato. 1976. Influence of Noctiluca's predation on the Acartia population in Ise Bay, Central Japan. J. Oceanogr. Soc. Japan 32:195-198. 

  25. Sriwoon R, P Pholpunthin, T Lirdwitayaprasit, M Kishino and K Furuya. 2008. Population dynamics of green Noctiluca scintillans (dinophyceae) associated with the monsoon cycle in the upper Gulf of Thailand. J. Phycol. 44:605-615. 

  26. Sweeney BM. 1971. Laboratory studies of green Noctiluca from New Guinea. J. Phycol. 7:53-58. 

  27. Tada K, S Pithakpol, R Yano and S Montani. 2000. Carbon and nitrogen content of Noctiluca scintillans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J. Plankton Res. 22:1203-1211. 

  28. Tada K, S Pithakpol, R Yano and S Montani. 2004. Seasonal variation in the abundance of Noctiluca scintillans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Plankton Biol. Ecol. 51:7-14. 

  29. Uhlig G and G Sahling. 1990. Long-term studies on Noctiluca scintillans in the German Bight population dynamics and red tide phenomena 1968-1988. Neth, J. Sea Res. 25:101-112. 

  30. Umani SF, A Beran, S Parlato, D Virgilio, T Zollet, AD Olazabal, B Lazzarini and M Cabrini. 2004. Noctiluca scintillans Macartney in the Northern Adriatic Sea: long-term dynamics, relationships with temperature and eutrophication, and role in the food web. J. Plankton Res. 26:545-561. 

  31. Yoo JK, SH Youn and JK Choi. 2006. Temporal fluctu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ctiluca scintillans (Dinophyceae) in the coastal waters of Incheo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4:372-379. 

  32. Zingone A and HO Enevoldsen. 2000. The diversity of harmful algal blooms: a challenge for science and management. Ocean Coast. Mange. 43:725-7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