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강수계의 하천차수별 어류군집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to Stream Order in Namhan River Watershed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special issue, 2014년, pp.100 - 115  

이승현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황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상정 (국립환경과학원) ,  이수형 (국립환경과학원) ,  최준길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7년 11월부터 2010년 9월까지 2차 하천부터 6차하천까지 하천 차수에 따라 총 51개의 지점을 7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2과 55종이었으며, 전체 지점에서 참갈겨니 (Zacco koreanus)가 우점하고, 피라미 (Zacco platypus)가 아우점 하였다. 또한 천연기념물 1종 (1.8%),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 6종(10.9%), 한국고유종 22종(40.0%)이 확인되었다. 하천차수가 2차하천에서 6차하천으로 증가할수록 종수,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종풍부도지수, 내성종, 잡식종이 증가하며, 개체수, 우점도지수, 민감종, 충식종, IBI종합 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결과 각 지점들의 분포양상은 종수, 개체수, 군집지수, 내성종, 민감종, 잡식종, 충식종에 따라 상류와 하류로 구분이 되었다. 다변량 상관관계 분석결과 하천차수와 다변수(종수, 다양도지수, 잡식종, 하폭, 수심, 수온)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is study, we collected fishes of seven times at the 51 sites by stream orders (2-6) from November 2007 to September 2010. In the results, 55 species belonging 12 families were collected. And there were one species (1.8%) of Natural monument, 6 species (10.9%) of endangered and 22 species (4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와 충청북도에 걸친 남한강 상류수계의 51개 지점을 대상으로 2차에서 6차까지 하천 차수(Stream order)에 따라 구분하여 어류군집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생태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하천차수에 따른 어류군집의 분포 특성 파악을 위한 IBI모델의 활용과 주성분 분석을 통한 다변량 변수 분석으로 정량화에 기준하여 향후 하천차수에 따른 어류 군집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와 충청북도에 걸친 남한강 상류수계의 51개 지점을 대상으로 2차에서 6차까지 하천 차수(Stream order)에 따라 구분하여 어류군집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생태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하천차수에 따른 어류군집의 분포 특성 파악을 위한 IBI모델의 활용과 주성분 분석을 통한 다변량 변수 분석으로 정량화에 기준하여 향후 하천차수에 따른 어류 군집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한강수계란 무엇인가? 남한강수계는 총 유로연장 375 km, 유역면적 12,577 km2인 한강의 2대 지류로 강원도 삼척시의 대덕산에서 발원하여, 충주호와 팔당호로 유입되는 주요 상수원이다. 또한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충주호가 위치하여 홍수 및 갈수기에 수문조절을 통하여 남한강 하류의 유량및 이화학적 수질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Han and An, 2008), 최근에는 남한강 인근 수계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및 축산폐수 등이 퇴적되면서 이화학적 수질오염 및 수체의 부영양화 현상을 야기시키고 있다 (Oh et al.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한 어류의 군집수준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무엇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는가? 한강수계는 생태계 현황조사 및 수계관리를 목적으로 어류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상 조사가 진행되어 왔다.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한 어류의 군집수준에 대한 연구는수계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동강 및 평창강을 중심으로 남한강 상류수계 조사 외에 개방산 유역조사, 치악산 계류조사, 동강 및 원주천 연구 등이 수행되어 왔다 (Lee et al., 2007).
국내에서 적용 중인 어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평가기법은 무엇이 있는가? , 2000). 한편,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생물통합지수인 IBI (Index of Biotic integrity)모델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에 맞게 이를 수정 및 보완하여 하천들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An and Kim, 2005). 이러한 어류를 이용한 IBI 모델 평가는 어류의 분포양상 및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반응을 정량화하여(Karr, 1981; Yoder and Smith, 1999) 대상수계 또는 하천의 생태 건강성을 평가하고, 어류의 분포특성을 파악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G.K., D.H. Yoem and S.K. Lee. 2001. Rapid bioassessments of Kap Stream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9(4): 261-269. 

  2. An, G.K. and J.H. Kim. 2005. A diagnosis of ecological health using physical habitat assessment and multimetric fish model in Daejeon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8(3): 361-371. 

  3. Barila, T.Y., R.D. Williams and J.R. Stauffer Jr, 1981. The influence of stream order and selected stream bed parameters on fish diversity in Raystown Branch, Susquehanna River drainage, Pennsylvania. Journal of Applied Ecology, pp. 125-131. 

  4. Beecher, H.A., E.R. Dott and R.F. Fernau. 1988. Fish species richness and stream order in Washington State streams.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22(3): 193-209. 

  5. Choi, J.S., Y.S. Jang, K.W. Lee and O.K. Kwon. 2004. Feeding habit of Gobiobotia macrocephala (Cyprinidae) from the Namhan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6(2): 165-172. 

  6. Han, J.H. and K.G. An. 2008. Water quality variation dynamics between artificial reservoir and the effected downstream watershed.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1(3): 382-394. 

  7. Kaiser, H.F. 1958. The varimax criterion for analytic rotation in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23: 187-200. 

  8. Kaiser, H.F. 1961. A note on Guttman's lower bound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14: 1-2. 

  9.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10.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n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pp. 518. 

  11.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Co., Seoul, pp. 465. 

  12.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ress Co., Seoul, pp. 512. 

  13. Kim, J.H., J.D. Yoon, H.B. Jo, K.H. Chang and M.H. Jang. 2012. Stream Health Assessment on Hoeya River Basin and Other Streams Based on Fish Community and Land Use in the Surrounding Watersheds.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5(4): 392-402. 

  14. Lee, J.H., Y.P. Hong and K.G. An. 2007. Multi-metric index assessment of fish model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ty index with the health index the upstream watershed of Southern H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0(2): 327-336. 

  15. Lee, S.H., J.H. Lee, J.H. Han and K.G. An. 2010. A study on the fish community and various guilds to stream order in Geum River Watershed.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3(4): 503-512. 

  16.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17.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14-168.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Guid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298. 

  19. Moon, W.K., D.Y. Bae, J.W. Seo and K.G. An. 2012. Fish distribution and compositions along with altitude and longitudinal distance from the river mouth in the Tamjin River Bas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4): 512-522. 

  20. Moon, W.K., J.H. Han and K.G. An. 2010. Fish fauna and community analysis in Heuck Stream Watershed.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3(1): 69-81. 

  21. Morgan, R.P. and S.F. Cushman. 2009. Urbanization effects on stream fish assemblages in Maryland, USA.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4(3): 643-655. 

  22.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Wiley, pp. 600 

  23. Oh, S.J., S.H. Woo, J. Hur, M.S. Jung and H.S. Shin. 2009. Changes in dissolved organic matter composition in the Namhan River during a heavy rain ev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5): 697-703. 

  24.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13: 131-144. 

  25. Platts, W.S. 1979. Relationships among stream order, fish populations, and aquatic geomorphology in an Idaho river drainage. Fisheries 4(2): 5-9. 

  26.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pp. 233. 

  27. Song, H.B. and Y.M. Son. 2002. Maturity and reproductive ecology of the minnow, Phoxinus phoxinus (Cyprinidae) in the upper south Han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4(4): 262-268. 

  28. Sullivan, S.M.P. and M.C. Waitzin. 2009. Stream-floodplain connectivity and fish assemblage diversity in the Champlain Valley, Vermont, U.S.A. Journal of Fish Biology 74: 1394-1418. 

  29.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38(6): 913-920. 

  30. Yan, Y., X. Xiang, L. Chu, Y. Zhan and C. Fu. 2011. Influences of local habitat and stream spatial position on fish assemblages in a dammed watershed, the Qingyi Stream, China. Ecology of Freshwater Fish 20(2): 199-208. 

  31. Yeom, D.H., K.G. An, Y.P. Hong and S.K. Lee. 2000. Assessment of an index biological integrity (IBI) using fish assemblages in Keum-Ho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18(2): 215-226. 

  32. Yoder, C.O. and M.A. Smith. 1999. Using fish assemblages in a state biological assessment and criteria program: essential concepts and considerations.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pp. 1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