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한 힐링 실내디자인
Healing Interior Design for Health of Everyone 원문보기

한국 디지털 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 Interior Association, v.13 no.2 = no.30, 2013년, pp.53 - 60  

김성진 (제주한라대학교 건축디자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 경제가 고도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를 갖게 되었고, 의학기술의 발달로 건강한 고령자의 증가가 나타나는 사회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65세 이상의 건강한 고령인구의 증가 추세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현실화 되고 있다. 또 급속한 핵가족화 등으로 인하여 가족 내의 노인부양 기능이 약화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인 단독세대가 급증함에 따라 해당 관련 복지의 구체적인 정책 실천방향에 대한 요구와 신체적, 사회 심리적 특성에 따른 힐링 환경의 개발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류 건강증진 개념 및 고찰을 통해 힐링 환경의 공간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건강한 주거환경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 있어서의 공간에 의한 인류 건강증진은 1. 건강과 질병은 하나의 스펙트럼 상에 놓여 있으며, 한편은 최상의 건강 상태이며 다른 한편은 질병에 의한 사망이라는 개념에 의미를 둔다. 2. 병, 의학 전문가 관점에서 건강을 증진시키는 과정에 중심을 두고 있는 새로운 치료적 환경에 대한 혁신적인 패러다임을 주지하는 입장에서, 안녕(healing)을 양성하는 공간 특성을 도출 개념이다. 3.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역동적 건강개념에 그 근거를 두고, "건강은 단순히 무 질병의 개념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문화적 에다가 영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라는 개념을 적용한다. 4. 특히, 병, 의학 전문가 관점으로 인해 간과되었던 대상자의 공간으로부터 얻게 되는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요구들을 반영하는 안녕(healing) 개념의 힐링 철학의 개념을 갖는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tudying France models may provide practical knowledge of how the physical setting may improve resident's health in Korean care homes. These quantitative studies to further examine valuabl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resident's healing positively in Korea.
  • This study has examined health of everyone interior design plan factors in France homes and discussed possible implication to Korean home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benefits on areas;
  • This study was proposed to provide a design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based on psychosocial health promotion. The assumptions of the psychosocial health promotion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가설 설정

  • 1. Based on a barrier-free concept, everyone from children to the late elderly or the disabled live safely and comfortably under the environment.
  • 1. Health and disease are assumed to be on a single spectrum. One end of the spectrum is health, while the other is decease due to disease.
  • 3. The adjustment of the level of privacy and territoriality for achieving identity should be possible. The two opposite concepts should be dynamically balanced to be existent.
  • 4. Allowing them to meditate on higher level of subjects like life and death, existence, space, etc. and The elderly accept their past lives and death ultimately under the environment.
  • 4th, legibilitys is an environmental setting promoting adaptation to and understanding of space. It allows the elderly to overcome the uneasiness at adapting, gain familiarity and emotional stability, and keep their social activiti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rummett, W. J.(1997). The Essence of Home; Design Solutions for Assisted Living Housing. Van Nostrand Reinhold. 

  2. Devlin, A. S. (2003). Health care environments and patient outcome; A review of the literature. Environment and Behavior. Vol. 35 No.5. 665-694. 

  3. Heerwagen JH. Et al. (1995). Environmental design, work, and well being. Journal of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Vol.43. No.9. 458-468. 

  4. Leibrock, C. (2000). Design Detail for the Health; Making the Most of Interior Design's Healing Potential. John Wiley & Sons, Inc. 

  5. Lowell V. Getz(1997). An Architect's Guide To Financial Management, AIA Press. 

  6. Kay D. Weeks and Anne E. Grimmer(1995),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s Standards for the Treatment of Historic Properties with Guidelines for Preserving. Washington D.C. 

  7. Kim, I. K. (1999). The Life of Korean Elderly; Inspection and Vision. Seoul: Research Center of Future. 

  8. National Board of Health and Welfare in France (2001). Good housing for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Social styrelsen. 

  9. State Public Health Institute (2003). Put the Effort into Elderly Health, a Concise Summary with Good Example. in Paris. 

  10. William J. Michell, Malcom McCullough(1995). Digital Design Media Second Edition. Van Nostrand Reinhold.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