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힐링 공간디자인의 기초연구
Basic Study of Space Design for Healing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9 no.1, 2018년, pp.123 - 131  

유현배 (나사렛대학교 교양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힐링 공간의 디자인은 인간에게 기와 여유로움, 정신적 해방감을 제공한다. 지친 몸을 회복시키며 삶의 건장함을 제공해 준다. 힐링이란 의미와 외국의 사례 등을 통하여 힐링의 중요성과 가치를 확립하여 보았다. 인간이 자연에서 왔다가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은 지극히 필연적이라 생각되며, 살아가는 동안 목표를 세워서 조금씩 완성하고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끊임없이 계속하면서 큰 목표점에 도달하게 된다. 자연에서 온 만큼 자연의 분위기를 만들어 그 속에서 생활함으로써 치유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건축의 내부에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안한 힐링의 조건이 되며, 일본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건축물의 외부 전체를 목재로 완성한 써니힐스의 건물은 마치 까치의 집을 연상케 하기도 한다. 실내의 책상이나 책장도 목재로 하여 보다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관엽식물을 심으면 힐링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천장에는 구름의 그림이나 나무, 해 등의 그림을 그리고 벽의 색은 기분을 차분하게 하는 파란색 계통이나 부드러운 핑크색을 적용하면 힐링의 효과는 배가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힐링의 기본인 자연과 접하고 자연의 소재를 활용하여 생활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힐링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sign of the healing space provides people with tranquility and relaxation. It restores the tired body and provides the resilience of life. We have establishe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healing through the meaning of healing and foreign cases. that humans come from nature and return to natu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힐링을 일으키는 테크닉엔 무엇이 있는가? 힐링을 일으키는 테크닉이나 방법도 많이 있다. “힐링 뮤직”, “자연환경 속에 몸을 두는 것 즉, 식물, 자연욕”, “Relaxion입욕법”, “아로마, 향”, “식사요법”, “운동, 체조”, “카운셀링(Counselling) 즉, 상의하다, 협의하다, 조언하다, 권하다 등의 법”, “명상법”, “호흡법”, “보디 웍 즉, 맛사지법”, “에너지 웍 즉, 몸을 터치하지 않고 기, 생명력 등을 회복시키는 법”, “힐링메이트”, “힐링공간”, “힐링디자인” 등이다.[3] 또 일상 속에서 취미 시간이나 산책, 여행 등도 힐링을 일으킨다.
힐링은 어떤 개념에 가까운가? [1]”라고 하였다. 힐링은 물리적 요법을 통해 일반적인 외상수술 후의 안정을 위한 테라피와는 달리 정신적 스트레스를 예방하여 육체적 건강을 유지하는 개념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2] 힐링은 “자연 치유력”에서 추출되었다.
치료(Curing)와 치유(Healing)의 차이점엔 무엇이 있는가? 미래 학자이자 교육자인 릴랜드 카이져(Dr. Leland Kaiser(1994))박사는 “치료(Curing)는 과학적이고, 테크놀러지와 환자의 신체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치유(Healing)는 영적이고, 경험적이며, 그리고 인간적으로서의 환자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치료(Curing)는 하이테크(High teck)이며, 치유(Healing)는 하이터치(High touch)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