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관리의 역사에 관한 국내의 연구 동향 - 회고와 전망 -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History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3 no.3, 2013년, pp.41 - 65  

강순애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초록

이 글은 지난 12년 간의 기록관리의 역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그간의 연구동향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기록관리분야의 "한국기록관리학회지"와 "기록학연구" 2종과 기록관리 관련분야 6종의 학술지에 실린 3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정량적 분석에서는 31편의 논문목록을 작성하고, 분야별 연도별 논문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연구자별 현황에서는 연구당 저자수, 논문편수별 연구자, 연구자의 소속기관 및 소속기관의 유형을 밝혔다. 내용분석에서는 먼저 기록관리의 역사는 일반사, 국내 역사, 국외 역사의 세 분야로 나누고, 각 분야를 세분하여 국내 역사는 삼국시대 -백제-,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정부수립 이후, 공공기록관리법 제정 이후의 시대별로 나누었으며, 국외 역사는 아시아, 북미, 유럽, 러시아의 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향후 기록관리의 역사 분야의 미래 발전을 위해 이론과 실무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history published during the past 12 years, analyzing issues, and suggesting future tasks in related research areas. It starts with categorizing research area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history in archival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관리학의 정량적 분석은 어떻게 이루어 졌는가? 31종의 논문목록을 작성하고, 분야별ㆍ연도별 논문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연구자별 현황에서는 연구당 저자수, 논문편수별 연구자, 연구자의 소속기관 및 소속기관의 유형을 밝혔다.
한국의 기록관리학이 체계적으로 발전해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한국의 기록관리학이 체계적으로 발전해나기 위해서는 기록관리학의 연구 영역을 확장해야 하고 새로운 연구방법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세부영역의 전문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기록관리학은 문헌정보학, 역사학, 행정학, 법학, 컴퓨터학 등과 깊이 관련된 학제성을 띤 학문이어서 각 분야와 공통의 영역을 구축하여야 하고 공동의 주제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기록관리학은 어떤 학문인가? 한국의 기록관리학이 체계적으로 발전해나기 위해서는 기록관리학의 연구 영역을 확장해야 하고 새로운 연구방법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세부영역의 전문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기록관리학은 문헌정보학, 역사학, 행정학, 법학, 컴퓨터학 등과 깊이 관련된 학제성을 띤 학문이어서 각 분야와 공통의 영역을 구축하여야 하고 공동의 주제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대신, 박지영. 2004. 중국.일본의 기록관리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92-117.(Kang, Dae-Shin, & Park, Zi-Young. 2004. "A Study on Record Management Systems of China and Jap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4(2), 92-117.) 

  2. 강은경. 2003. 고려시대 공문서의 전달체계와 지방행정운영. 한국사연구, 122, 31-62.(Kang, Eun-Kyong. 2003. "The Official Documents Delivery System and the Management of Local Administration in Goryeo Dynasty."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122, 31-62.) 

  3. 강은경. 2004. 고려시기 공문서 관리체계에서 胥吏의 地位. 역사교육, 89, 99-126.(Kang, Eun-Kyong. 2004. "The Role of Seori in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of Goryeo Dynasty."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Review 89, 99-126.) 

  4. 김규환, 장보성, 이현정. 2009.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분야의 연구영역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417-439.(Kim, Gyu-Hwan, & Nam, Young-Joon. 2009.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217-239.) 

  5. 김규환, 남영준. 2009.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학회지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217-239.(Kim, Gyu-Hwan, Jang, Bo-Seong, & Yi, Hyun-Jung. 2009. "A Study on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in Korea: Based on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of Article Tit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417-439.) 

  6. 김희정. 2006. 국내외 기록관리학 연구영역의 시계열적 분석 및 확장성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5-25.(Kim, Hee-Jung. 2006. "A Study on the Serial Analysis and Expansion of Research Areas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2), 5-25.) 

  7. 남경호. 2011. 일본의 공문서관리법 시행에 따른 기록관리 체제 검토. 기록학연구, 30, 205-247.(Nam, Kyeong-ho. 2011. "A Study on Records management system under enforcement of The Public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Law in Japa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0, 205-247.) 

  8. 남권희, 옥영정. 2001. 高麗時代 記錄物의 交流와 保管制度. 경북대 社會科學, 13, 91-132.(Nam, Kwon-Hei, & Ok, Young-jung. 2001. "Exchange of records and the Archives system in Koryo Dynas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ocial Science 13, 91-132.) 

  9. 남태우, 이진영. 2009.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 동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451-472. (Nam, Tea-Woo, & Lee, Jin-Young. 2009.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2), 451-472.) 

  10. 노경란, 박희영. 2004. 북미지역 기록관리체제에 관한 비교 연구. 기록관리학회지, 4(2), 164-191. (Noh, Kyung-Ran, & Park, Hee-Young. 2004. "A Comparative Study on Archives Management System in North Americ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4(2), 164-191.) 

  11. 문주영, 김나영. 2004. 아시아의 기록관리 제도 및 체계에 대한 연구 -인도 싱가폴 베트남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1), 149-176. (Moon, Ju-Young, & Kim, Na-Reum. 2004. A Study of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 in Asia - India, Singapore, Viet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4(1), 149-176.) 

  12. 박찬승. 2007.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다. 기록관리보존, 11, 8-24. (Park, Chan-seung. 2007. "No Records No Hist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rchives management 11, 8-24.) 

  13. 서혜란. 2009. 한국 공공기록관리 정책의 연대기적 검토.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89-214. (Suh, Hye-Ran. 2009. "A Chronological Review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From 1948 to Pres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189-214.) 

  14. 설문원. 2012.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203-232. (Seol, Moon-Won. 2012.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Records and Archives Classifi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3), 203-232.) 

  15. 송기호, 소매실. 2004. 유럽의 기록관리 제도 및 체계에 대한 연구 - 영국.프랑스.독일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1), 117-147. (Song, Ki-Ho, & So, Mae-Sil. 2004. "A Study of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 in Europe - Britain, France, Germany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4(1), 117-147.) 

  16. 오항녕. 2008. 조선전기 기록관리 체계의 이해. 기록학연구, 17, 3-37. (Oh Hang-Nyeong. 2008. "An Understanding of the Archival Management in Early Joseon Dynast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7, 3-37.) 

  17. 윤선태. 2007. 百濟의 文書行政과 木簡. 한국고대사연구, 48, 303-334. (Yoon Seon-tae. 2007. "The Administrative Affairs by Wooden Documents in Paekche Kingdom."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 48, 303-334.) 

  18. 이경래. 2010. 미국의 비밀기록관리체제에 대한 역사적 이해. 기록학연구, 23, 257-297. (Lee, Kyong-Rae. 2010.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U. S. Secret Records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3, 257-297.) 

  19. 이경용. 2002. 한말 기록관리제도 - 공문서관리 규정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 161-224. (Yi, Kyung-yong. 2002. "A Study of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from 1894 to 1910."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6, 161-224.) 

  20. 이경용. 2003. 한국 기록관리체제 성립과정과 구조 - 정부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8, 3-56 (Yi, Kyung-yong. 2003. "The Historical Contexts and Structure of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System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8, 3-56.) 

  21. 이경용. 2004. 조선총독부의 기록관리제도. 기록학연구, 10, 226-275. (Yi, Kyung-yong. 2004. "Records Management Systems of the Colonial Chosun Government General."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0, 226-275.) 

  22. 이상찬. 2013. 朝鮮總督府의 도서정리사업의 식민지적 성격. 한국문화, 61, 361-391. (Lee, Sang-chan. 2013. "The Colonial Character of Bibliographic Classification Condu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Korea." Korean Culture 61, 361-391.) 

  23. 이상훈. 2009. 한국정부 수립 이후 행정체제의 변동과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1948년-64년). 기록학연구, 21, 169-246. (Lee, Sang-Hun. 2009. "The Reform of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Change of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n Government from 1948 to 1964."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169-246.) 

  24. 이소연. 2011. 국내 전자기록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7-31. (Lee, So-Yeon. 2011. "Trends Analysis of Electronic Records and Archives Research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2), 7-31.) 

  25. 이소연. 2013. 국내 디지털 보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247-283. (Lee, So-Yeon. 2013. "Trends Analysis of Digital Preserv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2), 247-283.) 

  26. 이승일. 2007a. 조선총독부의 기록수집 활동과 식민통치. 기록학연구, 15, 3-37. (Lee, Seung Il. 2007a. "Archives Acquisition Activities and Rule of the Colonial Chosun Government General."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5, 3-37.) 

  27. 이승일. 2007b. 1960년대 초반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수립과정과 제도적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43-71.(Lee, Seung Il. 2007b.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System of Korean Government in the Early 1960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2), 43-71.) 

  28. 이승일. 2008a. 1980-90년대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과 제도적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5-38.(Lee, Seung Il. 2008a. "The Reorganization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during the 1980s to the 1990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2), 5-38.) 

  29. 이승일. 2008b. 기록물관리법의 제정과 국회기록관리체제의 개편(1999-2008). 기록학연구, 18, 37-89. (Lee, Seung Il. 2008b. "The Enactment of Record Management Act and the Reform of the National Assembly Record Management System(1999-2008)."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8, 37-89.) 

  30. 이승일, 이상훈. 2008. 보존문서정리작업과 국가기록관리체계의 개편(1968-1979).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65-96. (Lee, Seung Il, & Lee, Sang-Hun. 2008. "The Retained Documents Disposal Project and Reorganization of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1968-1979): Focused on Reorganization the Government Document Classification Scheme and Criteria for Retention Peri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1), 65-96.) 

  31. 이영학. 2009. 대한제국시기의 기록관리. 기록학연구, 19, 153-192. (Lee, Young-Hak. 2009. "Record management in Great Han Empire."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9, 153-192.) 

  32. 이영학. 2012. 한국 기록관리의 사적 고찰과 그 특징. 기록학연구, 34, 221-250. (Lee, Young-Hak. 2012. "Historical Observ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4, 221-250.) 

  33. 이재윤, 문주영, 김희정. 2007.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지적구조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345-372. (Lee, Jae-Yun, Kim, Hee-Jung, & Moon, Ju-Young. 2007.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al Science in Korea with Text Mi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1), 345-372.) 

  34. 장로사, 김유승. 2009. 한국의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87-100. (Chang, Ro-Sa, & Kim, You-Seung. 2009.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cience in Korea: Focused on the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87-100.) 

  35. 전현수. 2007. 한국 현대 기록관리 제도의 정립(1969-1999). 기록학연구, 15, 39-66. (Jeon, Hyun-Soo. 2007. "Improvement of Contemporary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Korea(1969-1999)."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5, 39-66.) 

  36. 정연경. 2011.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의 인용행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367-391. (Chung, Yeon-Kyoung. 2011."A Reference Study 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during the Period of 2001-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2), 367-391.) 

  37. 정용욱. 2004. 역사학 연구와 기록 - 1990년대 후반이래 기록관리제도의 발달, 자료의 정보화와 한국현대사 연구 -. 기록학연구, 9, 210-233. (Jung, Yong Wook. 2004. "Historical Studies and Records: Development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Digitalization and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y Since the late 1990s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9, 210-233.) 

  38. 조호연. 2004a. 소련 초기의 기록관리제도와 그 변화. 기록학연구, 10, 324-369.(Cho, Ho-yeon. 2004a. "The Organization of the Archival Systems and Their Transformations in the First Period of the Soviet Un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0, 324-369.) 

  39. 조호연. 2004b. 러시아혁명 이후부터 1930년대까지의 소련의 기록관리제도.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23-39. (Cho, Ho-yeon. 2004b. "The Soviet Archival System from the Russian Revolution to the 1930'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4(2), 23-39.) 

  40. 조호연. 2005. 러시아 연해변강주(沿海邊疆州)에서의 기록관리업무의 성립과 발전. 기록학연구, 12, 237-272. (Cho, Ho-yeon. 2005.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rchival System in the Primorskii Krai of the Russian Feder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2, 237-272) 

  41. 주은성. 2007. 소비에트 초기 기록관리제도 형성과정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95-111. (Joo, Eun-Sung. 2007.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Early Soviet Archival System: With the Incarnation of the Kalachov's Archival Theo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2), 95-111.) 

  42. 최재희. 2011. 국내의 기록물 평가론 연구 동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7-22. (Choi, Jae Hee. 2011. "Research Trends in Archival Appraisal Science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7-22.) 

  43. 최정태 등. 2005. 기록관리학사전. 서울: 한울아카데미. (Choe, Jung-Tai, etc. 2005. The Glossar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Seoul: Hanul Publishing Company.) 

  44. 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3판. 성남: 아세아문화사.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2013. Records & Archives Management-The Science of Evidence & Memory. 3rd ed. Seongnam: The Asian Culture Press.) 

  45. Pearce-Moses, Richard. 2005.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