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ixotrophic 미세조류를 이용한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에 미치는 pH 및 폭기의 영향
Effects of pH and aeration rates on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using mixotrophic microalgae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27 no.1, 2013년, pp.69 - 76  

김선진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환경연구센터) ,  이윤희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환경연구센터) ,  황선진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환경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ific growth rate and removal rate of nitrogen and phosphorus of Chlorella sorokiniana, Chlorella vulgaris, Senedesmus dimorphus those are able to metabolite mixotrophically and have high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capacity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ne microalgae was selected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mg-N/L/d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하폐수고도처리 적용을 위해 성장률 및 유기물과 인 제거능이 우수한 C. sorokiniana를 선정하여 하폐수고도처리 적용시 운전인자 파악을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를 위해 mixotrophic으로 성장이 가능한 미세조류 문헌연구를 통해 선정하고, 선정된 미세조류의 운전인자 파악을 위해 pH와 폭기량에 따른 성장특성 및 유기물, 질소, 인 제거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수고도처리에 적합한 mixotrophic 미세조류로 C. sorokiniana를 선정하여 하폐수고도처리시 pH 및 폭기량이 미세조류 성장 및 N, P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했다. pH 3 ∼ 11의 조건에서 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하폐수고도처리시 pH 및 폭기량이 미세조류 성장 및 N, P 제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sorokiniana를 선정하여 하폐수고도처리시 pH 및 폭기량이 미세조류 성장 및 N, P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했다. pH 3 ∼ 11의 조건에서 C. sorokiniana를 배양한 결과, pH 5 ∼ 9에서 높은 성장량과 질소, 인 제거능을 나타냈으며, pH 3과 11에서는 성장에 저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pH 7에서 비성장률은 0.7 day-1로 가장 높았으며, 질소 제거속도 7.61 mg-N/L/ day로 가장 우수한 제거능을 나타냈다. 폭기량에 따른 실험결과 폭기량에 관계없이 폭기를 해준 경우가 미폭기시 보다 2배 이상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또한 유기물과 질소, 인 제거속도 역시 폭기를 해준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0.5 ∼2 vvm 조건에서 폭기량에 관계없이 성장률 및 질소, 인 제거속도는 비슷하였으나, 질소, 인 제거효율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0.5 vvm 이상, 성장량 증대를 위해서는 1 vvm 이상의 폭기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 sorokiniana를 mixotrophic 조건으로 유입 pH가 5 ∼ 9인 하폐수처리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성장량 및 질소, 인 제거효율과 운전비용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폭기량을 조절해줄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ixotrophic으로 대사가 가능한 미세조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Mixotrophic으로 대사가 가능한 미세조류에는 Chlorella sp., Scenedemus sp., Spirulina sp., Botrycococcus braunii 등이 있으며, 이들 종의 질소, 인 및 유기물 제거능을 Table 1에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mixotrophic 대사가 가능한 미세조류 중에서 질소, 인 제거능이 우수한 C.
미세조류의 산업적 이용분야는 어떻게 되는가? 미세조류의 산업적 이용분야는 건강식품, 의 약식품, 양식사료 등으로 다양하며, 최근에는 차세대 바이오매스로써 바이오디젤,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등 활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다(Rossler, 1990; Chisti, 2007; Aaronson and Dubinsky, 1982). 또한 기존 활성슬러지 공법의 문제점인 슬러지 처리, 부영양화 발생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 미세조류를 이용한 하수처리공법이 시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aronson, S. and Dubinsky, Z. (1982) Mass production of microalgae, Cell. Mol. Life Sci,. 38, pp.36-40 

  2. Abreu, A. P., Fernandes. B., Vicente, A. A., Teixeira, J., Dragone, G. (2012) Mixotrophic cultivation of Chlorella vulgaris using industrial diary waste as organic carbon source, Bioresource Technology, 118, pp.61-66 

  3. Andrade, M. R., Costa J. A. V. (2007) Mixotrophic cultivation of microalga Spirulina platensis using molasses as organic substrate, Aquaculture, 264, pp.130-134 

  4. Chen, F., Zhang, Y. (1997) High cell density mixotrophic culture of Spirulina platensis on glucose for phycocyanin production using a fed-batch system,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20, pp.221-224 

  5. Chisti, Y. (2007) Biodiesel from microalgae, Biotechnology Advances, 25(3), pp. 294-306 

  6. Chojnacka K., Marquez-Rocha F. (2004) Kinetic and stoichiometric relationships of the energy and carbon metabolism in the culture of microalgae, Biotechnology, 3, pp.21-34 

  7. de-Bashan, L. E., Moreno, M., Hernandez, J. P., Bashan, Y. (2002) Removal of ammonium and phosphorus ions from synthetic wastewater by the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coimmobilized in alginate beads with the microalgae growth-promoting bacterium Azospirillum brasilense, Water Research, 36, pp.2941-2948 

  8. de-Bashan, L. E., Trejo, A., Huss, V. A. R., Hernandez, J. P., Bashan, Y. (2008) Chlorella sorokiniana UTEX 2805, a heat and intense, sunlight-tolerant microalga with potential for removing ammonium from wastewater, Bioresource Technology, 99, pp.4980-4989 

  9. Endo, H., Hosoya, H., Koibuchi, T. (1977) Growth yields of Chlorella regularis in dark-heterotrophic continuous cultures using acetate, J. Ferment. Techol., 55, pp.369-370 

  10. Fiero, S., Sanchez-Saavedr, M. P., Copalcua, C. (2008) Nitrate and phosphate removal by chitosan immobilized Scenedemus, Bioresorce Technology, 99, pp.1274-1279 

  11. Kang, S. O., Kim, B. H., Shin, S. Y., Oh, H. M., Kim, H. S. (2012)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and microbial diversity analysis of microalgal mini raceway open pond,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48(3), pp.192-199. 

  12. Kim, J. S., Lingaraju, B. P., Rheaume, R., Lee, J. Y., Siddiqui, K. F. (2010) Removal of ammonia from wastewater effluent by Chlorella vulgaris, Tsinghua Science and Technology, 15(4), pp.391-396 

  13. Kwon, S. H., Lee, E. M., Cho, D. C. (2012) Optimal culturing and enhancement of lipid accumulation in a microalga Botryococcus braunii,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21(7), pp.779-785 

  14. Larsdotter, K., La Courjansen, J., Dalhammar, G. (2007) Biologically mediated phosphorus precipit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with microalgae, Environmental Technology, 28, pp.953-960 

  15. Maruyama, I., Ando, Y., Maeda, T., Hirayama, K. (1989) Uptake of vitamin B12 by various strains of unicellular algae Chlorella. Nippin Suisan Gakkaishi, 55, pp.1785-1790 

  16. Mata, T. M., Martins, A. A., Caetano, N. S. (2010) Microalgae for biodiesel production and other applications: A review, Renewable & Sustainable Energy Reviews, 14(1), pp.217-232 

  17. Park, H. J., Jin, E. J., Jung, T. M., Joo, H., Lee, J. H. (2010)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photosynthetic microalgae Nannochloropsis oculata, Appl. Chem. Eng., 21(6), pp.659-663 

  18. Rossler, P.G. (1990) Environmental control of glycerolipid metabolism in microalgae: Commerci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J. Phycol., 26, pp.393-399 

  19. Semerjian, L., Ayoub, G. M. (2003) High-pHmagnesium coagulation-floccul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7, pp.389-403 

  20. Wang, H., Xiong, H., Hui, Z., Zeng, X. (2012) Mixotrophic cultivation of Chlorella pyrenoidosa with diluted primary piggery wastewater to produce lipids, Bioresource Technology, 104, pp.215-2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