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배양 시스템에서 NOx 및 SOx의 배지 pH와 미세조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x and SOx on the Medium pH and microalgal growth in photo-culture system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4 no.3, 2013년, pp.255 - 263  

윤세영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홍민의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 ,  심상준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 dioxide reduction technologies using photosynthetic microorganism were suggested to overcome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CO_2$ in flue gases from power plant and other industries. However, there are many toxic constituents in flue gas including CO, NOx, SOx. Continuou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의 광배양에 있어 배가스에 함유된 SOx, NOx가 미세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는 배가스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저감과 동시에 바이오에너지 및 고부가 가치의 부산물을 생산하는 효율적인 광생물 배양공정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따라서 NOx 농도에 따른 배지 내 pH 변화를 통해 배양에 미친 NOx 가스의 저해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의 광배양에 있어 배가스에 함유된 SOx, NOx가 미세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는 배가스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저감과 동시에 바이오에너지 및 고부가 가치의 부산물을 생산하는 효율적인 광생물 배양공정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배양기간 동안 SOx 가스의 주입으로 인해 농도에 따라 생육이 가능, 또는 저해되는 것을 위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배양기간 동안 SOx 가스의 주입 농도가 배지환경 내에 미친 pH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저감법의 부산물은 어떤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가? 그러나 화학적 이산화탄소 저감법은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반해,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체내에 고정시켜 저감시키는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저감법은 환경친화적이며, 이산화탄소 고정을 통해 얻어지는 부산 물은 의약,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 . 그러나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저감법에 사용되는 식물은 낮은 성장률과 낮은 광합성 효율이라는 한계를 가진다.
화학적 이산화탄소 저감법은 무엇인가? 이산화탄소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로써,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켜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이로 인한 재해의 증가로 인해 과학적 진보와 환경파괴 사이에서 큰 딜레마를 야기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으로서 화학적 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지하에 저장하는 화학적 이산화탄소 저감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화학적 이산화탄소 저감법은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C. vulgaris는 건강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vulgaris는 45% 이상의 단백질과 20%의 지질, 20%탄화수소 등 필수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식품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항암효과 및 면역 증진에 효능이 알려져 건강식품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6-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argalith, P. Z., "Production of Ketocarotenoids by Microalgae",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 51, 1999, p. 431-438. 

  2. Boussiba S, and Fan L, Vonshak A., "Enhancement and determination of astaxanthin accumulation in green alga Haematococcus pluvialis", Methods Enzymol, vol. 213, 1992, p. 386-391. 

  3. Yuan, J. P., Gong, X. D., and Chen, F. "Separation and analysis of carotenoids and chlorophylls in Haematococcus lacustri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hotodiode array detection", J. Agric. Food Chem. vol. 45, 1997, p. 1952-1956. 

  4. Li, Y., Horsman, M., Wang, B., Wu, N., and Lan, C. Q. "Effects of nitrogen sources on cell growth and lipid accumulation of green alga Neochloris oleoabundans", Appl. Mircobiol. Biot. vol. 81, 2008, p. 629-636. 

  5. Tornabene, T. G., Holzer, G., Lien, S., and Burros, N. "Lipid composition of the nitrogen starved green alga Neochloris oleoabundans", Enzyme Microb. Tech. vol. 5, 1983, p. 435-440. 

  6. Justo, G. Z., Silva, M. R., and Queiroz, M. L. S. "Effects of the green algae Chlorella vulgaris on the response of the host hematopoietic system to intraperitoneal Ehrlich ascites tumor transplantation in mice",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vol. 23, 2001, p. 119-132. 

  7. Konishi F., Tanaka K., Himeno K., Taniguchi K., and Nomoto K. "Antitumor effect induced by a hot water extract of Chlorella vulgaris (CE): resistance to Meth-A tumor growth mediated by CE-induced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Cancer Immunol. Immunother. vol. 19, 1985, p. 73-78. 

  8. Konishi F., Tanaka H., Kumamoto S., Hasegawa T., Okuda M., Yano I., Yoshikai Y., and Nomoto K. "Enhanced resistance against Escherichia coli infection by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the hot-water extract of Chlorella vulgaris in cyclophosphamide- treated mice", Cancer Immunol. Immunother. vol. 32, 1990, p. 1-7. 

  9. Konishi F., Mitsuyama M., Okuda M., Tanaka K., Hasegawa,T., and Nomoto K. "Protective effect of an acidic glycoprotein obtained from culture of Chlorella vulgaris against myelosuppression by 5-fluorouracil", Cancer Immunol. Immunother. vol. 42, 1996, p. 268-274. 

  10. Morimoto T., Nagatsu A., Murakami N., Sakakibara J., Tokuda H., Nishino H., and Iwashima A. "Anti-tumour-promoting glyceroglycolipids from the green alga Chlorella vulgaris, Phytochemistry", vol. 40, 1995, p. 1433-1437. 

  11. Noda K., Ohno N., Tanaka K., Kamiya N., Okuda M., Yadomae T., Nomoto K., and Shoyama Y. "A water-soluble antitumor glycoprotein from Chlorella vulgaris", Planta Med. vol. 62, 1996, p. 423-426. 

  12. Singh A., Singh S.P., and Bamezai R. "Perinatal influence of Chlorella vulgaris (E-25) on hepatic drug metabolizing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Anticancer Res. vol. 18, 1998, p. 1509-1514. 

  13. Tanaka K., Konishi F., Himeno K., Taniguchi K., and Nomoto K. "Augmentation of antitumor resistance by a strain of unicellular green algae Chlorella vulgaris", Cancer Immunol. Immunother. vol. 17, 1984, p. 90-94. 

  14. Tanaka K., Koga T., Konishi F., Nakamura M., Mitsuyama M., Himeno K., and Nomoto K. "Augmentation of host defense by a unicellular green alga, Chlorella vulgaris, to Escherichia coli infection", Infect. Immun. vol. 53, 1986, p. 267-271. 

  15. Yasukawa K., Akihisa T., Kanno H., Kaminaga T., Izumida M., Sakoh T., Tamura T., and Takido M. "Inhibitory effects of sterols isolated from Chlorella vulgaris on 12-0-tetradecanoylphorbol-13-acetate-induced inflammation and tumor promotion in mouse skin", Biol. Pharm. Bull. vol. 19, 1996, p. 573-576. 

  16. Grung, M., D'Souza, F. M. L., Borowitzka, M., and Liaaen-Jensen, S. "Algal carotenoids 51. Secondary carotenoids 2. Haematococcus pluvialis aplanospores as a source of (3S,3¢S)- astaxanthin esters:", J. Appl. Phycol. vol. 4, 1992, p. 165-171. 

  17. Man Kee Lam, Keat Teong Lee, Abdul Rahman Mohamed.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n microalgae-based carbon capture", International J. of Greenhouse Gas Control vol. 10, 2012, p. 456-469. 

  18. Sofie Van Den Hende, Han Vervaeren, Nico Boon. "Flue gas compounds and microalgae: (Bio-)chemical interactions leading to biotechnological opportunities", Biotechnology Advances vol. 30, 2012, p. 1405-1424. 

  19. Dreybrodt W, Lauckner J, Ziahua L, Svensson U, Buhmann D. "The kinetics of the reaction $CO_2+H_2O->H++HCO_3$ - as one of the rate limiting steps for the dissolution of calcite in the system $H_2O-CO_2-CaCO_3$ ", Geochim Cosmochim Acta. vol. 60, 1996, p. 3375-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