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쌍별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의 사육밀도가 섭식량, 성충사망률 및 부화 약충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ring density on food consumption, adult mortality and mean number of hatchlings of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 원문보기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v.51 no.2, 2013년, pp.89 - 94  

박영규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  이형근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  최영철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쌍별귀뚜라미의 먹이 섭식량, 부화기간, 성충사망률, 사육밀도 및 성비에 따른 부화 약충수와 산란경향을 실내사육실($25{\pm}5^{\circ}C$, $60{\pm}10%$RH)에서 조사하였다. 사육중인 성충의 사육밀도가 50 ~ 400 개체로 증가할 때 사육밀도에 관계없이 하루에 $0.067{\pm}0.008g$의 사료를 섭식하였고 무는 0.128 ~ 0.068 g을 섭식하여 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산란된 알은 부화시작 후 6일차까지 95.8%가 부화하였다. 평균 사망률은 사육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차함수로 증가하여 8주차에 93.9%가 사망하였다. 암컷 100개체의 사육밀도일 때 암컷 한 개체당 총 부화 약충수는 $248.8{\pm}17.8$ ($mean{\pm}SD$) 개체로 200 개체일 때의 $172.2{\pm}10.6$ ($mean{\pm}SD$) 개체보다 많았다.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부화약충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란 시작후 일차별로 산란수의 증감이 반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3주차까지 총 산란수의 81.5%를 산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food consumption, hatching periods, adult mortality, the mean number of hatchlings and ovipositional trend of Gryllus bimaculatus De Geer. The rearing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rearing room ($28{\pm}2^{\circ}C$, $60{\pm}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 Comparison of the total number of Gryllus bimaculatus hatchlings per day between two sets of female densities (■, 100;□, 200) for 29 days. The error bars indicate one SD.
  • 부화 약충수의 조사를 위하여 산란기간 29일 동안 평일에는 매일 알받이를 투입하고 금요일에는 알받이를 2개 투입하여 토요일과 일요일까지 산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실험군당 총 25개의 알받이 각각에서 부화한 약충의 개체수를 조사하였고 매주 금요일에 투입한 알받이 2개의 부화 약충의 개체수는 모두 합하였다.
  • 033g 까지 차이를 보였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실험을 위하여 각각의 조건에 동일한 밀도의 성충을 24시간 동안 금식하도록 한 후 최초 24시간 동안의 섭식량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사육상에서 밀도조건에 관계없이 한 개체의 섭식량은 유사하였다.
  • 사료는 다른 실험과 같은 양돈사료를 먹이접시(지름 10㎝)에 50 ~ 100 g씩 넣었고 신선한 무를 20 ~ 50 g씩 넣어 24시간 동안 감소한 사료와 무의 무게를 조사하였다. 무는 자연적으로 건조된 무게를 제외한 순수한 섭식량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사육용기에는 배지 (신문지)에 수분을 2회 공급하였다.
  • 부화 약충수의 조사를 위하여 산란기간 29일 동안 평일에는 매일 알받이를 투입하고 금요일에는 알받이를 2개 투입하여 토요일과 일요일까지 산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실험군당 총 25개의 알받이 각각에서 부화한 약충의 개체수를 조사하였고 매주 금요일에 투입한 알받이 2개의 부화 약충의 개체수는 모두 합하였다.
  • 성충의 섭식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계란판과 신문지를 잘라 넣은 사육상(360 × 510 × 285㎜)에 암컷과 수컷을 동일한 개체수로 혼합하여 각각 50, 100, 200, 400 개체를 넣고 24시간 동안 금식한 후 최초 24시간 동안 섭식한 사료와 무의 무게를 3반복 조사하였고 이 때 알받이는 넣어주지 않았다. 사료는 다른 실험과 같은 양돈사료를 먹이접시(지름 10㎝)에 50 ~ 100 g씩 넣었고 신선한 무를 20 ~ 50 g씩 넣어 24시간 동안 감소한 사료와 무의 무게를 조사하였다. 무는 자연적으로 건조된 무게를 제외한 순수한 섭식량을 비교하였다.
  • 사육용기에는 재활용 계란판을 2 ~ 3개 넣고 신문지를 잘게 잘라 배지로 넣어주어 귀뚜라미 서로간의 스트레스를 적게 받도록 하였다. 사육용기 안의 습도유지 및 수분공급을 위해서 하루에 2 ~ 3회씩 전동분무기를 이용하여 물(지하수)을 분무하여 주었다.
  • 사육용기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36 × 51 × 28.5㎝인 50 L 부피의 불투명 플라스틱 사육용기(리빙박스)를 사용하였다.
  • 성충의 사망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매주 금요일에 실험 중인 모든 사육상의 생존 개체수를 직접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 성충의 섭식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계란판과 신문지를 잘라 넣은 사육상(360 × 510 × 285㎜)에 암컷과 수컷을 동일한 개체수로 혼합하여 각각 50, 100, 200, 400 개체를 넣고 24시간 동안 금식한 후 최초 24시간 동안 섭식한 사료와 무의 무게를 3반복 조사하였고 이 때 알받이는 넣어주지 않았다.
  • 쌍별귀뚜라미의 먹이 섭식량, 부화기간, 성충사망률, 사육밀도 및 성비에 따른 부화 약충수와 산란경향을 실내 사육실(25 ± 5℃, 60 ± 10%RH)에서 조사하였다.
  • 쌍별귀뚜라미의 부화 약충의 일차별 부화약충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성충 사육상에서 채란 받은 20개의 알받이를 부화할 수 있도록 부화용 사육상에 각각 넣고 수분이 마르지 않도록 분무기로 수분을 공급하여 부화하도록 하였다. 약충이 부화하기 시작하면 부화가 끝날 때까지 매일 부화한 약충의 개체수를 조사하여 부화율을 측정하였다.
  • 쌍별귀뚜라미의 증식을 위한 사육조건에서 증식용 채란사육상의 암컷 사육 밀도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암컷 성충의 사육 밀도에 따라 채란받은 알받이에서 부화한 부화약충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 암컷 성충의 사육 밀도에 따른 부화 개체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암컷 100 개체와 200 개체로 구분하여 사육하였고 암컷 100 개체의 사육상 3곳에 수컷을 각각 25, 50, 100 개체 투입하였다. 마찬가지로 암컷 200 개체의 사육상 3곳에 수컷을 50, 100, 200 개체씩 투입하였다.
  • 쌍별귀뚜라미의 부화 약충의 일차별 부화약충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성충 사육상에서 채란 받은 20개의 알받이를 부화할 수 있도록 부화용 사육상에 각각 넣고 수분이 마르지 않도록 분무기로 수분을 공급하여 부화하도록 하였다. 약충이 부화하기 시작하면 부화가 끝날 때까지 매일 부화한 약충의 개체수를 조사하여 부화율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암컷 성충의 사육 밀도에 따른 부화 개체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암컷 100 개체와 200 개체로 구분하여 사육하였고 암컷 100 개체의 사육상 3곳에 수컷을 각각 25, 50, 100 개체 투입하였다. 마찬가지로 암컷 200 개체의 사육상 3곳에 수컷을 50, 100, 200 개체씩 투입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는 경기도 화성시 기산동의 귀뚜라미 농장에서 사육한 성충을 분양받아 실험하였다. 귀뚜라미 농장에서는 주로 가축사료와 무를 먹이로 공급하여 귀뚜라미를 사육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쌍별귀뚜라미의 먹이로는 양돈사료(육성돈 전기사료, 도드람 B&F)와 수분공급용 야채로 무를 얇게 잘라 매일 충분히 공급하였다.

데이터처리

  • 사육밀도에 따른 먹이섭식량의 비교를 위해 Tukey-Kramer’s HSD 다중 비교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귀뚜라미상과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귀뚜라미상과(Grylloidea)는 메뚜기목(Orthoptera) 여치아목(Ensifera)에 속하며 우리나라에는 4과 35종과 도입종 1종이 기록되어 있다(Kim et al. 2001).
우리나라에서는 몇 과와 몇 종의 귀뚜라미상과가 기록되어 있는가? 귀뚜라미상과(Grylloidea)는 메뚜기목(Orthoptera) 여치아목(Ensifera)에 속하며 우리나라에는 4과 35종과 도입종 1종이 기록되어 있다(Kim et al. 2001).
우리나라에 기록되어 있는 도입종 귀뚜라미상과 1종은 무엇이며 어디에 분포지역은 어디인가? 2001). 그 중에서 도입종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는 아열대성 곤충으로 아프리카에서 남부 아시아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종이다. 이 종은 주로 굴을 파거나 돌 밑에서 단독 생활하는 습성을 가지고 약충시기에는 주행성이나 성충시기에는 야행성으로 알려져 있다(Ib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MY, Ryu KS, Park BY, Kim DW, Kim IS, Kim SH (2000) Effects of cricket supplements on the chicken meats and its eggs. Korean J Poult Sci 27(3), 197-202. 

  2. Ahn MY, Lee YW, Ryu KS, Lee HS, Kim IS, Kim JW, Lee YK, Kim ES, Kim YS (2002) Effects of cricket supplements on the chicken meats and its eggs. Korean J Food Technol 34(4), 684-687. 

  3. Choo JK, Choi EH (1983) Studies on the geographic adaptation of field cricket. Korean J Entomol 13, 47-53. 

  4. Iba M, Nagano T, Urano A (1995) Effects of population density of growth, behavior and levels of biogenic amines in the cricket, Gryllus bimaculatus. Zool Sci 12, 695-702. 

  5. Jung CE, Bae YH (2007) Oviposition and temperature-dependent egg hatching by the fiel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De Geer(Orthoptera: Gryllidae). Korean J Soil Zool 12(1-2), 28-32. 

  6. Keum ES, Kim JW, Park DS, Jung CE (2012) Morphological and genetic comparison of Teleogryllus emma and Gryllus bimaculatus(Orthoptera: Gryllidae) used for feed insect industry. Korean J Soil Zool 16(1-2), 42-46. 

  7. Kim MA, Kim TU, Park HC, Jang SJ, Lee YB (2001) Systematic study of the superfamily Grylloidae. Autumn poster proceeding Korean J Appl Entomol p 52. 

  8. Kim NJ, Hong SJ, Seol KY, Kwon OS, Kim SH (2005) Eggforming and preservation methods of the emma field cricket eggs, Teleogryllus emma(Orthoptera: Gryllidae). Korean J Appl Entomol 44(1), 61-65. 

  9. Kim NJ, Hong SJ, Seol KY, Kim SH, Ahn NH, Kim MA (2007)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the emma field cricket, Teleogryllus emma(Orthoptera: Gryllidae). Int J Indust Entomol 15(1), 69-73. 

  10. Merkel G (1977)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food quality on the larval development of Gryllus bimaculatus(Orthoptera; Gryllidae). Oecologia(Berl) 30, 129-140 

  11. Oh YN (2010) Effect of foods, temperature, light and bed materials on the development of Gryllus bimaculatus(Insecta; Orthoptera; Gryllidae) population. Daejin University Master's thesis pp. 15-17. 

  12. Simmons LW (1986a) Inter-male competition and mating success in the field cricket, Gryllus bimaculatus(De Geer). Anim Behav 34(2), 567-579. 

  13. Simmons LW (1986b) Female choice in the field cricket Gryllus bimaculatus(De Geer). Anim Behav 34(5), 1463-1470. 

  14. Tregenza T, Wedell N (1998) Benefits of multiple mates in the cricket Gryllus bimaculatus. Evolution 52(6), 1726-17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