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에디공분산 방법 기반의 플럭스 타워 순 복사에너지 검증: 설마천, 청미천 유역
Validation of Net Radiation Measured from Fluxtower Based on Eddy Covariance Method: Case Study in Seolmacheon and Cheongmicheon Watershed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2, 2013년, pp.111 - 122  

변규현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신지예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연길 (유량조사사업단 유사량조사실) ,  최민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물과 에너지 순환에 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미기상학적 플럭스 타워 네트워크는 수문학적, 생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주춧돌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플럭스 타워의 에디공분산 방법을 활용한 잠열 플럭스 측정은 여러 가정사항에 따른 시스템적 오류를 내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과소평가된 잠열 플럭스 원시자료의 보정이 필요하다. 몇몇의 보정방법 중 보엔비를 활용한 방법이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서 여기에는 플럭스타워에서 측정한 순 복사에너지 및 기타 플럭스(현열, 지열) 등이 요구되며 이러한 자료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마천, 청미천 유역의 플럭스타워에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형태의 이론적으로 계산된 순 복사에너지와의 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1) FAO 56 기반의 일평균 순 복사에너지 (2) Bastiaansen (1995)가 제안한 순간 순 복사에너지. 본 연구의 결과는 플럭스타워에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는 이론적으로 계산된 순 복사에너지와 상당히 비슷한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을 제시했다. 또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여 관측된 잠열플럭스를 보엔비 보정방법에 적용시킨 결과 에너지수지에 더욱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cessity of clear understanding of water and energy cycles has been attracted recently due to the climate change. The micrometeorological flux tower networks play a role of cornerstone of the hydrological and ecological analyses. Although the eddy covariance techniques used for flux tower ha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설마천, 청미천 유역의 플럭스타워에서 추출된 순 복사에너지에 대한 검증작업을 실시하였다. 이론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산출된 Daily net radiation 및 Instantaneous net radiation과의 비교를 통해 플럭스타워의 순 복사에너지의 값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에디공분산의 잠열플럭스의 보정에 활용 되는 순 복사에너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마천, 청미천 유역의 플럭스타워에서 관측된 2010 ~2012년 일부자료에 해당하는 순 복사에너지를 추출하였으며, 다음 두 가지 순 복사에너지 성분의 산정을 실시하였다.
  • 56을 바탕으로 계산된 일 순복사에너지(Daily net radiation)와 2) Bastiaanssen (1995) 이 제안한 순간 순 복사에너지(Instantaneous net radiation)를 바탕으로 플럭스타워에서 추출된 순 복사에너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플럭스 타워의 순 복사에 너지를 활용한 Bowen ratio 잠열플럭스 보정 방법을 적용 하여 보다 품질 높은 잠열 플럭스 생산을 위한 순 복사 에너지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수자원 분야에서 플럭스타워 자료를 활용하여 공간적인 증발산의 분포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정량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9)에서 ε0 는 대기의 방출량으로 본 연구에서는 0.98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 본 연구에서는 α와 ε0 을 각각 0.23, 0.98 로 가정하였다.
  • 는 경험적 상수이기 때문에 지역마다 다른 값을 가진다. 설마천, 청미천 유역에서 a s , b s 값이 정해지지 않았 으므로 FAO56에서 제안하는 a s = 0.25, b s = 0.5임을 가정한다. n은 실제 일조시간(hour), N은 최대 가능 일조 시간(hour)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럭스 타워의 에디공분산 방법을 활용한 잠열 플럭스 측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미기상학적 플럭스 타워 네트워크는 수문학적, 생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주춧돌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플럭스 타워의 에디공분산 방법을 활용한 잠열 플럭스 측정은 여러 가정사항에 따른 시스템적 오류를 내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과소평가된 잠열 플럭스 원시자료의 보정이 필요하다. 몇몇의 보정방법 중 보엔비를 활용한 방법이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서 여기에는 플럭스타워에서 측정한 순 복사에너지 및 기타 플럭스(현열, 지열) 등이 요구되며 이러한 자료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검증이 필요하다.
미기상학적 플럭스 타워 네트워크는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물과 에너지 순환에 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미기상학적 플럭스 타워 네트워크는 수문학적, 생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주춧돌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플럭스 타워의 에디공분산 방법을 활용한 잠열 플럭스 측정은 여러 가정사항에 따른 시스템적 오류를 내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과소평가된 잠열 플럭스 원시자료의 보정이 필요하다.
수문학적 인자에 대한 정량적 해석을 위한 물 수지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까지 국내에서는 수문학적 인자(강수, 유출량, 침투, 증발산, 토양수분 등)에 대한 정량적 해석이 대부분 물수지 방법에 의해 주도 되었다.그러나 물 수지 방법에서는 수문순환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인 증발산에 대한 해석이 직접적인 관측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주로 가정 사항이나 경험식에 입각해 도출되는 경우가 많다(Kim and Kim, 2004). 국외의 경우 에너지수지 방법에 입각한 증발산의 해석이 주를 이루며, 이에 맞물려 에디공분산 방법(Eddy covariance method)은 지표와 대기간의 수분 및 CO2 플럭스의 관측을 통해 수문 순환 및 에너지 순환의 주요 인자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Baldocch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len, R. 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No. 56,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2. Baldocchi, D. (2003). "Assessing the eddy covariance technique for evaluating carbon dioxide exchange rates of ecosystems: past, present and future." Global Change Biology, Vol. 9, No. 4, pp. 479-492. 

  3. Baldocchi, D., Hicks, B., and Meyers, T. (1988). "Measuring biosphere-atmosphere exchanges of biologically related gases with micrometeorological methods." Ecology, Vol. 69, pp. 1331-1340. 

  4. Bastiaanssen, W.G.M., (1995). Regionalization of surface flux densities and moisture indicators in composite terrain: A remote sensing approach under clear skies in Mediterranean climates. Ph.D. Dissertation, Landbouwuniversiteitte Wageningen, The Netherlands. 

  5. Choi, T., Kim, J., and Yun, J. (1999). "On using the eddy covariance method to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agro-forest ecosystems and the atmosphe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 No. 1, pp. 1-15. 

  6. Doorenbos, J., and Pruitt, W.O., (1977). "Crop water requirements.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No. 24, (rev.)."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7. Jeong, S., Jang, K., Kang, S., Kim, J., Kondo, H., Gamo, M., Asauma, J., Saigusa, N., Wang, S., and Han, S. (2009). "Evaluation of MODIS-derived evapotranspiration at the flux tower sites in East Asi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1, No. 4, pp. 174-184. 

  8. Kang, M., Kwon, H., Lim, J.H., and Kim, J. (2009) "Understory evapotranspiration measured by eddycovariance in Gwangneung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1, No. 4, pp. 233-246. 

  9. Kim, D., Lim, Y.J., Lee, S., and Choi, M. (2011). "Validation of energy and water fluxes using Korea Land Data Assimilation and flux tower measurement: Haenam KoFlux site's hydro-environment analysi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31, No. 3, pp. 285-291. 

  10. Kim, N.W., and Kim, C.K. (2004). "Comparison of Penman- Monteith method and Morton CARE method for estimating areal evapotranspiration." 2004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Incheon, Korea, 14-15 May, 20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Y., Cho, K., Kim, H., Um, H., and Choi, B. (2003).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radiation in a mixed forest at Kwangneung arboretu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19, No. 3, pp. 285-296. 

  12. Kwon, H., and Kim, J. (2010) "KoFlux's progress: background, status and direc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2, No. 4, pp. 241-263. 

  13. Kwon, H., Lee, J.H., Lee, Y.K., Lee, J.W., Jung, S.W., and Kim, J. (2009). "Seasonal variations of evapotranspiration observed in a mixed forest in the Seolmacheon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1, No. 1, pp. 39-47. 

  14. Lamaud, E., Ogee, J., Brunet, Y., and Berbigier, P. (2001). "Validation of eddy flux measurements above the understory of a pine forest." Agric. Forest. Meteorol., Vol. 106, pp. 187-203. 

  15. Montgomery, R.B. (1948). "Vertical eddy flux of heat in the atmosphere." J Meteorol, Vol. 5, pp. 265-274. 

  16. Obukhov, A.M. (1951). "Characteristics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wind in the surface layer of the atmosphere." Izv. AN SSSR ser Geofiz, Vol. 3, pp. 49-68. 

  17. Swinbank, W.C. (1951). "The measurement of vertical transfer of heat and water vapor by eddies in the lower atmosphere." J Meteorol., Vol. 8, pp. 135-145. 

  18. Twine, T.E., Kustas, W.P., Norman, J.M., Cook, D.R., Houser, P.R., Meyers, T.P., Prueger, J.H., Starks, P.J., and Wesely, M.L. (2000). "Correcting eddy-covariance flux underestimates over grassland." Agric. Forest. Meteorol., Vol. 103, pp. 279-300. 

  19. Wilson, K., Goldstein, A., Falge, E., Aubinet, M., Baldocchi, D., Berbigier, P., Bernhofer, C., Ceulemans, R., Dolman, H., Field, C., Grelle, A., Ibrom, A., Law, B.E., Kowalski, A., Meyers, T., Moncrieff, J., Monson, R., Oechel, W., Tenhunen, J., Valentini, R., and Verma, S. (2002). "Energy balance closure at FLUXNET sites." Agric. Forest. Meteorol., Vol. 113, pp. 223-2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