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로 다른 형태의 엘니뇨에 따른 한강유역의 여름철 강우량과 극치강우의 변동특성 분석
Different Impacts of the Two Phases of El Niño on Variability of Warm Season Rainfall and Frequency of Extreme Events over the Han River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2, 2013년, pp.123 - 137  

윤선권 (APEC 기후센터 연구본부 기후변화연구팀) ,  김종석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권현한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엘니뇨와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 Modoki에 따른 한강유역의 여름철(6~9월) 강우량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형적인 엘니뇨 시기에는 대체로 여름철 강우량이 감소하였으며, 강우의 변동성도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CV=0.40). 반면에 엘니뇨 Modoki 시기에는 한강 대부분 유역에서 평년보다 강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름철 강우의 변동성은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CV=0.23). 엘니뇨 Modoki 시기에는 한강 남부의 11개 중권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강우의 증가를 보였고, 30mm/day와 50mm/day를 초과하는 중호우의 강우발생일은 각각 9.9일과 5.4일로 나타났으며, 전형적인 엘니뇨 시기보다 백분위 편차가 각각 17.74%, 50.94%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 Modoki가 전형적인 패턴의 엘니뇨보다 한강유역의 여름철 수자원 변동에 민감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수자원의 계절적 변동과 불확실성이 큰 지역에서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impacts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El Ni$\tilde{n}$o on summer rainfall (June-September) in the Han River and its sub-basins. The patterns of rainfall anomalies show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conventional El Ni$\tilde{n}$o and El Ni$\til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우량은 수자원확보와 안정적인 용수공급 차원에서 ENSO와 관련한 대기순환 패턴 변화예측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향후 더욱 활발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두 가지 형태의 엘니뇨가 한강유역의 여름철(6~9월) 강우량의 변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일반적인 엘니뇨 사상과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 Modoki 사상으로 구분하여 한강유역의 중권역별 여름강우량을 대상으로 엘니뇨 패턴 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엘니뇨 사상과 엘니뇨 Modoki 사상을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기간에 해당하는 한강유역의 여름철 강우의 공간 분포 특성과 중호우사상(heavy rainy days)의 발생특성, 중권역별 강우의 변동계수(CV; coefficient of variation)를 분석하였다.
  • 해수면 온도의 패턴 변화에 따른 전 지구적 기후체계의 상호작용과 변화의 결과는 다양한 형태로 지역적 수자원의 변동을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으며, 장기적인 측면에서 수자원의 정확한 예측 및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하여 기상인자와 수문자료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의 ENSO 가 한강유역의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3(b)). 서로 다른 형태의 엘니뇨 해의 SSTA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의 변화 패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Kug et al. (2009), Feng et al. (2010)과 Ren and Jin (2011)의 연구를 참고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엘니뇨의 물리적 현상을 다루기보다 서로 다른 ENSO 패턴 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강우량과의 연관관계에 대한 분석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강유역의 평균 경사는? 한강유역의 유역면적은 26,356 km 2 , 유로연장 482 km이며, 이는 남한 면적의 약 23%에 달한다. 유역의 평균경사는 18.81%, 유역평균고도 405.95 El.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는 중앙태평양에서 어떤 형태를 띠는가?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에 의해 엘니뇨의 특성이 변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 엘니뇨와 유사하면서 약간 다르다는 의미로 ‘엘니뇨 Modoki’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엘니뇨의 진화 패턴은 동태평양 (Eastern Pacific) 지역에 중심이 있어 가을과 겨울 사이에 비정상적인 해수면 온도 상승을 보이나,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는 중앙태평양(Central Pacific)에서 강한 진폭을 나타내는 형태를 뜨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엘니뇨 Modoki에 대한 연구는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Weng et al.
대기 순환 및 수문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는? , 2012). 특히, ENSO (El Niño-Southern Oscillation)는 대기 순환 및 수문환경(hydrological environment)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이며,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강우량의 계절적 변동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Schonher and Nicholson, 1989; Gershunov et al. 1999; and McPhad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shok, K., Behera, S.K., Rao, S.A., Weng, H., and Yamagata, T. (2007). "El Nino Modoki and its possible teleconnection." J. Geophys. Res. 112, doi:10.1029/2006JC003798. 

  2. Ashok, K., and Yamagata, T. (2009). "Climate Change: The El Nino with a difference." Nature, doi:10.1038/461481a. 

  3. Bjerknes, J. (1969). Atmospheric teleconnections from the equatorial pacific. MonthlyWeather Review, Vol. 97, No. 3, pp. 163-172. 

  4. Bowman, A.W., and Azzalini, A. (1997). "Applied smoothing techniques for data analysi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5. Chang, C-W.J., Hsu, H.H., Wu, C.R., and Sheu, W.J. (2008). "Interannual mode of sea level in the South China Sea and the roles of El Nino and El Nino Modoki." Geophys. Res. Lett. 35:L03601. doi:10.1029/2007GL032562. 

  6. Chu, P.S. (1995). "Hawaii rainfall anmalies and El Nino." J. Climate, Vol. 8, pp. 1697-1703. 

  7. Feng, J., Chen, W., Tam, C.Y., and Zhou, W. (2010). "Different impacts of El Nino and El Nino Modoki on China rainfall in the decaying ph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doi:10.1002/joc.2217. 

  8. Gershunov, A., Barnett, T.B., and Cayan, D.R. (1999). "North Pacific Interdecadal Oscillations Seen as Factor in ENSO-related North American Climate Anomalies."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doi: 10.1029/99EO00019. 

  9. GPCP (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Project) (2012). URL: http://www.esrl.noaa.gov/psd/cgi-bin/data/ composites/printpage.pl. accessed March 2012. 

  10. Horel, J.D., and Wallace, J.M. (1981). "Planetary-scale atmospheric phenomena associated with the Southern Oscillation." Monthly Weather Review, Vol. 109, pp. 813-829. 

  11. Kao, H.Y., and Yu, J.Y. (2009). "Contrasting Eastern- Pacific and Central-Pacific Types of ENSO." Journal of Climate, Vol. 22, pp. 615-632 doi:10.1175/2008JCLI2309.1. 

  12. Kiladis, G.N., and Diaz, H.F. (1989). "Global climatic anomalies associated with extremes in the Southern Oscillation." J. Climate, Vol. 2, pp. 1069-1090. 

  13. Kim, H., Webster, P.J., and Curry, J.A.(2009). "Impact of shifting patterns of Pacific Ocean warming on the frequency and tracks of North Atlantic tropical cyclones." Science, Vol. 325, pp. 77-80. 

  14. Kim, J.S., Jain, S., and Yoon, S.K. (2012). "Warm season streamflow variability in the Korean Han River Basin: links with atmospheric teleconn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doi:10.1002/joc.2290. 

  15. Kug, J.S., Jin, F.F., and An, S.I. (2009). "Two types of El Nino events: Cold tongue El Nino and warm pool El Nino." Journal of Climate, Vol. 22, pp. 1499-1515, doi:10.1175/2008JCLI2624.1. 

  16. Kwon, H.H., and Moon, Y.L. (2005).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of Nino3.4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ummer seasonal rainfal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8, No. 12, pp. 985-994. 

  17. Lall, U., Moon, Y.I., and Bosworth, K. (1993). "Kernel flood frequency estimators: bandwidth selection and kernel choic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9, No. 4, pp. 1003-1015. 

  18. McPhaden, M.J., Zebiak, S.E., and Glantz, M.H. (2006). "ENSO as an Integrating Concept in Earth Science." Science, Vol. 314, pp. 1740-1745. 

  19. Monteverdi, J., and Null, J. (1997). El Nino and California Rainfall,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Western Region Technical Attachment No. 97-37. http://tornado.sfsu.edu/geosciences/elnino/ elnino.html, accessed February, 2005. 

  20. Moon, Y.I., and Lall, U. (1994). "Kernel quantile function estimator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11, pp. 3095-3103. 

  21. Na, H., Jang, B.G., Choi, W.M., and Kim, K.Y. (2011) "Statistical Simulations of the Future 50-year Statistics of Cold-Tongue El Nino and Warm-Pool El Nino." Asia-Pacific J. Atmos. Sci., Vol. 47, No. 3, pp. 223-233. 

  22. Nicholls, N., and Wong, K.K. (1990). "Dependence of rainfall variability on mean latitude and the Southern Oscillation." J. Climate, Vol. 3, pp. 163-170. 

  23. 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climate prediction center) (2012). URL:http://www.cpc.ncep.noaa.gov/data/ indices/. accessed March 2012. 

  24. Pradhan, P.K., Preethi, B., Ashok, K., Krishna, R., and Sahai, A.K. (2011). "Modoki, Indian Ocean Dipole, and western North Pacific typhoons: Possible implications for extreme eve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6D18108, doi:10.1029/2011JD015666. 

  25. Pizarro, G., and Lall, U. (2002). "El Nino-Induced Flooding in the US West: What Can We Expect?."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83, pp. 349- 352. 

  26. Rayner, N.A., Parker, D.E., Horton, E.B., Folland, C.K., Alexander, L.V., Rowell, D.P., Kent, E.C., and Kaplan, A. (2003). "Global analys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ea ice, and night marine air temperature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doi:10.1029/2002JD002670. 

  27. Ren, H.L., and Jin, F.F. (2011). "Nino indices for two types of ENSO."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8, L04704, doi:10.1029/2010GL046031. 

  28. Schonher, T., and Nicholson, S.E.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California Rainfall and ENSO Events." Journal of Climate, Vol. 2, pp. 1258-1269. 

  29. Shin, H.S., Ahn, J.H., and Yoon, Y.N. (1999). "Analysis of spatial-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El Nino and South Korean precipi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9, No. II-1, pp. 1-12. 

  30. Trenberth, K.E. (1997). "The Definition of El Nino."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pp. 2771- 2777. 

  31. WAMIS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2012). URL: http://wamis.go.kr/eng/. accessed March 2012. 

  32. Weng, H., Ashok, K., Behera, S., Rao, S., and Yamagata, T. (2007). "Impacts of recent El Nino Modoki on dry/ wet conditions in the Pacific rim during boreal summer." Climate Dynamics, Vol. 29, pp. 113-129. 

  33. Yeh, S.W., Kug, J.S. Dewitte, B., Kwon, M.H., Kirtman, B.P., and Jin, F.F. (2009). "El Nino in a changing climate." Nature, Vol. 461, pp. 511-514, doi:10.1038/nature08316. 

  34. Yoon, J.H., and Yeh, S.W. (2009).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 Asian Marginal SST and the Two Different Types of El Nino."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1, No. 1, pp. 1-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