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불가피성과 반복성을 가진 자연 현상이므로 가뭄 발생 전 사전대비계획과 가뭄발생시 가뭄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그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가뭄심도를 평가하여 가뭄상황에 대처하고자 우리나라에 적합한 가뭄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관측년수 30년 이상의 강우자료를 확보한 61개 지점에 대해 1973년부터 37년 기간의 월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였고, 현재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뭄상황단계를 그대로 적용하여 가뭄 구간을 총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기존의 주요 가뭄발생현황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가뭄심도의 분류기준을 가뭄 발생의 누가확률 98~100%는 예외적인 가뭄, 94-98%는 극심 가뭄, 90~94%는 심한 가뭄, 86~90%는 보통 가뭄으로 구분하였다. 각 지점의 가뭄지수(SPI, PDSI)를 내림차순으로 작성하여 가뭄심도 분류기준에 맞는 가뭄지수의 정량적 값을 산정하였다. SPI와 PDSI의 가뭄심도 분류 결과와 실제 가뭄을 비교하기 위해 년 단위 비교와 월 단위 비교를 분석한 결과, 년 단위 비교와 SPI의 월 단위 비교는 각 지역의 가뭄지수 평가가 대부분 일치하게 나타났으나 같은 기간의 PDSI의 월 단위 비교는 일치하지 않는 기간도 나타났다. 이는 이들 지수의 상호보완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drought is phenomenon of nature with unavoidability and repeated characteristic, it is necessary to plan to respond to it in advance and construct drought management system to minimize its damage. This study suggested standard for classification of drought, which is appropriate for our nation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1)은 낙동강 유역의 가뭄을 평가하고자 강우지표와 PDSI를 적용한 결과, 6개월 미만의 강우지표와 유출지표로 짧은 기간의 가뭄상태를 재현할 수 있고, 장기간의 가뭄상태에는 9개월 이상의 강우지표 및 PDSI가 적당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가뭄을 표현하고 정량화 할 수 있는 보다 정확한 가뭄지수의 산정이 필요하다고 평가하였다. Lee et al.
  • 본 연구에서는 순수 국내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지수에 따른 가뭄심도분류표를 작성하기 위해, 강우 관측자료를 30년 이상 확보한 국내 61개 지점에 대해 현재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뭄상황단계를 그대로 적용하고자 가뭄 구간을 총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가뭄발생현황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가뭄심도 분류기준을 가뭄발생의 누가확률에 맞게 작성하였으며(Table 6), 각 지점의 가뭄지수(SPI, PDSI)를 내림차순으로 작성하여 기준에 맞게 가뭄지수의 정량적 값을 산정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가뭄발생현황을 참고하여 가뭄심도의 분류기준을 작성하고 대표적인 가뭄지수(SPI, PDSI)의 등급을 기준에 맞게 분류하였다. 이는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들이 등급의 다양함으로 인한 혼란을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낙동강유역을 대상으로 분류 결과와 실제 가뭄의 비교를 통해 각 가뭄지수별 등급 통일화의 적용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S.R., Kwon, H.J., Park, J.Y., and Kim, S.J. (2009).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Using Reservoirs Information." Conference 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68-73. 

  2. Edwards, D.C., and McKee, T.B. (1997). "Characteristics of 20th century Drought in the United States at Multiple Time Series." Master thesis, Colorado State University, Colorado. 

  3. Guttma, N.B. (1998). "Comparing the Palmer Drought Index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4, No. 1, pp. 113-122. 

  4. Kim, D.H., and Yoo, C.S. (2006).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Droughts in Korea through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9, pp. 745-754. 

  5. Kim, M.S., Oh, T.S., Moon, Y.I., and Kwon, H.G. (2009). "Analysis and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Conference on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3406-3409. 

  6. Kim, S.J., Lee, K.Y., and Sin, D.W. (1995). "Drought Index Calculation for Irrigation Reservoi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Agricultural Engineers,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37, No. 6, pp. 103-111. 

  7.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2). Report of Drought Monitoring System of Measure Establishment Study. 

  8.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5). Report of Establishment for Drought Monitoring System. 

  9. Kwon, H.J., Lim, H.J., and Kim, S.J. (2007). "Drought Assessment of Agricultural District using Modified SW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0, No. 1, pp. 22- 34. 

  10. Lee, D.R., Moon, J.W., Lee, D.H., and Ahn, J.H. (2006). "Develop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dex to Monitor Droughts in a Reservoir." Conference 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3, pp. 199-214. 

  11. Lee, H.K., Choi, B.M., and Lee, H.G. (2001). "Analysis of Drought Status and Restoration Measure from 2001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4, No. 4, pp. 32-44. 

  12. Lee, J.H., Jung, S.M., Kim, S.J., and Lee, M.H. (2006). "Development of Drought Monitoring System: I. Applicability of Drought Indices for Quantitative Drought Monitoring." Journal of Korea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9, pp. 787-800. 

  13. Lim, K.J., Sim, M.P., Sung, K.W., and Lee, H.J. (2001). "Estimation of drought indicator using various time series." Conference 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4, No. 6, pp. 673-685. 

  14.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eheim, CA, pp. 179-184. 

  15.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2). Report of 2001 Drought Investigation Record,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pp. 14-29. 

  16.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1998).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Causes of the Drought Damage, pp. 8. 

  17.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Report, No. 45, U.S. Dept. of Commerce Weather Bureau. 

  18. Ryu, J.H., Lee, D.R., Ahn, J.H., and Yoon, Y.N.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ought Indices for Drought Evaluation." Conference 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 4, pp. 397-410. 

  19. Shafer, B.A., and Dezman, L.E. (1982). "Development of surface water supply index to asses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s in snowpack runoff areas." Proc. Western Snow Conference, Reno, Nevada, pp. 164- 175. 

  20. Steinemann, A. (2003). "Drought Triggers: A stochastic Approach to Evaluation." Journal of the American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5, pp. 1217- 1234. 

  21. Taebaek-si (2009). A Drought White Paper. 

  22. Tsakiris, G., Pangalou, D., and Vangelis, H. (2006). "Regional Drought Assessment Based on the Reconnaissance Drought Index(RDI)."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1, No. 5, pp. 821-833. 

  23. Yoon, Y.N., Ahn, J.H., and Lee, D.R. (1997).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using Palmer Drought Index Method." Conference 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0, No. 4, pp. 317-3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