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국시대 서적 유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ok Distribution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4 no.1, 2013년, pp.227 - 259  

송일기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삼국이 통일을 이룬 7세기까지 중국에서 수입한 서적과 내국인이 편찬하여 유통된 서적을 대상으로 그 전모를 조사하여 주요한 특징을 밝힌 글이다. 삼국은 5세기부터 중국으로부터 서적을 수입하여 고대국가의 정착을 위해 법령의 제정, 교육제도의 도입, 학문의 진흥, 국제 외교, 국사의 편찬 등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4세기 후반 한반도에 전래한 불교는 초기에는 단순히 불경을 전수하는데 불과하였으나, 대장경이 도입된 7세기 이후에는 새로운 종파를 형성할 수준으로 교학이 발전하여 우리 자체의 장소문헌의 찬술이 본격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처럼 삼국이 통일된 7세기까지 서적의 유통 현상을 분석한 결과, 전래 서적은 주로 유교와 불교 문헌에 집중된 현상을 보이고, 내국인에 의한 자체적으로 편찬한 서적은 삼국의 역사서와 불교의 장소문헌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기초학습에 필요한 소학서와 과학분야의 전문서적이 수입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당시 삼국에서 유통된 서적의 경우 대부분 6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수입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필사본 형태로 보급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삼국에서 5세기 이전에 편찬되었던 "유기(留記)"와 "서기(書記)" 등 역사서적은 죽간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bjected books having been imported from China until the 7th century when unification was made among the three kingdoms together with distributed books by Korean nationals after compiling them, and clarified main characteristics by investing their whole pictures. The three kingdoms had i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서적을 수입하여 활용한 곳은 어디인가? 이 연구는 삼국이 통일을 이룬 7세기까지 중국에서 수입한 서적과 내국인이 편찬하여 유통된 서적을 대상으로 그 전모를 조사하여 주요한 특징을 밝힌 글이다. 삼국은 5세기부터 중국으로부터 서적을 수입하여 고대국가의 정착을 위해 법령의 제정, 교육제도의 도입, 학문의 진흥, 국제 외교, 국사의 편찬 등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4세기 후반 한반도에 전래한 불교는 초기에는 단순히 불경을 전수하는데 불과하였으나, 대장경이 도입된 7세기 이후에는 새로운 종파를 형성할 수준으로 교학이 발전하여 우리 자체의 장소문헌의 찬술이 본격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한자의 수용이 단순한 습득이 아니라 중국의 역사와 문화 전반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확대된 이유는? 첫째, 한자의 사용은 선행의 축적된 지식을 전달하고 국가 조직의 근간인 군현제의 실시에 따른 문서행정의 보편화와 율령제의 정착 등 고대국가의 형성에 필수적 요인이다. 따라서 한자의 수용은 단순히 한자의 습득만이 아니라 중국의 역사와 문화 전반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4세기 중반 무렵에 죽간본의 존재했을 가능성을 검토하는 근거는? 여섯째, 평양 정백동 364호에서 발굴된 죽간본 『논어』를 비롯하여 창원 다호리와 함안 성산산성 유적에서 출토된 붓과 삭도 등 서사유물, 안악 3호분의 벽화그림에 省事가 죽간본을 들고 보고하는 장면, 그리고 고구려에서 편찬한 『留記』 100권과 『新集』 5권의 심각한 권수의 차이를 죽간에서 종이로의 서사매체의 변화로 해석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4세기 중반 무렵에 죽간본의 존재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무렵 중국에서도 불과 1세기 정도 앞선 3-4세기 무렵 서사재료가 죽간에서 종이로 큰 변화가 이행되었던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는 중국과는 1세기 정도의 시차를 두고 5세 기부터 紙書本이 서서히 등장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三國史記(Samguksagi) 

  2. 史記(Sagi) 

  3. 宋書(Songseo) 

  4. 南齊書(Namjeseo) 

  5. 梁書(Yangseo) 

  6. 魏書(Wi-Seo) 

  7. 周書(Ju-seo) 

  8. 南史(Nam-sa) 

  9. 北史(Buk-sa) 

  10. 舊唐書(Gudangseo) 

  11. 日本書紀 

  12. 高光儀.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書寫 관련 내용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제34집(2004. 6). pp.225-266.(Ko, Kwang-eui. A Study on the Contents Related to Transcription Found in Murals of the Koguryo, Journal of Society for Korean Ancient History, Vol.34, No.2(Jun. 2004). pp.225-266.) 

  13. 김병준. "낙랑군의 한자 사용과 변용."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소통,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11. pp.39-84.(Kim, Byeong-jun. "Nakrang's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Transfiguration", Exchange of writing systems and communication in ancient East Asia, Seoul :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1. pp.39-84.) 

  14. 南豊鉉. "古代韓國에 있어서 漢籍.佛典의 傳來와 受容에 대하여." 書誌學報, 제31호(2007). pp.5-35.(Nam, Pung-Hyeon. A Study on the Importing and Reception of Chinese Books and Buddhist Books in Ancient Korea, Journal of Society for Korean Bliography, Vol.31(2007). pp.5-35.) 

  15. 朴載福. "향교설립 이전의 유가경전 수용과 교육현황." 東洋古典硏究, 제42집(2011), pp.7-35.(Park, Jae-Bok. The State of Classics Education before the establish of Hyanggyo in Korea. Journal of Society for Eastern Classics, Vol.42(2011). pp.7-35.) 

  16. 朴成熙. "古代 三國의 史書 편찬에 대한 재검토." 震檀學報, 제88집(1999). pp.25-41.(Park, Seong-hui. "For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ies of the ancient Three Kingdoms Review." The Chin-Tan Society, Vol.88(1999). pp.25-41.) 

  17. 富谷至 原著.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 고대 문화사. 임병덕 옮김. 서울 : 사계절. 2005. pp.1-282.(Lim, Byeong-deok translation, Chinese ancient cultural history through the wooden tablets and bamboo strips, Seoul : Four Seasons, 2005, pp.1-282.) 

  18. 宋基豪. "고대의 문자생활." 강좌 한국고대사, 제5권, 서울 :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pp.1-60.(Song, Gi-ho, "Ancient characters life." Courses Korean Ancient History, Seoul : Development Institute of Garakguk historical site, Vol.5(2002). pp.1-60.) 

  19. 여호규. "고구려의 한자문화 수용과 변용."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소통,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11. pp.87-123.(Yeo, Ho-gyu, "Chinese cultural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Goguryeo." Exchange of writing systems and communication in ancient East Asia, Seoul :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1. pp.87-123.) 

  20. 吳富尹. "敎育典籍을 통해 본 新羅 學校敎育의 특징." 제주한라대학논문집, 제26집(2002), pp.159-171.(Oh, Bu-yun, "Features Silla school of education through educational books." Journal of the Jeju Halla College, Vol.26(2002), pp.159-171.) 

  21. 李健茂. "茶戶里遺蹟 出土 붓에 대하여." 考古學誌, 제4집(1992). pp.5-29.(Lee, Geonmu, "ChaJungRi Ruin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brush", Journal of Archaeological Society 4(1992). pp.5-29.) 

  22. 李成珪. "韓國 古代國家의 形成과 漢字 受容." 한국고대사연구, 제32집(2003. 12), pp.55-93.(Lee, Seong-gyu, "The formation of the Korean ancient country and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 Vol.32, No.4(Dec. 2003), pp.55-93.) 

  23. 李成珪. "諸子의 學과 思想의 理解." 講座中國史 1, 서울 : 지식산업사, 1982. pp.157-204.(Lee, Seong-gyu,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ideology for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Courses of Chinese History 1, Seoul : Knowledge industry companies, 1982.) 

  24. 李成市, 尹龍九, 金慶浩. "平壤 貞柏洞364號墳 출토 竹簡 論語에 대하여." 木簡과 文字 4, 韓國木簡學會, 2009. pp.127-166.(Lee, Seong-si.Yoon, Yong-gu.Kim, Gyeong-ho, "Excavated from JeongBaekdong364grave in Pyongyang about a bamboo pole ." The wood pole and letter 4, The Korean wood pole Society, 2009. pp.127-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