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약품 사용 관련 국내 통계자료에 나타난 성별 차이 조사 연구
Investigation Study on Gender Difference Based on Korean Data Related to Drug Use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3 no.2, 2013년, pp.114 - 122  

이수진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임상약학연구실) ,  이병요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임상약학연구실) ,  권광일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임상약학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Drugs should be evaluated in appropriate subjects representing potential population to take the drugs. This study focuses on gender factor and aims to make known the appropriateness of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 on clinical evaluation of drug with domestic data related to drug use.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 그러나 국내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로 의약품을 사용하는 환자 집단의 구성 및 의약품 사용에 대한 성별 차이를 분석한 연구는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약품 사용과 관련한 국내 통계 조사 데이터를 성별 요인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실제 의약품 소비 집단의 성별에 따른 구성 및 차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성별 차이를 반영한 의약품 임상평가의 중요성을 환기함과 동시에 관련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국가 통계포털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의 주제별 통계목록 중, 보건/사회/복지 분류의 보건 항목에 해당하는 통계 목록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 환자조사, 의약품소비량 및 판매액통계조사를 관련 통계조사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통계조사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들 중 의약품 사용 관련 자료로서 만성질환의 유병률, 외래환자 수 및 의약품 소비량을 성별 차이 분석 대상 자료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자료는 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하는 간행물 중 해당 통계조사의 결과보고서 및 통계집을 검색하여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제시된 통계자료가 본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키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 후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을 나타내는 용어 2가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그러나, 최근 생물의학 및 보건 관련 문헌에는 gender 및 sex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1) 성을 나타내는 용어 중 sex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일차적으로 생물학적 부분에 기인할 때 사용되며, gender는 성별에 따른 사회 및 문화적 영향을 반영하는 용어이다.2) 이 두 가지 용어의 사용은 단순히 성 염색체에 따른 생식기관의 차이를 넘어서 개인의 환경과 경험에 기인한 사회적인 성별 차이도 의학연구 및 의료 수행에서 강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남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하는 것을 선호한 이유는 무엇인가? 보건연구자들은, 남성을 여성에 비해 연구하기 더 ‘쉬운’ 대상으로 인지하고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더 선호하였다. 남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적은 표본 수에서도 성 동질성을 확보하여 연구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여성 피험자의 임신 발생시 출산 전후 약물 노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다.5)
성을 나타내는 용어인 sex, gender 구분 사용이 의학 연구 및 의료 수행에 있어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성을 나타내는 용어 중 sex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일차적으로 생물학적 부분에 기인할 때 사용되며, gender는 성별에 따른 사회 및 문화적 영향을 반영하는 용어이다.2) 이 두 가지 용어의 사용은 단순히 성 염색체에 따른 생식기관의 차이를 넘어서 개인의 환경과 경험에 기인한 사회적인 성별 차이도 의학연구 및 의료 수행에서 강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rieger N. Gender, sexes, and health: what are the connections--and why does it matter? Int J Epidemiol 2003; 32(4): 652-7. 

  2. Pinn VW. Sex and gender factors in medical studies: implications for health and clinical practice. JAMA 2003; 289(4): 397-400. 

  3. Annandale E, Hunt K. Gender inequalities in health.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2000. 

  4. Mastroianni AC, Faden R, Federman D, et al., Women and health research: ethical and legal issues of including women in clinical studi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4. 

  5. Uhl K, Parekh A, Kweder S. Females in clinical studies: where are we going? Clin Pharmacol Ther 2007; 81(4): 600-2. 

  6. Brandt EN Jr. Some thoughts about women's health and its evolution. J Gend Specif Med 1998; 1(1): 48-9. 

  7. Pinn VW. An affirmation of research and health care for women in the 21st century. J Gend Specif Med 1998; 1(1): 50-3. 

  8. Kirschstein RL. Research on women's health. Am J Public Health 1991; 81(3): 291-3. 

  9. Johnson TL. A women's Health Research Agenda. J Women's Health 1993; 2(2): 95-8. 

  10. Merkatz RB, Junod SW. Historical background of changes in FDA policy on the study and evaluation of drugs in women. Acad Med 1994; 69(9): 703-7. 

  11. 허정선, 김경희, 윤인경 등. Physician's Desk Reference에 나타난 성별차이 분석. 한국임상약학회지 2011; 21(1): 22-9. 

  12. 2008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09. 

  13. 2009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0. 

  14. 2010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1. 

  15. 2008년도 환자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16. 2009년도 환자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7. 2010년도 환자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8. 2011년도 환자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9. 2008년도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 심층분석.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20. 2009년도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 심층분석. 보건복 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1. 2010년도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 심층분석.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2. 보도자료: 임상경쟁력 강화로 국내 임상 비약적 발전. 식품의약품안전청, 2012. 

  23. Berlin JA, Ellenberg SS. Inclusion of women in clinical trials. BMC Med 2009; 7: 56. 

  24. Guideline for the study and evalu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clinical evaluation of drug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3. 

  25. Prout MN, Fish SS. Participation of women in clinical trials of drug therapies: a context for the controversies. Medscape Womens Health 2001; 6(5): 1. 

  26. Considerations for inclusion of women in clinical trials and analysis of data by sex. Health Canada,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