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의약품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시각 및 활용도
Consumer Perspectives and Utilization of Drug Informa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3 no.4, 2013년, pp.334 - 343  

이인향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  계승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숙향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sumers' demand of and perspective on drug information domestically available and uncover hurdles that they faced while utilizing information. Methods: We conducted a survey of 101 consumers, face-to-face after obtaining informed consent. Chi-squared, or F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예상 밖의 저조한 이용도로 인해 함께 조사한 공공기관 제공 의약품 관련 정보원에 대한 만족도나 응답자 특성과 관련한 세부 분석은 무의미하였다. 이들은 관련 주제에 대한 추가연구에서 밝혀야 할 숙제로 남겨둔다.
  • 소비자의 의약품정보 수요나 정보이용 시의 어려움 등에 대한 탐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소비자의 시각에서 이들이 필요로 하는 의약품 정보와 현재 이용 가능한 의약품정보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대표적인 공공 의약품정보원의 활용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정보 지식의 수준이 낮은 소비자의 경향은? 건강정보 지식의 수준이 낮은 소비자일수록 낮은 건강상태, 낮은 복약순응도, 높은 진료횟수와 입원율 및 비용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므로,1,2) 정보화된 소비자는 질병치료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치료결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3,4) 인터넷은 방대한 건강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정보화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건강정보를 생산, 제공하여 공신력 있는 정보의 양을 확충할 것이 요구되는 이유는? McClung 등5)은 소아치료 관련 인터넷 정보 60건을 조사하여 이중 80%가 미국 소아과학회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임을 보고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미경 등6)이 방문자 수를 기준으로 한 100대 건강웹사이트를 평가한 후 절반 이상이 평가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다른 연구에서는 인터넷 건강 정보가 일부 의사와 환자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도 나타났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의 인터넷 건강 정보 신뢰도는 80~90%에 이를 정도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8,9) 이에, 공인기관이 건강정보를 생산, 제공하여 공신력 있는 정보의 양을 확충할 것이 요구되어 왔다.
인터넷 등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소비자가 많아질수록 생기는 우려는? 3,4) 인터넷은 방대한 건강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정보화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다른 한편, 인터넷 등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소비자가 많아질수록 이들에게 제공 되는 정보의 내용이나 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McClung 등5)은 소아치료 관련 인터넷 정보 60건을 조사하여 이중 80%가 미국 소아과학회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임을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eiss BD, Coyne C, Michielutte R, et al. Communicating with patients who have limited literacy skills: Report of the National Work Group on Literacy and Health. Journal of Family Practice 1998; 46: 168-76. 

  2. Ngoh LN. Health literacy: a barrier to pharmacist-patient communic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JAPhA2009; 49: 132-46. 

  3. Shepperd S, Charnock D, Gann B. Helping patients access high quality health information. BMJ1999; 319: 764-66. 

  4. Park EJ, Chae SM, Park S. The association between consumers' knowledge and behaviour on antibiotics use for common cold. Yakhak Hoeji 2011; 55: 492-99. 

  5. McClung HJ, Murray RD, Heitlinger LA. The Internet as a source for current patient information. Pediatrics1998; 101: E2. 

  6. Seo MK, Jeoung YC, Oh YM, et al. Exploration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0. 

  7. Kim B, Choi MI, Jang JY. Perceptual differences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use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Empirical test of coorientation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012; 23: 63-84. 

  8. Kim Y, Jung SH, Lee HJ. Factors affecting on-line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by patient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2003; 9: 457-68. 

  9. Lee HJ.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cquisition type and the factors relevant to chronic disease subjects with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2005. 

  10. Lee IH, Lee HW, Je NK, et al. Assessment of readability and appropriate usability based on the product labelling of over-the-counter drugs in Korea. Yakhak Hoeji 2012; 56: 333-45. 

  11. Song T, Park E, Lim E. The survey of the demand for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2002; 8: 17-24. 

  12. Korea Consumer Agency. A survey of global and domestic drug labels for over-the-counter products. Seoul: Consumer Safety Center, 2008. 

  13. Song YJ, Yoo HJ. Exploring the standard and contents of drug labelling among Korea, China and Japan. Korean Journal of Risk Management 2010; 6: 139-62. 

  14. Nam SJ, Yoo, HJ. Information on medication and consumer competency. Consumption Culture Study 2010; 13: 21-37. 

  15. Choi ET. HIRA, open a new homepage containing 132 contents. Daily Pharm, 2005. 

  16. Park CH. Introducing FDA ezDrug: easy to access to information for approved drugs. Daily Pharm, 2007. 

  17. Song BK. KFDA, open Online Drug Information Library. Kukminilbo, 2012. 

  18. Ji EH, Kim S, Oh JM, et al. Public perception and routes of acquiring information on drug safe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2011; 21: 311-18. 

  19. Berland GK, Elliott MN, Morales LS, et al.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ccessibility, quality, and readability in English and Spanish. JAMA 2001; 285: 2612-21. 

  20. Holt GA, Hollon JD, Hughes SE, et al. OTC labels: can consumers read and understand them? American Pharmacy 1990; NS30: 51-54. 

  21. Alpay L, Verhoef J, Xie B, et al. Current Challenge in Consumer Health Informatics: Bridging the Gap between Access to Information and Information Understanding. Biomedical Informatics Insights 2009; 2: 1-10. 

  22. Powell J, Clarke A. The WWW of the World Wide Web: Who, What, and Wh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02; 4: e4. 

  23. Lee YJ. Patients' sources of drug information and their preferences in community pharmacy. Yakhak Hoeji 2010; 54: 174-79. 

  24. Maddock C, Lewis I, Ahmad K, et al. Online information need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organizations. ecancermedicalscience 2011; 5: 2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