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류 및 부산연안지역의 준설토와 퇴적토 활용을 위한 특성 평가
Assessment of Dredged Soils and Sediments Properties in the Lower Reach of Nakdong River and Coastal Areas of Busan for Beneficial Use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8 no.1, 2013년, pp.57 - 66  

이용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김국진 ((주)오이코스) ,  성기준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quantity of dredged soils has increased owing to recent new harbor construction, sea course management, polluted sediment dredging, and four-river project, the reuse or recycling of those dredged soils has not done properly in Korea. To develop measures to utilize them in various way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준설토의 특성이 많이 다를 것으로 예상되는 하천과 해양준설토의 특성 파악은 초기 발생 단계에서 향후 적용 가능한 활용처를 스크리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재용 또는 매립에 의존하는 준설토를 보다 더 다양하게 재활용 또는 재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준설토의 발생위치에 따라 하천 및 해양준설토로, 이를 다시 준설이 이루어져 적재되어 있는 준설토와 현장에서의 퇴적물을 채취한 퇴적토로 구분하여 주요 특성을 평가하여 잠재적인 활용처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점차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 준설토를 보다 더 다양하게 재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낙동강 하구와 부산 연안 해역 지역을 대상으로 주요 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 준설토 재활용과 관련하여 진행되는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 준설토의 재활용과 관련하여 진행되고 있는 연구로는 건설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고화제를 혼합하고, 경량화를 위하여 기포를 첨가한 경량기포혼합토의 응력-변형거동과 압축강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Kim and Lee, 2002), 조경 식재지 객·복토용 재료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일본의 준설토를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Kim and Yoon, 2005), 인공염습지와 같은 환경복원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준설토와 원지반 토양간의 배합비에 따른 인공염습지 조성 후 초기 환경변화에 관한 연구(Park et al., 2008), 준설토사의 유효활용을 위한 환경기준의 정립을 위하여 타당하다고 판단되는 외국의 준설토사 활용기준을 선별하여 국내 퇴적물 오염현황, 국내 퇴적물의 주요오염성분, 그리고 오염퇴적물 정화기준의 하위기준과 상위기준을 종합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여 준설토사의 유효활용을 위한 환경기준을 제안한 연구(Yoon et al., 2008) 등이 있다.
2003년에 해양준설토가 얼마나 발생하였는가? 최근 신항만 건설 및 해안 매립, 해상 항로유지 확보, 오염해역 준설로 인하여 2003년에만 2,400만 m3의 해양준설토가 발생하였고, 국내 연안에서 발생하는 준설토의 양 또한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약 27,900 m3 기록하는 등 그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MOMAF, 2003; Park, 2007). 또한 최근 마무리된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하여 2012년 기준, 약 4.
해양 준설토의 투기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발생한 해양 준설토 중 81%는 투기장에 투기되고 9%는 외해에 투기하고 있어 그 활용률이 극히 낮은 실정이다(Yoon and Kim, 2011). 준설 직후 매립지에 장기간 방치하여 건조·처리하는 방법은 대규모의 부지를 확보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마저도 수명 및 처리비용의 상승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부지를 확보한다 하더라도 최근 투기장 환경오염 문제로 인하여 투기장을 신축하는 것이 지역사회 여론의 반대에 크게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tlas, R.M. and Bartha, R., 1987, Microbial ecolog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Benjamin/Cummings. 

  2. Brady, N.C. and Weil, R.R., 2010,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 3rd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New Jersey, 303, 336, 395, 396 p. 

  3. Blott, S.J. and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6, 1237- 1248. 

  4. Chang, C.W. and Dregne, H.E., 1995, The effect of exchangeable sodium on soil properties on grwoth and cation content of alfalfa and cotton, Soil Sci. Soc. Am. Prac., 19, 29-35. 

  5. Choi, S.I., Lee. G.T., and Yang, J.K., 2009, Soil contamination management and introduction to restoration, Donghwa press, 209 p. 

  6. Eivazi, F. and Tabatabai, M.A., 1988, Glucosidases and agalactosidases in soils. Soil Biol. Biochem., 20, 601-606. 

  7. Folk, R.L., 1954, The distinction between grain size and mineral composition in sedimentary-rock nomenclature, J. Geo., 62(4), 344-359. 

  8. Garcia-Gil, J.C., Hernandez, T., and Costa, F., 1997, Potential use of dehydrogenase activity as an index of mocrobial activity in degraded soil, Commun. Soil Sci. Plant Anal., 28(1&2), 123- 134. 

  9. Garcia-Gil, J.C., Plaza, C., P., Soler-Rovira, P., and Polo, A., 2000, Long-term effects on municipal solid waste compost application on soil enzyme activities and microbial biomass, Soil Biol. Biochem. 32, 1907-1913. 

  10. Jang, S.G. and Cheong, C.J., 2010,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s in the tidal flat sedimental of the Suncheon bay, J. Kor. Soc. Mar. Env. Eng., 13(3), 198-205. 

  11. Jones, J.B., 2001, Laboratory guide for conducting soil tests and plant analysis, CRC press, 68-69 p. 

  12. Kang, Y.H. and Shin, Y.O., 2005, Soil.Plant nutrition.Science of fertilizer, Jiphyeon press, 194 p. 

  13. Kim, W.T. and Yonn, Y.H., 200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s as planting soil, J. Kor. Ins. Land. Arch., 32(6), 95-102. 

  14. Kim, Z.C. and Lee, C.K., 2002,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ed foam soil consisting of dredged soils, Kor. Geo. Soc., 18(4), 309-317. 

  15.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DI), 2002, Restoration of degraded costal eco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153 p. 

  16.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LA), 2002, Landscape design standards. 316 p. 

  17. Lee, S.H., Ji, K.J., An, Y., and Ro, H.M., 2003, Soil salinity and vegetation distribution at four tidal reclamation project, Kor. J. Env. Agr., 22(2), 79-86. 

  1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press reference. 

  19.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OMAF), 2003, Marine fisheries statistical year book. 

  20.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NIAST), 2000, Methods for soil and plant analysis. 

  21. Park, J.B., Lee, G.H., Woo, H.S., and Lee, J.W., 2011, Problems of disposal of dredged material and increasement of recycling, Kor. Soc. Civ. Eng., 59(3), 65-74. 

  22. Park, S.J., Lim, J.D., Park, S.H., Lee, E.S., and Kim, I.S., 2007, Study of monitoring for change of marine environment by dumping dredged material, Kor. Soc. Mar. Env. & Safety Spring conference, 15-20. 

  23. Park, S.Y., Lee, I.C., Yi, B.H., Lee, J.Y., Yi, Y.M., and Sung, K.J., 2008, Initial change of environmental factors at artificial tidal flat constructed using ocean dredged sediment, Kor. Soc. Mar. Env. Eng., 11(2), 63-69. 

  24. Park, Y.A., 1983, Marine geology and sedimentology experiment, Jipmun press, 38 p. 

  25. Paul, E.A. and Clark, F.E., 1989, Soil microbiology and biochemistry,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 32-46 p. 

  26. Ramoliya, P.L., Patel, H.M., and Pandey, A.N., 2004, Effect of salinization of soil on growth and macro-and micro-nutrient accumulation in seedlings of Salvadora persica (Salvadoraceae), For. Ecol. Manage., 202, 181-193. 

  27. Shepard, F., 1954, Nomenclature based on sand-silt-clay ratios, J. Sed. Pet., 24, 151-158. 

  28. Soil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http://soil.rda.go.kr. 

  29. Sparks, D.L., 1995, Environmental soil chemistry,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lifornia, 203 p. 

  30. Speir, T.W., Hettles, H.A., Percival, H.J., and Parshotam, A., 1999, Is soil acidification the cause of biochemical responses when soils are amended with heavy metal salt?, Soil Biol. Biochem., 31, 1953-1961. 

  31. Suh, J.S., Kim, S.H., and Um, M.H., 2010, Diversity of soil microbes and assessment of soil health, Kor. Asso. org. agr., the first half of symposium, 135-148. 

  32.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1993, Soil survey manual, 62-65 p. 

  33. Weaver, R.W., Angle, S., Bottomley, P., Bezdicek, D., Smith, S., Tabatabai, A., and Wollum, A., Methods of soil analysis : Part2-Microb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Inc., Madison, Wisconsin, 807-826. 

  34. Welp, G., 1999, Inhibitory effects of the total and water-soluble concentrations of nine different metals on the dehydrogenase activity of a loess soil, Biol. Ferti. Soils, 30(1-2), 132-139. 

  35. Yoon, G.L. and Kim, H.S., 2011, Use of dredged material, C.I.R., 131 p. 

  36. Yoon, G.L., Lee, C.W., and Jeong, W.S., 2008,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for beneficail use of dredged material, Kor. Geo. Soc., 24(5), 5-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