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만 환경에서 식물플랑크톤 잠재적 위해종의 분포
Distribution of potential risky species on phytoplankton at por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 2013년, pp.506 - 510  

권오윤 (상명대학교 그린생명과학과) ,  강정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항에서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잠재적 위해종의 시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다. 부산, 울산, 인천 및 광양항에서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잠재적 위해종 및 환경요인을 계절별로 총 4회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잠재적 위해종은 총 25종으로, 이 중 적조 원인종이 20종이었으며 독소생산종이 5종이었다. 적조 원인종인 Skeletonema costatum은 전 조사 지역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 종은 부산항에서 수소이온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용존산소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5), 울산항에서는 부유물질과 수소이온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염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또한, 광양항에서는 염분 및 질산염과 양의 상관관계를, 수소이온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5), 인천항에서는 질산염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독소 생산종 중 기억상실성 패독인 도모익 산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Pseudo-nitzschia spp.는 전 조사지역에서 출현하였고, 질산염 및 규산염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그리고 설사성 마비패독을 일으키는 Dinophysis acuminata 및 기억성 마비패독을 유발하는 Alexandrium spp.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적조 원인종은 항구의 물리적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은 반면 독소 생산종은 영양염류와 같은 화학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risky spec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ports in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s, 25 potential risky species (red tide and toxic species) representing 20 red-tide species, 5 toxic species were observed in the all ports. Skeletonema c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과 같다. 수온과 염분은 CTD (SBE 19 plus, USA)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수직 분포를 얻었고, 용존산소(Dissolved oxygen)와 수소이온농도(pH)는 각각 DO meter (YSI-58)와 pH meter (Orinon 3-star)를 이용하였다.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은 선상에서 Niskin sampler를 이용하여 채수한 후 시료 100 mL을 폴리에틸렌 병에 담아 냉동 보관 후 실험실로 옮겨 분석하였고 [12], 총 부유물질(Total suspended solids)은 채수한 시료를 미리 무게를 잰 GF/F filter (47 mm diameter, Whatman)를 이용하여 일정량을 filter한 다음 실험실로 옮겨 여과 후와 여과전의 무게차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식물플랑크톤은 현장에서 시료 500 mL을 채수하여 루골용액을 이용해 최종농도 1%가 되도록 고정한 다음 실험실로 운반하여 침전법으로 농축하여 정량시료로 사용하여, Sedwick counting chamber를 이용하여 광학현미경(Primo Star, Zeiss) ×100배하에서 3회 계수하여 계산하였다.
  •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은 선상에서 Niskin sampler를 이용하여 채수한 후 시료 100 mL을 폴리에틸렌 병에 담아 냉동 보관 후 실험실로 옮겨 분석하였고 [12], 총 부유물질(Total suspended solids)은 채수한 시료를 미리 무게를 잰 GF/F filter (47 mm diameter, Whatman)를 이용하여 일정량을 filter한 다음 실험실로 옮겨 여과 후와 여과전의 무게차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엽록소 a는 일정량의 시료를 GF/F filer로 여과한 후 아세톤으로 색소를 추출한 다음 형광광도계(Turner Designs 10-AU)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영양염류(질산염, 아질산염, 암모니아, 인산염, 규산염)는 여과한 시료를 50 mL Falcon tube에 담아 냉동시킨 후 실험실로 옮겨 자동영양염분석기(Quickchem 8000, LACHAT)를 이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 엽록소 a는 일정량의 시료를 GF/F filer로 여과한 후 아세톤으로 색소를 추출한 다음 형광광도계(Turner Designs 10-AU)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영양염류(질산염, 아질산염, 암모니아, 인산염, 규산염)는 여과한 시료를 50 mL Falcon tube에 담아 냉동시킨 후 실험실로 옮겨 자동영양염분석기(Quickchem 8000, LACHAT)를 이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 수온과 염분은 CTD (SBE 19 plus, USA)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수직 분포를 얻었고, 용존산소(Dissolved oxygen)와 수소이온농도(pH)는 각각 DO meter (YSI-58)와 pH meter (Orinon 3-star)를 이용하였다.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은 선상에서 Niskin sampler를 이용하여 채수한 후 시료 100 mL을 폴리에틸렌 병에 담아 냉동 보관 후 실험실로 옮겨 분석하였고 [12], 총 부유물질(Total suspended solids)은 채수한 시료를 미리 무게를 잰 GF/F filter (47 mm diameter, Whatman)를 이용하여 일정량을 filter한 다음 실험실로 옮겨 여과 후와 여과전의 무게차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엽록소 a는 일정량의 시료를 GF/F filer로 여과한 후 아세톤으로 색소를 추출한 다음 형광광도계(Turner Designs 10-AU)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인천, 광양, 울산 및 부산항에서 계절별로 총 4회 실시 하였다. 조사 정점은 Fig.
  • 잠재적 위해종은 여러 참고문헌을 통하여 적조 원인종과 독 생산종을 선정하였다 [1-3]. 잠재적 위해종의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v.

데이터처리

  • 잠재적 위해종은 여러 참고문헌을 통하여 적조 원인종과 독 생산종을 선정하였다 [1-3]. 잠재적 위해종의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v. 12.0)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ABs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점점 강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HABs (Harmful algal blooms)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연안해역의 부영양화로 인하여 그 발생빈도와 강도가 점점 강해지고 있다 [1-2]. 전 세계적으로 5000여 종의 해양 식물플랑크톤 중 약 300여종이 적조 원인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독소를 생산하여 어류나 패류 그리고 인간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종은 약 80여 종으로 알려져 있다 [3].
항만환경에 생태계 교란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항만 환경은 부영양화가 빈번히 발생하며, 식물플랑크톤 대 발생이 일어난다 [9]. 또한, 항만환경은 선박에서 배출되는 선박 평형수에 직접 노출되어 있고, 외래 생물유입(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등)에 의한 토착 생물과의 경쟁으로 인해 생태계 교란이 일어 날 수 있다 [10].
부영양화가 빈번히 발생하고 식물플랑크톤 대 발생하는 항만 환경의 특징은 무엇인가? 항구는 해수의 유동이 적고 수심이 낮으며, 수괴가 안정적인 반 폐쇄적인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산업 활동을 위해 수많은 선박이 정박 및 이동하고 경제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그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M. Anderson, "Toxic algal blooms and red tides: a global perspective" p. 11-16. In: Red tides: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toxicology, ed. by Okaich T., Anderson D.M. & T. Nemoto. Elsevier, New york. 1989. 

  2. T. J. Smayda, "Novel and nuisance phytoplankton bloom in the sea: evidence for a global epidemic", p. 29-40. In: Toxic marine phytoplankton, ed. by Graneli E., Sundstrom B., Elder L., and D.M. Anderson. Elsevier, New York. 1990. 

  3. G. M. Hallegraeff, "Harmful algal blooms: a global overview", p. 25-49. In: Manual on Harmful Marine Microalgae, ed. by Hallegraeff, G.M., Anderson, D.M. and A. Cembella. UNESCO Publishing, Paris. 2003. 

  4. J. H. Lee, E. H. Lee,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red tide in Deukryang bay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7(3), 271-278, 1999. 

  5. Y. S. Kang, J. N. Kwon, J. K. Shon, S. J. Hong, J. Y. Kong, "Inte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round the season of red tide outbreak off the coast of Tongyeong area, 2002". J. Korean Fish. Soci. 36(5), 515-521, 2003. 

  6. Y. D. Yoo, H. J. Jeong, J. H. Shim, J. Y. Park, K. J. Lee, W. Yih, H. K. Kweon, S. J. Pae, J. K. Park,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outhern Saemankeum areas, Jeonbuk, Korea". The sea. 7(3), 129-139, 2002. 

  7. H. J. Jeong, Y. D. Yoo, J. S. Kim,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Southern Saemankeum areas, Jeonbuk, Korea 2. Temporal variation in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and ciliates in the summer-fall of 1999". The sea. 7(3), 140-147, 2002. 

  8. E. S. Cho, Y. K. Chio,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around southwestern waters for ichthyotoxic dinoflaf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onitoring programme". J. Environ. Sci. 14, 177-184, 2005. 

  9. J. H. Lee, H. S. Song, E. H. Lee, "Red-tide on phytoplankton diatoms in Incheon Dock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5(2), 119-129, 1997. 

  10. G. M. Ruiz, J. T. Carlton, D. Grosholz, A. Hines, "Global invasions of marine and estuarine habitats by non-indigenous species: mechanisms, extent, and consequences". Amer. Zoologist, 37, 621-632, 1997. 

  11. I. K. Lee, J. H. Lee, S. A. Yoo, "Annual fluctuatio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in Incheon Dock, Korea". Korean J. Environ. biol. 9(2), 88-103, 1991. 

  12. T. R. Parsons, Y. Maita, G. M. Lalli,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984. 

  13. M. E. Sieracki, D. J. Gifford, S. M. Gallager, C. S. Davis, "Ecology of a Chaeotoceros socialis Lauder patch on Georges Bank: distribution, microbial associations, and grazing losses". Oceanography, 11, 30-35, 1998. DOI: http://dx.doi.org/10.5670/oceanog.1998.12 

  14. J.-B. Lee, M.-S. Han, H.-S. Yang, "The ecosystem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vity in September, 1994". J. Korean Fish. Soc. 31(1), 45-55, 1998. 

  15. E.S. C, J.B. K, K.H. Ann, J. Yoo, J.N. Kwon, C.S. Jung, "The clarification of spatial-temporal patterns of phytoplankton from southern Korea coastal waters in 2004". Korean J. Environ. biol. 15, 539-56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