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맥문동탕이 호흡기 점액의 생성 및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cmundongtang on Production and Secretion of Respiratory Mucu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7 no.1, 2013년, pp.69 - 81  

성현경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민상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장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this study, effects of Macmundongtang (MMT) on ATP or TNF-${\alpha}$ or PMA or EGF induced MUC5AC mucin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and the increase in airway epithelial mucosubstances of rats were investigated. Materials and Methods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麥門冬湯이 기도 점액의 과다 분비 및 이와 연관된 기도 뮤신의 생성 및 유전자 발현에 어떠한 작용을 발현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의 수준에서 인체 기도 상피세포인 NCI-H292에서 기도 뮤신인 MUC5AC 뮤신의 생성에 대한 麥門冬湯의 영향과 기도 뮤신 유전자인 MUC5AC mRNA의 발현을 관찰하고 in vivo 수준에서 기도 점액 과다분비 흰쥐 모델에서 상피 배상세포 내의 점액 함유량에 대한 麥門冬湯의 영향을 관찰하고,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麥門冬湯이 기도 점액의 과다 분비와 뮤신생성 및 유전자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함으로써, 麥門冬湯이 면역관련 효과뿐만 아니라 기도 점액 과다 분비상태의 조절약물로서의 활용가치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피 배상세포 내의 점액 함유량에 대한 麥門冬湯의 영향을 분석해본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1. 麥門冬湯은 배양된 인체 기도 상피 세포에서 뮤신 생성과 그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2. 이산화황으로 유발된 기도 점액 과다 분비 흰쥐 모델에 麥門冬湯을 경구 투여한 결과, 기도 배상 세포 내 점액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3. 麥門冬湯을 실험동물에게 투여하였을 때 체중증가도, 간기능 및 신장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생체 독성을 유발하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객담 혹은 점액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기도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객담 혹은 점액 (mucus)은 당단백질, 수분, 전해질, 지질로 구성되며 기도 내 배상세포 및 점막 하 분비선 등에서 생성된 후 점막에 도포되며3) , 뮤신 (mucin)은 점액성 당단백질 (mucous glycoprotein)로 점액에 점탄성(viscoelasticity) 을 부여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기도 내강에서 상피세포층을 이루고 있는 섬모세포와의 작용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들의 제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4) . 그러나 정상상태에서는 뮤신이 기도의 방어 작용을 하지만, 양과 질에 이상이 생기면 호흡기 생리 및 방어 작용에 영향을 주어 병리적 요소로 작용하여 질환 악화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5) .
뮤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기도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객담 혹은 점액 (mucus)은 당단백질, 수분, 전해질, 지질로 구성되며 기도 내 배상세포 및 점막 하 분비선 등에서 생성된 후 점막에 도포되며3) , 뮤신 (mucin)은 점액성 당단백질 (mucous glycoprotein)로 점액에 점탄성(viscoelasticity) 을 부여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기도 내강에서 상피세포층을 이루고 있는 섬모세포와의 작용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들의 제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4) . 그러나 정상상태에서는 뮤신이 기도의 방어 작용을 하지만, 양과 질에 이상이 생기면 호흡기 생리 및 방어 작용에 영향을 주어 병리적 요소로 작용하여 질환 악화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5)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Yu SA, Lee SY, Lee JY, Lee HJ, Chang GT, Chai JW,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Ui SungDang. 2010:37-40,339-41,346-7. 

  2. Ahn HS. Pediatrics 9th edition. Seoul:Daehangyogwaseo. 2007:588-90,629-52. 

  3. Sim JJ. Signal Transduction of MUC5AC Expression in Airway Mucus Hypersecretory Disease. Tuberc Respir Dis. 2003;55(1):21-30. 

  4. Rogers DF, Barnes PJ. Treatment of airway mucus hypersecretion. Ann Med. 2006;38(2):116-125. 

  5. Voynow JA, Rubin BK. Mucins, mucus, and sputum. Chest. 2009;135(2):505-12. 

  6. Daechongkyungjeol. GeumGueyoryak. Gangwon:Uibangchoolpan. 2004;154-5. 

  7. Huh-Joon. Donguibogam. Seoul:Donguibogamchulpansa. 2005:202-9, 624-5, 894-5, 1108, 1295, 1352-53. 

  8. Hwangdoyeon. Bangyakhappyeon. Seoul:Youngrimsa. 2003:200. 

  9. Hanuiguadaehak bangjehakgyosil. Bangjehak. Seoul:Youngrimsa. 2003:476-7. 

  10. Kim H, Jung HS, Kwon J, Lee KG. Effect of Maekmoondong-tang on the lmmunomodulatory action.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3;17(4):946-51. 

  11. Jung HJ, Jung GJ, Jeong SK, Rhee HK. Liripois Tuber contributes to the chemotaxis of eosinophils and secretion of cytokines in A549 human epithelial cells. J Korean Orient Chronic Dis. 2005;10(1):1-20. 

  12. Ryu OS, Jung HJ, Jung SK, Rhee HK. The effect of Macmondong-Tang on the respiratory pattern and tracheal tissue of the allergic asthma in rats. Dongui-university oriental medicine institute. 2004;4:19-31. 

  13. Kim JJ, Jung HJ, Jung SK, Rhee HK. The Effects of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on Immune Cell and Serum OA-specific lgE in BALF in Rat Asthma Model. J Korean Orient Med. 2002;23(1):37-49. 

  14. Shao MXG, Ueki IF, Nadel JA. Tumor necrosis factor alpha-converting enzyme mediates MUC5AC mucin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2003;100(20):11618-23. 

  15. Song KS, Lee WJ, Chung KC, Koo JS, Yang EJ, Choi JY, Yoon JH. Interleukin-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duce MUC5AC overexpression through a mechanism involving ER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MSK1-CREB activation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J Biol Chem. 2003;278(26):23243-50. 

  16. Karlinsey J, Stamatoyannopoulos G, Enver T. Simultaneous purification of DNA and RNA from small numbers of eukaryotic cells. Anal Biochem. 1989;180(2): 303-6. 

  17. Pon DJ,Van Staden CJ, Boulet L, RogerI W. Hyperplasticeffects ofaerosolized sodium metasulfite on ratairway mucus-secretory epithelialcells. Can J Physiol Parmacol. 1994;72(9):1025-30. 

  18. Lee CJ. Effects of poly-L-arginine on the mucin release from airway goblet cells of hamster and on the mucosubstances of airway goblet cells of rat. J Appl Pharmacol. 2001;9(4):31,263-9. 

  19. Harkema JR, Hotchkiss JA. In vivo effect of endotoxin on intraepithelial mucosubstances in rat pulmonary airways: quantitative histochemistry. Am J Pathol. 1992;141(2):307-17. 

  20. St. George JA, Cranz DL, Zicker S, Etchison JR, Dungworth DL, Plopper. An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rhesus monkey respiratoty secretion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m Rev Resp Dis. 1985;132(3):556-63. 

  21. Jeonuel. Soayakjeungjikgyeol. Seoul:Yeogangchoolpansa. 2002:35-6. 

  22. Jangkyungak. Kyungakjeonseo. Seoul: Hanmaiuihak. 2005:1890-1. 

  23. Han JK, Kim YH. Health Care Utilization of Pediatrics Outpatients in the Oriental Hospital. 2001;15(2): 209-20. 

  24. Choi MH, Kim DG, Lee JY. A study of the chief complaint of pediatric outpatients in the kyunghee oriental medicine hospital. Korean J Orient Pediatr. 2010; 24(3):121-37. 

  25. Lee SY. An observation of the chief complaints of pediatric outpatients. Korean J Orient Pediatr. 2002;15(1): 203-16. 

  26. Kang MS, Jang GT, Kim JH. A study on chronic or recurrent respiratory symptoms. Korean J Orient Pediatr. 2002;16(2):83-99. 

  27. Kim YK. Sookjoobangergijeon. Korean Acad Tuberc Respir Dis. Seoul:Koonjachoolpansa. 2004:55-6. 

  28. Basbaum C, Welsh MJ. Mucus secretion and ion transport in airways. Textbook of respiratory medicine. Philadelphia: W.B.Saunders. 2000:327-48. 

  29. Takeyame, K. Dabbagh, K. Jeong, Shim, J. Dao-pick, T., Ueki, I.F., Nadel, J.A. Oxidative stress causes mucin synthesis via transactiv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role of neutrophils. J Immunol. 2000;164(3): 1546. 

  30. Rubin BK. Physiology of airway mucus clearance. Respir Care. 2002;47(7):761-8. 

  31.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ic & respiratory disease. Pediatric allergic & respiratory disease. Seoul:Koonjachoolpansa. 2005:350-4. 

  32. Lee CJ. Specificity in the inhibition of mucin release from airway goblet cells by polycationic peptides. Appl. Pharmacol. 2001;9(3):218-23. 

  33. Jeong HJ, Jung SK, Rhee HK. Review of literatures about sputum on west-oriental medicine. J Korean Orient Chronic Dis. 1996;1(1):51-61. 

  34. Ryu IS, Kim YS, Seol IC. Effects of Gamichihyo-san and Gamiijung-tang on Airway Mucus Secretion.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4;18(6):1746-51. 

  35. Na DG, Lee CJ, Park YC. Effects of Socheongryong-tang and Kamichihyo san on Mucin Secretion from Airway Goblet.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4;18(3) :734-9. 

  36. Lee JE, Park YC. Effects of CheongGeumGangHwa- Tang(CGGH), GwaRuJiSil-Tang(GRJS) on mucin secretion from airway goblet cells. Korean J Orient Int Med. 2004;25(2):238-44. 

  37. Kim JM, Lee CJ, Park YC. Studies on the Effect of Selected Oriental Herbal Medicines on Inhibitory Activity of Airway Mucus Secretion. Korean J Orient Int Med. 2006;27(1):126-37. 

  38. Han DS, Kim YH, Kang TL. Effects of Gamisingi-tang and Gamicheongpye-tang on Airway Mucus Secretion.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6;25(1):156-62. 

  39. Jung BJ, Kim H, Seo UK. Effect of Geonpye-tang(GPT) on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of Respiratory Mucin. Korean J Orient Int Med. 2009;30(4):685-95. 

  40. Kim HY, Jang GS, Han SH. A Literature Study on Maengmundongtang Applied in Dyspnea Due to Fire.Korean J Orient Int Med. 1994;14(2):112-6. 

  41. Kim H, Jeong HS, Kwon J, Lee KG. Effect of Maekmoondong-tang on the immunomodulatory action. Kor J Orient Physiol Pathol. 2003;17:946-51. 

  42. Hsu CH, Lu CM, Chang TT. Efficacy and safety of modified Mai-Men-Dong-Tang for treatment of allergic asthma. Pediatr Allergy Immunol. 2005;16:76-81. 

  43. Cheon MS, Chun JM, Yoon TS, Lee AY, Moon BC, Choo BK, Kim SH, Kim HK. Anti-carcinogenetic and Anti-metastatic Effects of Extract from Maekmoondongtang in HepG2 Cells. Korean J Herbol. 2009;24(3): 161-7. 

  44. Kim KC, McCracken, K, Lee BC, Shin CY, Jo MJ, Lee CJ, Ko KH. Airway goblet cell mucin: Its structure and regulation of secretion. Eur Respir J. 1997;11:2644-9. 

  45. Kim YD, Kwon EJ, Park DW, Song SY, Yoon SK, Baek SH. Interleukin- $1{\beta}$ induces MUC2 and MUC5AC synthesis through cyclooxygenase-2 in NCI-H292 cells. Mol Pharmacol. 2002;62(5):1112-8. 

  46. Nam TH, Park YC. Effects of Seonbangpaedok-tang and Sigyeongcheongpye-tang on PMA-induced production of airway mucin and expression of MUC5AC. J Kor Orient Med. 2008;29(4):123-32. 

  47. Shim JJ. Signal transduction of MUC5AC expression in airway mucus hypersecretory desease. Tuberc Respir Dis. 2003;55(1):21-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