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CaT 피부각질세포에서 들깻잎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Britt var. japonica Extracts from Oxidative Stress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161 - 167  

지나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송가락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길정하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들깻잎 메탄올추출물(PLME)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_2O_2$으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HaCaT 피부 각질세포의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PLME의 항산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hydroxyl free radical 소거능 및 총 항산화물질(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아스코르브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H_2O_2$(500 ${\mu}M$)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HaCaT세포에 PLME를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세포 지질과산화물질 MDA의 생성효과는 PLM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H_2O_2$로 인하여 세포내 항산화효소인 SOD, GSH-px와 CAT 등의 활성이 감소된 HaCaT세포에 PLME를 처리했을 때, 이들 효소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PLME의 DPPH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50 ${\mu}g/mL$ 이상 농도의 PLME의 DPPH 소거능은 60%의 저해율을 나타낸 천연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50 ${\mu}g/mL$)과 유사한 효과를 보였고, ${\cdot}OH$ radical 소거능은 아스코르브산(50 ${\mu}g/mL$)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PLME가 함유하고 있는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류화합물은 $52.2{\pm}1.1$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화합물은 $33.7{\pm}4.7$ mg RUE/g,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 $17.0{\pm}0.5$ mg AA/g으로 나타났다. HaCaT 세포에서 $H_2O_2$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PLME는 세포 사멸을 방지하고, 세포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을 억제하여 세포내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들깻잎 메탄올추출물은 인체 피부각질 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과 in vitro에서의 항산화 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 from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 var. japonica) leaves (PLME) on oxidative injury from hydrogen peroxide ($H_2O_2$) in human HaCaT keratinoctyes. Cells were co-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과거 연구에서 들깻잎의 항산화 효능에 대한 다양한 보고가 있어 왔으나 들깻잎의 피부미용에 대한 효능, 특히 피부의 전반적 노화의 억제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들깻잎 메탄올추출물의 피부각질 세포 보호작용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 피부 각질세포인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H2O2)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의 감소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지질과산화물질인 MDA의 생성 억제효과를 관찰하고, 세포내에 항산화 효소(SOD, CAT 및 GSH-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 피부의 구성 요소는? 인체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표피에 있는 각질세포(keratinocytes)는 외부 자극(화학적 및 물리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온 조절, 보습 유지 등의 작용을 한다. 하지만 각질세포는 이런 외부 자극에 의해 세포내에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일으킨다.
각질세포의 역할은? 인체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표피에 있는 각질세포(keratinocytes)는 외부 자극(화학적 및 물리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온 조절, 보습 유지 등의 작용을 한다. 하지만 각질세포는 이런 외부 자극에 의해 세포내에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일으킨다.
과량의 reactive oxygen species가 세포막에 미치는 영향은? 산화적 스트레스와 reactive oxygen species(ROS)는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암, 염증, 심장질환, 당뇨병, 비만 및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질병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한다(1,2). 과산화수소는 직접적으로 피부 각질 세포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며(3), 과량의 ROS는 세포막의 구성 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지질과산화물질인 malondialdehyde(MDA)를 생성한다. 세포 내에 많은 MDA가 축적되면 세포막에서 교차결합, 중합 및 변성이 일어나 이온 수송, 효소 활성 및 세포 표면의 부착상태를 변성시키며 DNA의 염기와 반응하여 돌연변이성 병변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Halliwell B, Gutteridge JM. 1985. The importanc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s. Mol Aspects Med 8: 89-193. 

  2. Cross CE, Halliwell B, Borish ET, Pryor WA, Ames BN, Saul RL, McCord JM, Harman D. 1987.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ease. Ann Intern Med 107: 526-545. 

  3. Applegate LA, Noel A, Vile G, Frenk E, Tyrrell RM. 1995. Two genes contribute to different extents to the heme oxygenase enzyme activity measured i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implications for protection against oxidant stress. Photochem Photobiol 61: 285-291. 

  4. Fridovich I. 1986. Biological effects of the superoxide radical. Arch Biochem Biophys 247: 1-11. 

  5. Lee KI, Rhee SH, Kim JO, Chung HY, Park KY. 1999. Anticancer activity of phytol and eicosatrienoic acid identified from perilla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07-1112. 

  6. Kim ES, Im KJ. 1977. A study on oxalic acid and calcium content in Korean foods. Korean J Nutr 4: 104-110. 

  7. Hyun KW, Kim JH, Song KJ, Lee JB, Jang JH, Kim YS, Lee JS. 2003.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Geumsan perilla leaves from greenhouse and field cultiv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75-979. 

  8. Kim JY, Kim JS, Jung CS, Jin CB, Ryu JH. 2007. Inhibitory activity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Kor J Pharmacogn 38: 1-24. 

  9. Oh SI, Lee MS. 2003.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7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44-1350. 

  10. Jo MJ, Min KJ. 2007.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oral microbes and growth-inhibitory effect of oral tumor cell of extract of Perilla and Mugwort. Korean J Env Hlth 3: 115-122. 

  11. Park KY, Lee KI, Rhee SH. 1992. Inhibitory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 149-153. 

  12. Kwak CS, Yeo EJ, Moon SC, Kim YW, Ahn HJ, Park SC. 2009. Perilla leaf, Perilla frutescens, induces apoptosis and G1 phase arrest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through the combinations of death receptor-mediated, mitochondrial,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induced pathways. J Med Food 12: 508-517. 

  13. Ueda H, Yamazaki C, Yamazaki M. 2003.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leaf extract and luteolin on mouse skin tumor promotion. Biol Pharm Bull 26: 560-563. 

  14. Banno N, Akihisa T, Tokuda H, Yasukawa K, Higashihara H, Ukiya M, Watanabe K, Kimura Y, Hasegawa J, Nishino H. 2004. Triterpene acids from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their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promoting effec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8: 85-90. 

  15. Lee KI, Rhee SH, Kim JO, Chung HY, Park KY. 1993.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erilla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2: 175-180. 

  16. Saita E, Kishimoto Y, Tani M, Iizuka M, Toyozaki M, Sugihara N, Kondo K. 2012.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against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 vitro and in human subjects. J Oleo Sci 61: 113-120. 

  17. Yamasaki K, Nakano M, Kawahata T, Mori H, Otake T, Ueba N, Oishi I, Inami R, Yamane M, Nakamura M, Murata H, Nakanishi T. 1998. Anti-HIV-1 activity of herbs in Labiatae. Biol Pharm Bull 21: 829-833. 

  18. Okuda T, Hatano T, Agata I, Nishibe S. 1986. The components of tannic activities in Labiatae plants. I. Rosmarinic acid from labiatae plants in Japan. Yakugaku Zasshi 106: 1108-1111. 

  19. Ueda H, Yamazaki C, Yamazaki M. 2002. Luteolin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onstituent of Perilla frutescens. Biol Pharm Bull 25: 1197-1202. 

  20. Ryu JH, Son HJ, Lee SH, Sohn DH. 2002. Two neolignans from Perilla frutescens and their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expression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Bioorg Med Chem Lett 12: 649-651. 

  21. Park JG, Kramer BS, Steinberg SM, Carmichael J, Collins JM, Minna JD, Gazdar AF.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 based colorimetric assay. Cancer Res 47: 5875-5879. 

  22. Fraga CG, Leibovitz BE, Tappel AL. 1988. Lipid peroxidation mearsured as thiobarbituric-reactive substance in tissue slices: characterization and comparison with homogenates and microsomes. Free Radical Biol Med 4: 155-161. 

  23.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nti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4. Nelson DP, Kiesow LA. 1972. Enthalpy of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by catalase at 25 degrees (with molar extinction coefficients of $H_2O_2$ solutions in the UV). Anal Biochem 49: 474-478. 

  25. Lawrence RA, Burk RF. 1976.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selenium-deficient rat liv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71: 952-958.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7. Chung SK, Osawwa T, Kawakishi S. 1997. Hydroxyl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pices and scavengers form brown mustard (Brassica nigra).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18-123. 

  28.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29.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 (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Skuba, Japan. p 61. 

  30. Klein BP, Perry AK. 1982. Ascorbic acid and vitamin A activity in selected vegetable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areas of the United States. J Food Sci 47: 941-945. 

  31. Park HJ, Kim HJ, Lee JY, Cho BK, Gallo RL, Cho DH. 2007. Adrenocorticotropin hormone stimulates interleukin-18 expression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127: 1210-1216. 

  32. Yuan J, Murrell GC, Trickett A, Wang M. 2003. Involvement of cytochrome c release and caspase-3 activation in the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human tendon fibroblast. Biochim Biophysica Acta 1641: 35-41. 

  33. Soare JR, Dinis TC, Cunha AP, Almeida LM. 1997.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extracts of Thymus zygis. Free Radical Res 26: 469-478. 

  34. Chou HJ, Kuo JT, Lin ES. 2009. Comparative antioxidant proper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beefsteak plant (Perilla frutescens). J Food Drug Anal 17: 489-496. 

  35. Giovannini C, Scazzocchio B, Vari R, Santangelo C, D'Archivio M, Masella R. 2007. Apoptosis in cancer and atherosclerosis: polyphenol activities. Ann Ist Super Sanita 43: 406-416. 

  36. Khan N, Afaq F, Saleem M, Ahmad N, Mukhtar H. 2006. Targeting multiple signaling pathways by green tea polyphenol(-)-epigallocatechin-3-gallate. Cancer Res 66: 2500-2505. 

  37. Cushnie TP, Lamb AJ.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vonoids. Int J Antimicrob Agents 26: 343-356. 

  38. Kim DH, Kim YC, Choi UK. 2011. Optimiz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against Staphylococus aureus using evolutionary operation factorial design technique. Int J Mol Sci 12: 2395-2407. 

  39. Meng L, Lozano YF, Gaydou EM, Li B.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Molecules 14: 133-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