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소처리 가공이 당근(Daucus carota var. sativa)의 항산화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Carrots (Daucus carota var. sativa) with Enzyme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2, 2013년, pp.262 - 267  

유진균 (차바이오 에프앤씨 기업부설 연구소) ,  이진희 (차바이오 에프앤씨 기업부설 연구소) ,  조형용 (차바이오 에프앤씨 기업부설 연구소) ,  김정국 (차바이오 에프앤씨 기업부설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당근(Daucus carota var. sativa) 가공방법 중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기계적 마쇄 공정으로 인하여 파괴되는 영양소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식물 세포벽에 존재하는 불용성 물질인 protopectin을 가수분해하여 수용성 물질인 pectin으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protopectinase를 이용하여 세포의 막을 보존하고 세포 안에 존재하는 영양소의 손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당근의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효소처리군과 마쇄 공정 처리군을 비교하였을 때 효소처리군의 회수율은 81%, 잔사율은 19%을 보인 반면, 마쇄처리군은 회수율 56%, 잔사율 44%를 보여 약 20% 정도의 회수율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가공 후 수율 및 폐기량에서 많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당근의 효소 처리군과 마쇄 처리군의 성분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당근의 주요성분인 ${\beta}$-carotene의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protection factor(PF) 각각 $2.2{\pm}0.2$ PF, $1.4{\pm}0.4$ PF의 차이를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89{\pm}3.42{\mu}g/g$, $64{\pm}4.16{\mu}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8{\pm}2.73\mu}g/g$, $41{\pm}3.26{\mu}g/g$을 보임으로써 세포막의 보존으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가 기계적 마쇄 처리군에 비하여 덜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처리군의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1,000 ppm에서 $87{\pm}0.29%$, $74{\pm}1.56%$로 약 13%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hydroxyl radical 소거능 결과 10,000 ppm에서 $44{\pm}0.49%$$32{\pm}0.48%$로 약 12%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결과 1,000 ppm에서 $59{\pm}0.53%$$46{\pm}0.62%$로 약 13%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다. 이는 protopectinase 효소 처리로 인한 세포막의 보존이 가공 중 발생되는 영양소의 손실을 줄임과 동시에 당근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물질들을 보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inimize the loss of nutrients in carrots (Daucus carota var. sativa). A protopectinase was used to enzymatically macerated and separate cells without damage. The enzyme modification group's collection rate was 81% (residue rate 19%), while the grinding process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식품, 의약품 산업에서의 pectin 생산, 식물성 식품소재를 위한 단세포화, 식물세포의 protoplast 생산 등에 응용성을 가진다고 보고되었으며, 그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rotopectinase를 이용한 당근의 단세포화를 통하여 당근 가공 시 유래되는 생리활성 물질의 파괴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rotenoid 색소는 어떤 호르몬 합성의 전구물질인가? 식물체 내에서 carotenoid 색소는 세포내 색소체에서 합성되어 저장되는데 광합성의 보조색소로서 광흡수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빛에너지로부터 식물세포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광합성을 하지 않는 과실이나 종자, 꽃과 같은 기관에서는 잡색체에 축적되어 여러 가지 색깔을 나타내게 하여 번식을 위한 동물 유인의 한 도구로써 사용되며, 식물호르몬인 ascorbic acid 합성의 전구물질이기도 하다(5-7). 한편 carotenoid를 생합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물을 통해서 얻어야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유지에도 유익한 물질이다.
당근은 무엇인가? 따라서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과일과 채소를 이용한 가공제품이 개발된다면 소비자 기호를 충족시킴은 물론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인체 보호 등 기능적 특성을 갖는 제품이 생산될 수 있을 것이다(1-4). 당근은 미나리과(Apiaceae)에 속하는 Daucus carota L.의 뿌리로 provitamin A인 β-carotene과 α-carotene, lutein과 같은 carotenoid 성분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중요한 영양원이다. 식물체 내에서 carotenoid 색소는 세포내 색소체에서 합성되어 저장되는데 광합성의 보조색소로서 광흡수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빛에너지로부터 식물세포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당근은 어떤 성분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가? 당근은 미나리과(Apiaceae)에 속하는 Daucus carota L.의 뿌리로 provitamin A인 β-carotene과 α-carotene, lutein과 같은 carotenoid 성분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중요한 영양원이다. 식물체 내에서 carotenoid 색소는 세포내 색소체에서 합성되어 저장되는데 광합성의 보조색소로서 광흡수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빛에너지로부터 식물세포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Oh YS, Hwang JH, Oh HJ, Lim SB.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ixed citrus and carrot ju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98-604. 

  2. Nantz MP, Rowe CA, Nieves C Jr, Percival SS. 2006. Immunity and antioxidant capacity in humans is enhanced by consumption of a dried, encapsulated fruit and vegetable juice concentrate. J Nutr 136: 2606-2610. 

  3. Valko M, Rhodes CJ, Moncol J, Izakovic M, Mazur M. 2006.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teract 160: 1-40. 

  4. Williams GM, Latropoulos MJ, Whysner J. 1999. Safety assessment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as antioxidant food additives. Food Chem Toxicol 37: 1027-1038. 

  5. Ha JL, Bae JS, Park MK, Kim YU, Ha SH, Bae JM, Back KH, Lee CH, Lee SW, Ahn MJ. 2009. Quantitative analysis of carotenoids in carrot cultivars produced in Korea. J Environ Sci 18: 1135-1141. 

  6. Pfander H. 1992. Carotenoids: an overview. Methods Enzymol 213: 3-13. 

  7. Demming-Adams B, Gilmore AM, Adam WW 3rd. 1996. Carotenoids 3: in vivo functions of carotenoids in higher plants. FASEB J 10: 403-412. 

  8. Nishino H, Murakoshi M, Tokuda H, Satomi Y. 2009. Cancer prevention by carotenoids. Arch Biochem Biophys 483: 165-168. 

  9. Stahl W, Sies H. 2005. Bio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natural carotenoids. Biochim Biophys Acta 1740: 101-107. 

  10. Young CY, Yuan HQ, He ML, Zhang JY. 2008. Carotenoids and prostate cancer risk. Mini Rev Med Chem 8: 529-537. 

  11. Lee DH, Lee SC, Hwang YI. 2000. Processing properties of kiwifruit treated with protopectina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01-406. 

  12. Sakai T, Okushima M. 1982. Purification and crystallization of a protopectin-solubilizing enzyme from trichosporon penicillatum. Agric Biol Chem 46: 667-676. 

  13. Sakai T, Sakamoto T. 1990.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a protopectin-solubilizing enzyme that has potent activity of sugar beet protopectin. Agric Biol Chem 54: 879-889. 

  14. Andarwulan N,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 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15. Singleton VL, Rossi Jr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6.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8. Chung MJ, Sung NJ, Park CS, Kweon DK, Mantovani A, Moon TW, Lee SJ, Park KH. 2008. Antioxidantive and hypocholesterolemic activities of water-soluble puerarin glycosides in HepG2 cells and in C57 BL/6J mice. Eur J Pharmacol 578: 159-170. 

  19.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0. Kim DS, Ahn BW, Yeum DM, Lee DW, Kim ST,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Bull Korean Fish Soc 20: 463-468. 

  21. Choi SY, Cho HS, Sung N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1-966. 

  22. Ahn YJ, Lee SH, Kang SJ, Hwang BY, Park WY, Ahn BT, Ro JS, Lee KS. 1996. The phenolic components of Sapium japonicum. Yakhak Hoeji 40: 183-192. 

  23. Proteggente AR, Pannala AS, Paganga G, Van Buren L, Wagner E, Wiseman S, Van De Put F, Dacombe C, Rice-Evans CA. 2002.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gularly consumed fruit and vegetables reflects their phenolic and vitamin C composition. Free Radical Res 36: 217-233. 

  24. Lee KI, Kim SM. 200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67-273. 

  25. Choe M, Kim DJ, Lee HJ, You JK, Seo DJ, Lee JH, Chung MJ. 2008. A study on the glucose-regulating enzym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42-547. 

  26.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27. Do JR, Kim SB, Park YH, Park YB, Kim DS. 1993.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by the component of traditional tea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530-534. 

  28.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65-971. 

  29. Chung MJ, Lee SH, Sung NJ. 2002. Inhibitory effect of whole strawberries, garlic juice or kale juice on endogenous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humans. Cancer Lett 182: 1-10. 

  30. Choi SY, Chung MJ, Lee SJ, Shin JH, Sung NJ. 2007. N-nitrosamine inhibition by strawberry, garlic, kale, and the effects of nitrite-scavenging and N-nitrosamine formation by functional compounds in strawberry and garlic. Food Control 18: 485-491. 

  31. Noh KS, Yang MO, Cho EJ. 2002.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Umbelliferaecea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8-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