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장별 LED광이 딸기의 생장 특성과 생리 활성 물질 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ifferent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Phytochemical Production of Strawberry Fruits during Cultivation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1 no.1, 2013년, pp.56 - 64  

최효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권준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문병용 (인제대학교 생명과학부) ,  강남준 (경상대학교 원예학과) ,  박경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조명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김영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 온난화에 따른 최근의 이상기후는 일조량의 부족을 야기하여 농업 피해의 일차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플라스틱 하우스 재배에서 LED광은 일조량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종종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LED 인공광원을 이용한 폐쇄형 생장실에서 생육 중인 성숙한 딸기 '대왕' 품종 과실의 생장 특성 및 기능성 식물화합물 형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공광원으로는 청색 LED광(448nm), 적색 LED광(634nm 및 661nm), 그리고 청색과 적색이 3대 7로 조합된 혼합 LED광을 사용하였으며, 태양광이 없는 폐쇄형 생장상에서 주간 16시간 및 야간 8시간의 광주기와 함께 $200{\pm}1{\mu}mol{\cdot}m^{-2}{\cdot}s^{-1}$의 광도로 LED광을 처리하였다. 청색과 적색 파장이 혼합된 LED광에서 자란 딸기 과실의 생산량이 다른 LED광 처리보다 높았다. 유리당 중의 하나인 과당은 혼합 LED광에서 증가되었다. 안토시아닌 함량 역시 다른 LED광 처리에 비하여 혼합 LED광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ED광 처리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반면, 청색 LED광에서 자란 딸기 과실은 다른 LED광처리에 비하여 빨리 익었다. 적색이나 청색의 LED광에서 생육한 과실의 항산화 활성이 혼합 LED광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온실에서의 딸기 생육 시 부족한 태양광의 보충광원으로서 청색과 적색의 혼합 LED광을 사용하면 과실의 생산량과 유리당 함량의 증진에 유용하리라고 판단되며, 식물공장에서 딸기 재배 시 성숙시기의 조절이나 당 함량 및 항산화제 증진과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LED 파장의 선택적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unusual weather due to global warming causes shortage of daily sunlight and constitutes one of the primary reasons for agricultural damages. LED light sources are frequently utiliz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age of sunlight in greenhouse agriculture.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본 시험에서는 최근 국립 원예 특작 과학원에서 육성한 ‘대왕’ 딸기 품종을 재료로 하여 파장이 서로 다른 LED광이 딸기 과실의 물리적 특성 및 기능성 화합물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일조량 부족 피해 경감을 위한 보충 광원 선발 및 식물공장에서의 과채류 생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품질의 딸기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고품질의 딸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광, 수분, 공기 등의 환경 조건이 양호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계속되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시설 채소작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는 맑은 날이 많이 줄어들고 있다. 이와 같이 흐린 날의 증가로 인한 일조량 부족은 딸기의 생산량 감소와 품질 저하의 문제를 유발한다.
고품질의 딸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은? 고품질의 딸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광, 수분, 공기 등의 환경 조건이 양호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계속되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시설 채소작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는 맑은 날이 많이 줄어들고 있다. 이와 같이 흐린 날의 증가로 인한 일조량 부족은 딸기의 생산량 감소와 품질 저하의 문제를 유발한다. 이와 관련하여 불리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환경 제어 가능한 식물공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작물의 광합성 향상을 위한 보조 광원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광량 보충을 위한 광원은 무엇이 있는가? 이와 관련하여 불리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환경 제어 가능한 식물공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작물의 광합성 향상을 위한 보조 광원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광량 보충을 위한 광원으로 백열등, 메탈 할라이드 등 및 고압나트륨 등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light emitting diode(LED) 광원에 대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Johkan et al., 2012; Samuolienė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en, O.M., T. Fossen, K. Torskangerpoll, A. Fossen, and U. Hauge. 2004. Anthocyanin from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with the novel aglycone, 5-carboxypyranopelargonidin. Phytochemistry 65:405-410. 

  2. Azad, M.O.K., I.J. Chun, J.H. Jeong, S.T. Kwon, and J.M. Hwang. 2011. Response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ling with supplemental LED light in glass house. J. Bio- Environ. Con. 23:182-188. 

  3. Benson, E.E., P.T. Lynch, and J. Jones. 1992. Variation in free-radical damage in rice cell suspensions with different embryogenic potentials. Planta 188:296-305.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81:1199-1200. 

  5. Brown, C.S., A.C. Schuerger, and J.C. Sager. 1995. Growth and photomorphogenesis of pepper plants under red light-emitting diodes with supplemental blue or far-red lighting. J. Amer. Soc. Hort. Sci. 120:808-813. 

  6. Cheel, J., C. Theoduloz, J.A. Rodriguez, P.D.S. Caligari, and G. Schmeda-Hirschmann. 2007.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in achenes and thalamus from Fragaria chiloensis ssp. chiloensis, F. vesca and F. ${\times}$ ananassa cv. Cehandler. Food Chem. 102:36-44. 

  7. Duong, T.N., T. Takamura, H. Watanabe, K. Okamoto, and M. Tanaka. 2003. Responses of strawberry plantlets cultured in vitro under superbright red and blue light-emitting diodes (LEDs). Plant Cell, Tissue Organ Cult. 73:43-52. 

  8. Ebisawa, M., K. Shoji, M. Kato, K. Shimomura, F. Goto, and T. Yoshihara. 2008. Supplementary ultraviolet radiation B together with blue light at night increased quercetin content and flavonol synthase gene expression in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Environ. Control Biol. 46:1-11. 

  9. Fan, L., C. Dube, C. Fang, D. Roussel, M.T. Charles, Y. Desjardins, and S. Khanizadeh. 2012. Effect of production systems on phenolic composition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f 'Orleans' strawberry. LWT - Food Sci. Technol. 45:241-245. 

  10. Folta, K.M. and K.S. Childers. 2008. Light as a growth regulator: Controlling plant biology with narrow band width solid-state lighting systems. HortScience 43:1957-1964. 

  11. Gil, M.I., D.M. Holcroft, and A.A Kader. 1997. Changes in strawberry anthocyanins and other polyphenols in response to carbon dioxide treatments. J. Agric. Food Chem. 45:1662-1667. 

  12. Gill, S.S. and N. Tureja. 2010.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 machinery in abiotic stress tolerance in crop plants. Plant Physiol. Biochem. 48:909-930. 

  13. Hernandez, I., L. Alegre, F. Van Breusegem, and S. Munne-Bosch. 2009. How relevant are flavonoids as antioxidants in plants? Trends Plant Sci. 14:125-132. 

  14. Johkan, M., K. Shoji, F. Goto, S.N. Hashiad, and T. Yoshihara. 2010. Blue light-emitting diode light irradiation of seedlings improves seedling quality and growth after transplanting in red leaf lettuce. HortScience 45:1809-1814. 

  15. Johkan, M., K. Shoji, F. Goto, S. Hahiad, and T. Yoshihara. 2012. Effect of green light wavelength and intensity on photomorphogenesis and photosynthesis in Lactuca sativa. Environ. Exp. Bot. 75:128-133. 

  16. Kim, S.K., R.N. Bae, and C.H. Chun. 2011. Changes in bioactive compounds contents of 'Maehyang' and 'Seolhyang' strawberry fruits by UV light illumination. Kor. J. Hort. Sci. Technol. 29:172-180. 

  17. Kim, Y.H., and M. Hamayun, A.L. Khan, C.I. Na, S.M. Kang, H.H. Han, and I.J. Lee. 2009. Exogenous applic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increase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in Taraxacum officinale Wigg. African J. Biotechnol. 8:5727-5732. 

  18. Meyers, K.J., C.B. Watkins, M.P. Pritts, and R.H. Liu. 2003. Antio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trawberries. J. Agri. Food Chem. 51:6887-6892. 

  19. Moing, A., C. Renaud, M. Gaudill?re, P. Raymond, P. Roudeillac, and B. Denoyes-Rothan. 2001. Biochemical changes during fruit development of four strawberry cultivars. J. Amer. Soc. Hort. Sci. 126:394-403. 

  20.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R. 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21. Samuoliene, G., R. Sirtautas, A. Brazaityte, and P. Duchovskis. 2012. LED lighting and seasonality effects antioxidant properties of baby leaf lettuce. Food Chem. 134:1494-1499. 

  22. Slinkard, K. and V.L. Singleton. 1977.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Am. J. Enol. Vitic. 28:49-55. 

  23. Treutter, D. 2010. Managing phenol contents in crop plants by phytochemical farming and breeding visions and constraints. Int. J. Mol. Sci. 11:807-857. 

  24. Wang, S.Y. and W. Zheng. 2001. Effect of plant growth temperature on antioxidant capacity in strawberry. J. Agric. Food Chem. 49:4977-4982. 

  25. Wang, S.Y. and P. Millner. 2009. Effect of different cultural systems on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content, and fruit quality of strawberries (Fragaria ${\times}$ ananassa Duch.). J. Agric. Food Chem. 57:9651-9657. 

  26. Wang, S.Y., C.T. Chen, and C.Y. Wang. 2009. The influence of light and maturity on fruit quality and flavonoid content of red raspberries. Food Chem. 112:676-684. 

  27. Wu, M.C., C.Y. Hou, C.M. Jiang, Y.T. Wang, C.Y. Wang, H.H. Chen, and H.M. Chang. 2007. A novel approach of LED light radiation improv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ea seedlings. Food Chem. 101:1753-1758. 

  28. Zhang, Y., N.P. Seeram, R. Lee, L. Feng, and D. Heber. 200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rawberry phenolics with antioxidant and human cancer cell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J. Agric. Food Chem. 56:670-675. 

  29. Zheng, Y., S.Y. Wang, C.Y. Wang, and W. Zheng. 2007. Changes in strawberry phenolics, anthocyanin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response to high oxygen treatments. LWT - Food Sci. Technol. 40:49-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