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딸기의 전조재배에 적합한 인공광원을 모색하기 위해 적색과 청색의 LED를 이용하여 설치조건을 검토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인공광원은 LED PAR(PPFD $2{\sim}4{\mu}mol{\cdot}m^{-2}{\cdot}s^{-1}$), LED BAR(PPFD $100{\sim}120{\mu}mol{\cdot}m^{-2}{\cdot}s^{-1}$), 백열등(PPFD $2{\sim}4{\mu}mol{\cdot}m^{-2}{\cdot}s^{-1}$)이고 전조시기는 정화방이 개화하는 시점에 22시~01시까지 3시간동안 연속조명하였다. 무처리보다는 전조처리구가 초장과 엽병장이 길었으며, 그 중 백열등이 가장 많이 생장하였다. 전조처리구에서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LED PAR 처리구에서 생장량 대비 가장 무거웠다. 지상부의 엽면적 생장량에서는 무처리 보다는 전조처리구가 엽면적이 증대하는 경향이었고, LED PAR 처리가 엽면적이 넓었다. 엽록소 함량은 전조 후 60일 경에는 LED PAR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광원별로 광 환경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100W 백열등 배광곡선이 원형에 가까워 전조재배시 하우스 위쪽으로 많이 발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LED PAR 타입을 설치했을 때는 직진성이 강한 LED의 특성상 조명의 중심이 40lux 이상이며 좁은 지향각과 낮은 설치 위치로 인해 좁은 지역에 집광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조명과 조명사이에 기준조도 이하의 음영지역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설치 높이는 2m, 설치 간격은 3.75m로 조절하였고, 배치형태는 W타입으로 변경하여 전체 식물에 $1.2{\mu}mol{\cdot}m^{-2}{\cdot}s^{-1}$ 이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기준 조도와 균제도를 맞추어 최적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rowth reaction of strawberry plants to the mixed red and blue LED sources and their installation method. The artificial light sources were : LED PAR(PPFD $2{\sim}4{\mu}mol{\cdot}m^{-2}{\cdot}s^{-1}$), LED BAR(PPFD $100{\sim}120{\mu}m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딸기의 전조재배시 적합한 LED의 적정 설치기준과 생장, 과실생산량 및 품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백열등의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엽록소가 가장 잘 흡수하는 파장대는 어느 부근의 광인가? 4). 엽록소는 적색과 청색 부근의 광을 가장 잘 흡수하며, 광흡수스펙트럼과 작용스펙트럼이 일치하는데, 이것은 엽록소가 잘 흡수하는 적색광과 청색광이 광합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선이라는 것을 의미한다(Moon과 Lee, 2000). 또한 엽록소는 적색과 청색 부근에서 흡광도가 높고, 녹색부근은 거의 흡수하지 않으며 흡광도가 높은 영역에서 광합성률도 높게 나타난다.
딸기 전조재배 시 주로 이루어지는 광조건은? 딸기 전조재배시에는 주로 10a 당 100W 백열구를 50개정도 설치하여 야간에 약 3~5시간 연속조명을 실시하고 있다(RDA, 2009). 그러나 백열등은 전력의 약 10%만 빛으로 전환함으로써 다른 광원들에 비해 에너지 효율성이 낮고, 수은 증기로 인한 환경문제로 사용을 지양하고 있다.
작물재배에 있어 인공광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근래에는 온실, 식물공장 등 농업시설에 인공광원을 작물 생육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농산물의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작물재배에 있어서 인공광은 화성유도나 휴면방지 등 일장반응을 제어하기 위한 전조재배나 광합성 촉진을 위한 보광재배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딸기 재배는 9월경에 정식하여 다음해 5월까지 생산하는 촉성재배 작형이 대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H.G., J.K. Kwon, B.Y. Moon, N.J. Kang, K.S. Park, M.W. Cho, and Y.C. Kim. 2013a. Effect of different light emitting diode(LED) light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phytochemical production of strawberry fruits during cultivation. Kor. J. Hort. Sci. Technol. 31(1):56-64. 

  2. Choi, H.G., H.J. Jeong, B.Y. Moon, B. Khoshimkhujaev, J.K. Kwon, K.S. Park, S.Y. Lee, M.W. Cho, and N.J. Kang. 2013b. Effects of supplemental LED lightings on fruit quality and yield of strawberry. J. Agric. Life Sci. 47:49-56. 

  3. Choi, S.Y., M.J. Kil, Y.S. Kwon, J.A. Jung, and S.K. Park. 2012. Effect of different Light Emitting Diode(LED) on growth and flowering in chrysanthemum. Flower Res. J. 20:128-133. 

  4. Duong, T.N., T. Takamura, H. Watanabe, K. Okamoto, and M. Tanaka. 2003. Responses of strawberry plantlets cultured in vitro under superbright red and blue light-emitting diodes(LEDs).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73:43-52. 

  5. Johkan, M., K. Shoji, F. Goto, S. Hahiad, and T. Yoshihara. 2010. Blue light-emitting diode light irradiation of seedlings improves seedling quality and growth after transplanting in red leaf lettuce. HortScience 45:1890-1814. 

  6. Kim, Y.H. 2002. Control of artificial lighting for plant production system in the future. J. Bio-Environ. C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p. 78-102. 

  7. Moon, W. and S.G. Lee. 2000. Cultivation plant physiology. KNOU Press. p. 192-226. (in Korean) 

  8. Okamoto, K., T. Yanagi, S. Takita, M. Tanaka, T. Higuchi, Y. Ushida, and H. Watanabe. 1996. Development of plant growth apparatus using blue and red LED as artificial light source. Acta Hort. 440:111-116. 

  9. R.D.A. 2009. Standard farming handbook of strawberr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 120-139. 

  10. Samuoliene, G., R. Sirtautas, A. Brazaityte, and P. Duchovskis. 2012. LED lighting and seasonality effects antioxidant properies of baby leaf lettuce. Food Chem. 134:1494-1499. 

  11. Senger, H. 1982. The effect of blue light on plants and microorganisms. Photochem. Potobiol. 35:911-920. 

  12. Shin, J.H., H.H. Jung, and K.S. Kim. 2010. Night interruption using light emitting diodes(LEDs) promotes flowering of Cyclamen perisicum in winter cultivation. Hort. Enviro. and Biotechnol. 51:391-395. 

  13. Yoon, C.G. and H.K. Choi. 2011. A study on the various light source radiation conditions and use of LED illumination. Journal of KIIEE. 25:14-22. 

  14. Yoon, H.S., H.J. Jeon, and T.I. Kim. 2010. Strawberry playing. 1th ed. Ililsa. p. 73-75. (in Korean) 

  15. Yoshita, S., A.F. Douglas, and H.C. James. 1971.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in plant tissue. p. 36-37. In: Laboratory manual for physiological studies of rice.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Los Bonos, Laguna, Philippin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