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ineXol®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PineXol®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1, 2013년, pp.97 - 103  

이영준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한완택 ((주)뉴트라팜) ,  최현선 (차의과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부용 (차의과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정현정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많은 연구 결과를 통해 조사되어 왔으며, 해외에서는 이미 프랑스 해송 껍질 추출물인 피크노제놀(pycnogenol)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반면, 우리나라 적송 껍질 추출물(PineXol$^{(R)}$)의 생리활성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적송 껍질 추출물인 PineXol$^{(R)}$의 항산화 활성 및 anti-adipogenic 활성을 평가하였다. PineXol$^{(R)}$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17.40{\pm}6.86$ GAE mg/g 및 $54.44{\pm}0.01$ RE mg/g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ABTS, FRAP, 환원력)을 통하여 PineXol$^{(R)}$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사용한 동일한 농도의 아스코르빈산과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ORAC value는 $693.97{\pm}14.13{\mu}M$ TE/g으로 측정되었고, 1.0 mg/mL의 농도에서 55.39%의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다. PineXol$^{(R)}$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분화과정동안 50, 100 및 200 ${\mu}g/mL$의 농도에서의 지방축적량은 각각 $66.85{\pm}5.87$, $44.59{\pm}5.71$$20.85{\pm}2.78%$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ineXol$^{(R)}$은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능을 갖으며,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bark extract is made from the bark of Pinus densiflora which naturally contains occurring phytochemicals such as phenolic compounds. PineXol$^{(R)}$ from products of pine bark extract is sold under the brand na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otal phenol, total flavono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ineXol®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PineXol®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reducing power, ORAC assay)을 통하여 PineXol®의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적송 껍질 추출물인 PineXol®의 항산화 활성 및 anti-adipogenic 활성을 평가하였다.
  • 또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 PineXol®에 의한 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활성을 평가하여 항비만 활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 합성에 반드시 필요한 cofactor는 무엇인가? 3T3-L1 전지방세포는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세포내로 유입되는 포도당을 저장하기 위하여 지방 합성과 관련된 에너지대사 경로를 작동하게 된다. 특히, pentose phosphate pathway(PPP)는 지방 합성에 반드시 필요한 cofactor인 NADPH(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pathway이다. 이렇게 생성된 NADPH는 NADPH Oxidase(NOX)에 의하여 NADP+로 전환되며, 이때 세포내 superoxide를 생성하게 되어 세포내 ROS가 발생한다.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항산화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와 같은 현상으로 인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매우 높아서 고분자 단백질과 DNA의 변형 및 생체막을 손상시키며, 조직이나 기관들을 손상시켜 암과 같은 질병을 야기한다(2,3). ROS를 제거하기 위해서 과거에는 효과와 경제성이 뛰어난 합성 항산화제인 BHT(butylated hydroxytoluene) 및 BHA(butylated hydroxyanisole)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이러한 합성물들의 인체에 대한 독성과 안정성의 문제가 많이 알려지면서 법적으로 규제되고 있으며 그 사용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4,5). 이와 함께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을 이용한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6).
소나무 껍질은 어떤 형태의 폴리페놀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소나무 껍질은 polyphenolic monomer, procyanidins, cinnamic acid 및 glycoside와 같은 polymer 형태의 폴리페놀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효과, 항비만, 항균활성, 항염증 활성 및 면역력 증진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지닌다(10-12). 피크노제놀(pycnogenol)은 프랑스산 해송 껍질 추출물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복합체로 monomer 형태의 페놀화합물인 catechin, epicatechin 및 taxifolin과 플라보노이드인 procyanidins 그리고 ρ-hydroxy benzoic, protocatechuic, gallic, vanillic, ρ-coumaric, caffeic, ferulic acids와 같은 다양한 페놀산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Gutteridge JMC, Halliwell B.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UK. pp. 1-62 (1994) 

  2. Fridovich I. Superoxide dismutase. An adaption to a paramagnetic gas. J. Biol. Chem. 264: 7761-7764 (1989) 

  3. Lee OH, Lee BY, Lee J, Lee HB, Son JY, Park CS, Shetty K, Kim YC. Assessment of phenolics-enriched extract and fractions of olive leav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ioresour. Technol. 100: 6107-6113 (2009) 

  4. Kim HK, Kwon YJ, Kim YE, Nahmgang B.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1: 88-95 (2004) 

  5. Kim TK, Shin HD, Lee YH. Stabilization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using inclusion complexation with cyclodextrin and their utilization as the fresh-food preservativ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66-272 (2003) 

  6. Kalt W. Effect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 J. Food Sci. 70: 11-19 (2006) 

  7. Lee OH, Kwon YI, Hong HD, Park CS, Lee BY, Kim YC.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es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 70-75 (2009) 

  8.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 M, Shimomura I.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 1752-1761 (2004) 

  9. Yamashita A, Soga Y, Iwamoto Y, Asano T, Li Y, Abiko Y, Nishimura F. DNA microarray analyses of genes expressed differentially in 3T3-L1 adipocytes co-cultured with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in the presence of the toll-like receptor 4 ligand bacterial endotoxin. Int. J. Obesity 32: 1725-1729 (2008) 

  10. Grimm T, Schafer A, Hogger P.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by metabolites of maritime pine bark extract (pycnogenol). Free Radical. Bio. Med. 36: 811-822 (2005) 

  11. Torras MA, Faura CA, Schonlau F, Rohdewald P. Antimicrobial activity of pycnogenol. Phytother. Res. 19: 647-648 (2005) 

  12. Rohdewald PA. Review of the French maritime pine bark extract (pycnogenol), a herbal medication with a diverse clinical pharmacology. Int. J. Clin. Pharm. Th. 40: 158-168 (2002) 

  13. Saliou C, Rimbach G, Moini H, McLaughlin L, Hosseini S, Lee J, Watson RR, Packer L. Solar ultraviolet-induced erythema in human skin and nuclear factor-kappa- $\beta$ -dependent gene expression in keratinocytes are modulated by a French maritime pine bark extract. Free Radical Bio. Med. 30: 154-160 (2002) 

  14. Hasegawa, N. Inhibition of lipogenesis by pycnogenol. Phytother. Res. 14: 472-473 (2002) 

  15. Choi JH, Choi MK, Han OT, Han SJ, Chung SJ, Shim CK, Kim DD. Evaluation of skin absorption of catechin from topical formulations containing Korea pine bark extract ( $PineXol^{(R)}$ ). J. Korean Pharm. Sci. 37: 359-364 (2007) 

  16.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 Food Chem. 44: 37-44 (1996) 

  17.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18.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Hoon KD.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7-624 (2002) 

  19. Roberta R, Nicoletta P, Anna P, Anath P, Min Y, Catherine RE.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20. Benzie I, Strain 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21. Oyaizu M. Studies on products of the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986) 

  22.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7 (1981) 

  23.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 Food Chem. 49: 4619-4626 (2001) 

  24. Blumberg JM, Tzameli I, Astapova I, Lam FS, Flier JS, Hollenberg AN. Complex role of the vitamin D receptor and its ligand i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Biol. Chem. 28: 11205-11213 (2006) 

  25.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98-203 (2007) 

  26. Shin DB, Lee DW, Yang R, Kim JA.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flavonoids contents of matured Citrus peel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5: 357-362 (2006) 

  27. Ku CS, Jang JP, Mun SP. Exploitation of polyohenol-rich pone barks for potent antioxidant activity. J. Wood Sci. 53: 524-528 (2007) 

  28. Szabo MR, Idioiu C, Chambre D, Lupea AX. Improved DPPH determina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spectrophotometric assay. Chem. Pap. 61: 214-216 (2007) 

  29. Que F, Mao L, Zhu C, Xie G.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s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Food Sci. Technol. 39: 111-117 (2006) 

  30. 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D.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0-254 (2007) 

  31. Jeong JW, Lee YC, Jung SW, Lee KM.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09-712 (1994) 

  32. Prior RL, Hoang H,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Jacob R.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FL)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 Food Chem. 51: 3273-3279 (2003) 

  33. Park JH, Park HM, Kang SJ, Kang EJ, Lee DH, Kim DI. Original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nule manufacture of mulberry and blue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375-382 (2012) 

  34. Woo SJ, Lee HJ. Residual nitrite and nitrate in home processed dry sausage and ham. Korean J. Nutr. Soc. 15: 186-193 (1982) 

  35. Park CS, Kwon CJ, Choi MA, Park GS, Choi KH. Antioxidant and nitrite scevenging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9: 248-252 (2002) 

  36. Lee OH, Seo MJ, Choi HS, Lee BY. Pycnogenol inhibits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with the mod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ssociated with antioxidant enzyme responses. Phytother. Res. 3: 403-41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