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아동의 치아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MATURATION IN CHILDREN WITH CLASS III SKELETAL MALOCCLUSION OF MANDIBULAR OVERGROWTH TYPE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0 no.1, 2013년, pp.21 - 27  

류현정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이창한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김신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까지의 많은 연구들을 통해 치아의 발육상태와 골격성 부정교합과의 연관성이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는 방사선학적 방법을 통하여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상하악 치령 및 제2대구치 맹출률을 비교, 분석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 평가 가능한 상하악 치아성숙도의 차이가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감별진단 요소로 의의가 있는지 알아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Hellman 치령 IIIA의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 각 50명을 선택한 후, 이들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Demirjian법으로 각 군의 상하악 치령 및 제2대구치 맹출률을 구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상하 치령의 차이는 각각 0.66세와 1.20세로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상하 제2대구치 맹출률은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rowing children it is frequently found that dental maturation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growth rate of maxilla or mandible. If there is evidence to prove this, it might be utilized as a criterion in the early diagnosis of skeletal malocclusion, even before the object's real skeletal featu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혼합 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정상교합자와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자에서, 상하악 치령 및 제2대구치 맹출률을 비교, 분석하여 상하악 치아성숙도의 차이가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감별진단 요소로 의의가 있는지 확인해 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혼합 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정상교합군과 하악의 원인으로 발생한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치아성숙도를 비교, 분석하여 치아성숙도와 골격적 특성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선정시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과 치성 및 기능성 3급 부정교합군을 감별진단하기 위해 안모, 가족력, 교합간섭, 거대편도 및 하악 최대 후방이동 시 절단교합 가능성 등을 평가하였으며 골격분석을 위해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치부 반대교합은 어떤 시기에 발현율이 높은가? 전치부 반대교합은 유치열기나 혼합 치열기에서 발현율이 높고 쉽게 인지되므로, 이 시기에 반대교합을 주소로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수는 상당하다. 또한 근래에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관심의 증가 및 조기교정의 필요성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변화 등으로, 소아 청소년기에 교정치료에 대한 상담과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치료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정교합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으로 감별진단을 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3급 부정교합은 치성 3급, 기능성 3급, 골격성 3급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성장 중인 유치열이나 혼합 치열기 환자의 경우 이러한 감별진단이 용이하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치아의 파노라마 사진 촬영 후 치령 및 제2대구치맹출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어떤 결론을 얻을 수 있었는가? 1.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 모두에서 역령에 비해 치령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차는 보이지 않았다. 2.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상하악 치령의 차이는 각각 0.66세와 1.20세로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차이를 보였다. 3.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에서 상하 제2대구치 맹출률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파노라마 사진으로 평가가 가능한 상하악 치령의 차이는 하악 과성장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조기 징후로 개연성이 있으며, 감별진단 요소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o YH, Hyun HK, Kim CC, et al. :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patients 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550-555, 2009. 

  2. Moyers RE : Handbook of Orthodontics, 4th ed. Year Book Medical Publishers Inc, Chicago, 410-415, 453-460, 1988. 

  3. Suhr CH : A study on calcification of the second molars in Angle class I malocclusion. Korean J Orthod, 39:201-204, 1983. 

  4. Cha KS : A study on calcification of the second molar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Korean J Orthod, 11:101-108, 1981. 

  5. Kim RM : A study on calcification of the second molars in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Korean J Orthod, 11:125-133, 1981. 

  6. Demirjian A, Buschang PH, Tanguay R, et al. : Inter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somatic, skeletal, dental and sexual maturity. Am J Orthod, 88:433-438, 1985. 

  7. Shumaker DB, EI Hadary MS : Roentgenographic study of eruption. J Am Dent Assoc, 61:535-541, 1960. 

  8. Scott JH : The analysis of facial growth. I. Th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dimensions. Am J Orthod, 44:507-512, 1958. 

  9. Lee KS :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mandibular prognathism. Korean J Orthod, 9:85-98, 1979. 

  10. Jacobson A, Evans WG, Preston CB, et al. :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d, 66:140- 171, 1974. 

  11. Riedel RA : Esthetics and its relation to orthodontic therapy. Angle Orthod, 20:168-178, 1950. 

  12. Pascoe JJ, Hayward JR, Costich ER : Mandibular prognathism; its etiology and a classification. J Oral Surg Aneth and Hosp D Serv, 39:860-870, 1981. 

  13. Park SJ, Lee DJ : A study of differentiation between maxillary undergrowth and mandibular overgrowth in Class III malocclusion. Oral Biol Res, 16:1-20, 1992. 

  14. Freeman RS : Adjusting A-N-B angle to reflect the effect of maxillary position. Angle Orthod, 51:162-171, 1981. 

  15. Sue GY : Indicators of skeletal class III growth. J Dent Res, 66:348-360, 1987. 

  16. Suda N, Hiyama S, Kuroda T : Relationship between formation/eruption of maxillary teeth and skeletal pattern of maxilla.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21:46-52, 2002. 

  17. T Haruki, R Kanomi, T Shimono : The differences in the chronology and calcification second molars between Angle Class III and Class II occlusions in Japanese children. J Dent Child, 64:400-404, 1997. 

  18. An UJ, Noh HS, Kim S, et al. : The dental maturation maxilla in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J Korean Acad Pediatr Dent, 38:119-128, 2011. 

  19. Korean Acad Pediatr Dent : Dentistry for the child and adolescent. Sin-hung international, Seoul, 56, 2007. 

  20. Hwang CI, Suhr CH :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in cap in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Korean J Orthod, 19:219-243, 1989. 

  21. Graber LW : Chin cap therapy for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 72:23-41, 1977. 

  22. Sugawara J : Long-term effects of chin cap therapy on skeletal profile in mandibular prognatism. Am J Orthod Dentofac Orthop, 98:127-133, 1990. 

  23. Itoh T, Chaconas SJ, Caputo AA, et al. : Photoelastic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on the craniofacial complex. Am J Orthod, 66:140-171, 1985. 

  24. Mermigos J, Full CA, Andeasen G : Protraction of the maxillofacial comlplex. Am J Orthod Dentofac Orthop, 98:47-55, 1990. 

  25. Tanne K, Sakuda M : Biomechanical and clinical chages of the craniofacial complex from orthopedic maxillary protraction. Angle Orthod, 61:145-152, 1991. 

  26. Kim SE, Yang KH : Case reports on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RME and Facemask. J Korean Acad Pediatr dent, 25:604-612, 1998. 

  27. Guyer EC, Ellis EE 3rd, McNamara JA Jr, et al. : Components of class III malocclusion in juveniles and adolescents. Angle Orthod, 56:7-30,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