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광양만권 주변지역 주민들의 대기오염 노출추정을 위한 방법론 비교 연구
Comparison of Exposure Estimation Methods on Air Pollution of Residents of Industrial Complexe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2 no.2, 2013년, pp.151 - 161  

정순원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  조용성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  양원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유승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  손부순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ssessment of personal exposure is a critical component in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 studies of air pollu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ly and compare the four exposure estimation methods of individual-level to air pollution concentration in a cohort including 2,283 subjects in Gwang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산업도시인 광양만권에서 특정 요인에 노출된 집단과 노출되지 않은 집단을 추적하여 질병 발생 관계를 추적하는 코호트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9년 광양만권 코호트 참여자의 개인 단위 거주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의 4가지 개인노출추정 방법을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Nearest monitor, IDW, Kriging으로 추정한 값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차검증을 수행하였다. 노출추정에 이용된 10개 측정망 중에서 각각 1개씩 제외한 나머지 9개의 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제외된 측정망의 농도를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오염물질의 공간적 이질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측정망간(pairs) 거리 및 측정값의 상관계수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측정망간 거리는 약 2.
  • 노출평가는 유해인자의 발생원에서 수용체(인간)의 실제 또는 잠재적 노출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분석적 도구로 건강 위해성평가와 역학연구에서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역학연구의 노출평가에 있어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노출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한 대기오염의 노출수준을 추정함에 있어서 몇 가지 제한점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2009년 광양만권 코호트 참여자 2,283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거주지 정보를 이용하여 Average across all monitors, Nearest monitor, Inverse distance weighting, Kriging 노출추정 방법을 적용해보고, 각 노출추정 기법의 추정값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개인노출 추정방법을 적용하여 예측치를 비교한 결과, 추정방법별 PM10, NO2, SO2, CO, O3의 평균 농도는 약간씩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오염 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노출평가 방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대부분의 대기오염 역학연구들에서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대기오염 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평균화된 대기오염 농도가 다양한 위치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노출수준을 대표한다는 가정하에, 측정망이 위치하는 행정구역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하나 혹은 두 지점의 측정망에서 측정된 대기오염 농도를 개인의 노출로 할당하였다(Son 등, 2009). 그러나 이러한 노출평가 방법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위해 크기를 평가함에 있어 개인의 공간적 이질성(heterogeneity)을 반영하지 못하여 분류오류(exposure misclassification) 등과 같은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그 결과가 과소평가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Bell, 2006; Kim 등, 2009).
본 연구에서 이용한 대기오염측정망 자료에서 측정한 물질은 무엇인가? 대기오염측정망 자료는 2009년 광양시 중동, 태인동, 진상면, 광양읍의 4개 지점과 여수시 광무동, 중흥동, 월내동, 문수동 4개 지점, 그리고 순천시 장천동과 연향동 2개 지점의 측정망에서 측정되는 미세먼지(PM10), 이산화질소(NO2), 이산화황(SO2), 오존(O3), 일산화탄소(CO)의 자료를 이용하여 일일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PM10, SO2, NO2는 24개의 시간별 평균값을 이용하였으며, O3, CO는 8시간 이동평균값(이하, O3_mean, CO_mean) 및 최대이동평균값을(이하, O3_max, CO_max) 이용하였다.
GIS는 무엇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발달과 함께 활용 가능한 지리공간자료(geospatial data)가 증가하고 공간분석 방법론들이 발전하면서 환경역학과 노출측정 및 평가 분야에서 새로운 도구로 공간분석 기법이 이용되고 있다(Han과 Hwang, 2011). GIS는 하나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대기오염노출의 분류오류를 최소화하고 보다 정확한 노출평가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관련 자료와 환경요인들을 공간적으로 표시하고, 이들의 연관성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GIS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할 수 없는 지역이나 기존의 노출평가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간분석을 이용해 개인의 노출을 예측하는 모델 및 새로운 방법들을 적용하고 개발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Finkelstein 등, 2003; Liao 등, 2006; Pikhart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ell, M. L., 2006, The use of ambient air quality modeling to estimate individual and population exposure for human health research: A case study of ozone in the Northern Georgia Region of the United States, Environ. Int., 32, 586-593. 

  2. Eum, K. D., 2008, Spatial and temporal assessment of air pollution exposure and its health effect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3. Finkelstein, M. M., Jerrett, M., Deluca, P., Finkelstein, N., Verma, D. K., Chapman, K., Sears, M. R., 2003, Relation between income, air pollution and mortality : a cohort study, Can. Med. Assoc. J., 169, 397-402. 

  4. Firket, J., 1936, Fog Along the Meuse Valley, Trans. Faraday Soc., 32, 1192-1197. 

  5. Han, D. K., Hwang, S. S., 2011, Spatial epidemi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 On the use of spatially referenced health and environment data, J. Env. Health Sci., 1, 1-11. 

  6. Kim, S. Y., Sheppard, L., Kim, H., 2009, Health effects of long-term air pollution, influence of exposure prediction methods, Epidemiology, 20, 442-450. 

  7. Kinney, P. L., Aggarwal, M., Nikiforov, S. V., Nadas, A., 1998, Methods development for epidemiologic investigations of the health effects of prolonged ozone exposure. Part III: an approach to retrospective estimation of lifetime ozone exposure using a questionnaire and ambient monitoring data (US sites), Health Effects Inst. Res. Rep., 81, 79-107. 

  8. Kunzli, N., Lurman, F., Segal, M., Ngo, L., Balmes, J., Tager, I., 1997, Association between lifetime ambient ozone exposure and pulmonary function in college freshmanresults of a pilot study, Environ. Res., 72, 8-23. 

  9. Liao, D., Peuquet, D. J., Duan, Y., Whitsel, E. A., Dou, J., Smith, R. L., Lin, H. M., Chen, J. C., Heiss, G., 2006, GIS approaches for the estimation of residential- level ambient pm concentrations, Environ. Health Perspect., 114, 1374-1380. 

  10. Ministry of Health, 1954, Mortality and Morbidity during the London fog of December 1952, Reports on Public Health and Medical Subjects No. 95, London Ministry of Health, London. 

  11. Pikhart, H., Bobak, M., Gorynski, P., Wojtyniak, B., Danova, J., Celko, M. A., Kriz, B., Briggs, D., Elliott, P., 2001, Outdoor sulphur dioxide and respiratory symptoms in Czech and Polish school children: a small-area study,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74(8), 574-578. 

  12. Sarnat, S. E., Klein, M., Sarnat, J. A., Flanders, W. D., Waller, L. A., Mulholland, J. A., Russell, A. G., Tolbert, P. E., 2010, An examination of exposure measurement error from air pollutant spatial variability in time-series studies, J. Expo. Sci. Environ. Epidemiol., 20, 135-146. 

  13. Schrenk, H., Heimann, H., Clayton, G., Gafafer, W., Wexler, H., 1949, Air Pollution in Donora, PA: Epidemiology of the Unusual Smog Episode of October 1948, Preliminary Report, Public Health Bulletin No. 306, U.S. Public Health Service, Washington, DC. 

  14. Son, J. Y., Kim, Y. S., Cho, Y. S., Lee, J. T., 2009, Prediction Approaches of Personal Exposure from Ambient Air Pollution Using Spatial Analysis : A Pilot Study Using Ulsan Cohort Data, J. Kor. Soc. Atmos. Environ., 4, 339-346. 

  15. Son, J. Y., Bell, M. L., Lee, J. T., 2010, Individual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lung function in Korea: Spatial analysis using multiple exposure approaches, Environ. Res., 110, 739-749. 

  16. Wilson, J. G., Kingham, S., Sturman, A. P., 2006, Intraurban variations of $PM_{10}$ air pollution in Christchurch, New Zealand: implications for epidemiological studies, Sci. Total Environ., 367, 559-572. 

  17. Wong, D. W., Yuan L., Perlin S. A., 2004, Comparison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air quality data, J. of Ex. Anal. and Env. Epi., 14, 404-4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