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일렌과 에틸벤젠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가 연구
Aggregate Risk Assessment on Xylene and Ethylbenzene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2 no.2, 2013년, pp.163 - 171  

서정관 (국립환경과학원) ,  김탁수 (국립환경과학원) ,  김필제 (국립환경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ggregate risk assessment on xylene and ethylbenzene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guidance established newly in 2010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risk management. In human exposure assess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wer ages were exposed more and that, in the interi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령별 주요활동공간별 생활시간양상은 2009년 통계청 자료를 주로 활용하였다(Statistics Korea, 2009). 노출수준자료는 대표성과 정확한 노출수준을 확보하기 위해서 국가측정망자료 및 국가기관에서 수행된 노출실태조사 자료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에 대해서는 지침에 의거하여 결손분석과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생활공감 유해물질인 자일렌과 에틸벤젠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수용체 중심의 위해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자일렌과 에틸벤젠에 대한 위해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목적으로 2010년 제정된 위해성평가지침’(Ministry of Environment, 2010)에 근거하여 매체 통합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체통합 위해성평가의 효과는? 이러한 경우 유해화학물질의 다매체 거동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들로 인한 인체 건강영향을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매체통합 위해성평가는 매체별 및 경로별 상대노출기여도 산정을 통하여 주요 관리대상 확인 등 위해관리대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 수행된 위해성평가의 문제점은? 따라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인체 노출평가를 위해서는 평가대상물질의 다매체, 다경로 노출특성을 반영하여 노출가능한 모든 매체와 노출경 로를 포괄하여 총 노출량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NIER, 2011). 그러나 그 동안 국내에서 수행된 위해성평가의 경우 대부분 단일 자연환경매체 혹은 작업장, 주택실내 등 국소생활환경공간에 국한되어 수행된 경우가 많았다(Kim 등, 2007). 이러한 경우 유해화학물질의 다매체 거동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들로 인한 인체 건강영향을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없다는 단점이 있다.
자일렌과 에틸벤젠의 특징은? 본 연구는 2010년 환경부에서 제정한 ‘매체통합위 해성평가 지침’(Ministry of Environment, 2010)에 근거하여 자일렌과 에틸벤젠에 대한 매체통합위해성평 가를 수행하였다. 이 두 물질은 국가유해대기측정망 항목에 포함되어 전국 지역별 자료 획득이 용이할 뿐아니라 국내 화학물질 취급량 및 배출량이 많아 국민 들이 일상생활 가운데 노출확률이 높은 물질에 속한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대기오염물질로 여러 가지 급성 및 만성영향으로 호흡기 자극 등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ATSDR, 2007;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TSDR, 2007, Toxicological profile for xylene. 

  2. ATSDR, 2010, Toxicological profile for ethylbenzene. 

  3. Back, S. O., Kim, Y. S., 1998, Characterization of air quality in various types of indoor environments in urban areas: focusing on homes, offices, and restaurants, J. KAPRA., 14(4), 343-360. 

  4. Chung, M. H., Jung, S. M., Kim, M. Y., Kim, G. W., Park, J. C., 2007, A field survey of indoor air environment of school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egeration engineering., 19(12), 865-873. 

  5. Daejeon metropolitan waterworks authority, 2009, Consumer confidence report. 

  6. Ha, D. H., Pyun, M. K., Lee, B. W., Kim, J. H., Kim, S. T., 2008,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levels of VOCs at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in Daeje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5(1), 1-11. 

  7. Jang, J. H., Jo, S. N., Kim, S. Y., Kim, S. J., Jeong, H. G., 2007, 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8. Jeon, J. M., Jeong, M. H., Lee, H. S., Kang, B. W., 2010, Characteristics of indoor hazardous pollutants in classroom of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7(1), 47-61. 

  9. Jo, W. K., Park, K. H., 1999, Commuter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under different driving conditions, Atmos. Env., 33, 409-417. 

  10. Jung, S. W., Yang, W. H., Son, B. S., 2007, Health risk assessment by potential exposure of $NO_{2}$ an VOCs in apartments., Kor. J. Env. Hlth., 33(4), 242-249. 

  11. Kim, Y. D., 2007, Measurement of classroom air quality in large cities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7(1), 63-74. 

  12. Kim, Y. H., Yang, W. H., Son, B. S., 2007, Estimation of total exposure to benzene, toluene and xylene by microenvironmental measurements for iron mill workers, Kor. J. Env. Hlth., 33(5), 359-364. 

  13. Koh, Y. J., Kim, S. D., Park, S. Y., Jang, S. K., 2009, Childrens' health risk assessment on indoor hazardous air pollutants of preschool facility, J. Env. Hlth. Sci., 35(2), 78-85. 

  14. Lee, C.M., Kim, Y. S., No, Y. M., Kim, J. C., Jeon, H. J., LEE, S. D., 2004, Health risk assessment of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ants in office building,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4(3), 251-263. 

  15. Maroni, M., Seifert, B., Lindvall, T(Eds.)., 1995, Indoor Air Quality comprehensive reference book. Elsevier, Amsterdam.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A Survey of non regulated public and small scaled facilities(I).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A study on management plans of indoor air quality by transport.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The guideline of procedures and methods for risk assessment (Regulation No.415, Ministry of Environment).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Environmental health Master plans on environmetal health(2011-2020). 

  20. NIER, 2006, Measurement-method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Daycare centers, publication No. 2006-47-829. 

  21. NIER, 2007,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2. NIER, 2008,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3. NIER, 2009a,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4. NIER, 2009b, A Study on Management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 by House Type in Korea(I): Indoor Air Pollution and Health Effects in Residential Apartment. 

  25. NIER, 2010, A Study on Management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 by House Type in Korea(II): Indoor air pollutants and health effects in residential detached and multiplex/terraced house, publication No. 2010-34-1209. 

  26. NIER, 2011, The principle and methods of exposure assessment for chemical risk assessment. 

  27. Statistics Korea, 2009, Time-use survey, http://survey.go.kr/lifestyle. 

  2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 Consumer Confidence Report. 

  29. US EPA, 1989,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I-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Part A) 

  30. US EPA, 2008, Child-specific exposure factors handbook. 

  31. US EPA, 2011a, Exposure Factors Handbook : 2011 edition. 

  32. US EPA, 2011b, http://www.epa.gov/iris. 

  33. VCCEP, 2005, Voluntary Children's Chemical Evaluation Program(VCCEP) Tier 1 Pilot Submission(Xylene category). American Chemistry Council Benzene, Toluene, Xylenes VCCEP Consortium. 

  34. Waterworks Headquarters Incheon Metropolitan City, 2009, Consumer confidence repor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