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형 지지교육이 심부전증 환자의 신체, 정서적 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ailored Supportive Education on Physical, Emo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1, 2013년, pp.62 - 73  

이은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신은숙 (전남대학교병원 감염관리실) ,  황선영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  채명정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정명호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ailored supportive education on physical, psycholog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who had not participated previously in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used a 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심부전증으로 입원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병동교육과 함께 퇴원 후 8주 동안 전화상담을 통해 제공한 맞춤형 지지교육이 심부전증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상태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심부전증 환자가 퇴원 후 추후관리를 받는 외래 환경은 매우 분주하고 교육 전담 간호사가 없어 자기관리 실태에 근거한 추후관리가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여 소책자를 제공하였으며, 전화를 이용한 맞춤형 지지교육은 퇴원 후 가정에서 지켜야 할 식이, 투약, 생활습관 개선, 신체적 · 정서적 불편감 관리 등을 주기적으로 사정한 후 요구된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면서 소책자에 안내된 올바른 자기관리를 지속적으로 이행하도록 격려하였다.
  • 본 연구목적은 심부전증 환자의 퇴원 후 효율적 추후관리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퇴원 후 두 달 동안 전화를 이용한 맞춤형 지지교육 제공이 심부전 환자의 신체적 · 정서적 상태와 삶의 질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심부전증 환자에게 개별화된 퇴원 전 교육과 전화 상담을 이용하여 병원-가정 연계의 지속적인 맞춤형 지지교육 제공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는 대상자의 신체적 및 정서적 건강 상태를 강화시켜 건강회복과 삶의 질이 증진되는 추후관리 시스템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3. 실험군은 시간경과에 따라 삶의 질 점수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실험군은 시간경과에 따라 신체적 상태(신체증상과 신체기능) 점수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은 시간경과에 따라 정서적 상태(우울과 불안) 점수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부전증이란 무엇인가? 심부전증(congestive heart failure)은 심장의 펌프능력 저하로 안정 시 또는 운동 시 신체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는 병리적인 상태이다(Austin, Williams, Ross, Moseley, & Hutchison, 2005). 최신의학의 발달로 심부전증의 진단 및 치료관리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허혈성 심질환 및 심부전증 환자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심부전증 환자는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겪게되는가? 심부전증 환자의 약 90%는 치료과정에서 만성피로, 호흡곤란, 흉통, 전신 부종 등 신체적 불편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호흡곤란, 야간 발작성 호흡곤란, 수면장애와 같은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제한될 뿐 만 아니라 신체적 기능상태가 매우 저하됨으로써 정서적으로 불안, 우울, 자존감 저하, 의욕상실 등을 겪는다(Kulcu, Kurtais, Tur, Gülec, & Seckin, 2007; Yeh, Wayne, & Phillips, 2008). 또한, 심부전증 환자의 과반수는 치료약제 개발 등에 따른 의료기술 향상에도 불구하고 심장 비대나 부정맥 증상 등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호흡곤란, 피로, 수면장애 등의 신체증상이 만성적으로 진행되거나 재입원하게 될 경우 일상생활의 제한, 우울과 의욕상실로 인해 삶의 질은 점차 저하된다(Kulcu et al.
심부전증 환자의 대부분은 치료과정에서 어떤 상황에 처하는가? 심부전증 환자의 약 90%는 치료과정에서 만성피로, 호흡곤란, 흉통, 전신 부종 등 신체적 불편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호흡곤란, 야간 발작성 호흡곤란, 수면장애와 같은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제한될 뿐 만 아니라 신체적 기능상태가 매우 저하됨으로써 정서적으로 불안, 우울, 자존감 저하, 의욕상실 등을 겪는다(Kulcu, Kurtais, Tur, Gülec, & Seckin, 2007; Yeh, Wayne, & Phillips,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ustin, J., Williams, R., Ross, L., Moseley, L., & Hutchison, S. (2005).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cardiac rehabilit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The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7, 411-417. 

  2. Delaney, C., & Apostolidis, B. (2010). Pilot testing of a multicomponent home care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with heart failure: An academic clinical partnership.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5(5), 27-40. http://dx.doi.org/10.1097/JCN.0b013e3181da2f79. 

  3.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4. Gary, R. A., Dunbar, S. B., Higgins, M. K., Musselman, D. L., & Smith, A. L. (2010). Combined exercise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mproves outcome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Psychosomatics Research, 69, 119- 131.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10.01.013 

  5. Heart Failure Society of America (2006). Educational modules on heart failure. Retrieved February 15, 2002, from HFSA Web site: http://www.hfsa.org/heart_failure_education_modules. asp 

  6. Jessup, M., Abraham, W. T., Casey, D. E., Feldman, A. M., Francis, G. S., Ganiats, T. G., et al. (2009). Focused update: ACCF/AHA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eart failure in adults. Circulation, 119, 1977-2016.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9.192064. Epub 2009 Mar 26. 

  7. Juenger, J., Schellberg, D., Kraemer, S., Haunstetter, A., Zugck, C., Herzog, W., et al. (2002).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Comparison with other chronic diseases and relation to functional variables. Heart, 87, 235-241. 

  8. Kim, C. J., Kim G, Y., Noh, Y. S., Song, E. K., Kang, S. M., Yoo, M. S., et al. (2006).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symptom experience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Over a six-month follow-up period.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 (1), 76-85. 

  9. Kim, Y. S. (2007). A path analysis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 547-555. 

  10. Koelling, T. M., Johnson, M. L., Cody, R. J., & Aaronson, K. D. (2005). Discharge education improves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Circulation, 111, 179-185. 

  11. Kulcu, D. G., Kurtais, Y., Tur, B. S., Gulec, S., & Seckin, B. (2007). The effect of cardiac rehabilitation on quality of life,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hort-term results. Europa Medicophysica, 43, 489-497. 

  12. Lee, L. Y., Lee, D. T., & Woo, J. (2009). Tai chi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1(1), 35-43. 

  13. Lee, S. H., & Ahn, S. H. (2005). Self care compliance,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 186-194. 

  14. Lenz, E. R., Pugh, L. C., Milligan, R. A., Gift, A., & Suppe, F. (1997). The middle-rang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An update. Advanced Nursing Science, 19(3), 14-27. 

  15. Lewis, S. M., Heitkemper, M. M., Dirksen, S. R., O'brien, P. G., Giddens, J. F., & Bucher, L. (2004). Medical-surgical nursing: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linical problems (6th ed.), St. Louis, Missouri: Mosby. 

  16. Moser, D. K., & Watkins, J. F. (2008). Conceptualizing self-care in heart failure: A life course model of patient characteristics.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3, 205-218. http://dx. doi.org/10.1097/01.JCN.0000305097.09710.a5 

  17. O'Connor, C. M., Whellan, D. J., Lee, K. L., Keteyian, S. J., Cooper, L. S., Ellis, S. J., et al. (2009). Efficacy and safety of exercise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1, 1439-1450. http://dx.doi.org/10.1001/jama.2009.454. 

  18. Oh, S. M., Min, K. J., & Park, D. B. (1999).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ed scale for Korean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 289-296. 

  19. Palmer, N. D., Appleton, B., & Rodregues, E. A. (2003). Specialist nurse-led intervention in out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Impact on clinical and economic outcomes. Disease Management & Health Outcomes, 11, 693-698. 

  20. Park, K. S. (2007).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n educational need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1. Rector, T. S., Kubo, S. H., & Cohn, J. N. (1987). Patient's self-assessment of their congestive heart failure. Part 2: Cont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measure, the minnesota living with heart failure questionnaire. Heart Failure, 3, 198-207. 

  22. Riegel, B., Carlson, B., & Glaser, D. (2000).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clinical tool measuring self-management of heart failure. Heart & Lung, 29 (1), 4-15. 

  23. Song, E. K. (2005). Effect of a telephone monitoring on self-management & symptom experience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1), 56-67. 

  24. Song, E. K., Kim, C. J., Yoo, I. Y., Kim, G. Y., Kim, J. H., & Ha, J. W. (2006). Factors influencing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6, 853-862. 

  25. Statistics Korea. (2010). Cause of death statistics table. Retrieved July 15, 2012, from Web site: http://kostat.go.kr/portal/ 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bSeq& aSeq250282&pageNo1&rowNum10&navCount 10&currPg&sTargettitle&sTxt 

  26. Sung, J. D., On, Y. K., Kim, H. S., Chae, I. H., Sohn, D. W., Oh, B. H., et al. (2000).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y scale/ index (KASI). Korean Circulation Journal, 30, 1004-1009. 

  27. Tahylor-Piliae, R. E., Haskell, W. L., Waters, C. M., & Froelicher, E. S. (2006). Change in perceived psychosocial status following a 12-week tai chi exercise programm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 313-329. 

  28. Yeh, G. Y., Wayne, P. M., & Phillips, R. S. (2008). Tai chi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Medical Sport Science, Basel, Karger, 52, 195-208. http://dx.doi.org/10.1159/000134300. 

  29. Yu, D. S., Lee, D. T., & Woo, J. (2010). Improv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392-40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198.x. 

  30.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7, 361-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