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부전 환자의 우울 수준에 따른 자가간호행위
Self-Care Behavior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2 no.1, 2015년, pp.79 - 86  

이해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장준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성화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전국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  김종현 (BHS 한서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vels of self-care behavior according to levels of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F).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were 169 outpatients with HF who being seen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 우울과 관련된 연구에서도 CES-D를 16점을 기준으로 우울군을 분류하고 있지만[18], Lee 등[19]은 16점-24점 미만을 우울경향군, 24점 이상을 임상적 우울군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부전환자의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우울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Lee 등[19]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세 군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자가간호행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좀 더 민감하게 고려하여야 할 우울수준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부전의 증상은 어떠한가? 심부전은 피로, 허약감, 호흡곤란, 전신부종과 같은 신체적 증상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자존감 저하와 같은 정신적 증상을 동반하며[1], 심부전 환자의 우울 유병률은 평가방법에 따라 9∼60%로 보고된다[2]. 심부전 환자들은 심부전 병력이 없는 환자들보다 우울에 취약하며, 심부전 병력이 없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과 비교하였을 때 심부전 환자는 동년배나 같은 성별 내에서 더 높은 수준의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심부전 환자의 자가 간호행위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심부전 환자의 자가 간호행위에는 운동(신체활동), 식이, 증상 관찰, 수분 제한, 투약, 금연, 금주, 체중조절 등이 포함되며, 심부전 환자의 10.3%만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자가간호행위를 이행하고 있다[7].
우울 측정도구인 CES-D의 최초 개발자는 누구이며 초기 절단점과 한국에서의 절단점 차이는 어떠한가?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은 국제적으로 지역사회의 일반인구 및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우울 측정도구로[16], 우울수준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하다. CES-D의 최초 개발자인 Radloff [16]는 16점을 절단점으로 제시하였고, 한국에서는 한국인의 정서를 고려하여 24점을 절단점으로 제시하였다[17]. 국내 우울과 관련된 연구에서도 CES-D를 16점을 기준으로 우울군을 분류하고 있지만[18], Lee 등[19]은 16점-24점 미만을 우울경향군, 24점 이상을 임상적 우울군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Zambroski CH, Moser DK, Bhat G, Ziegler C. Impact of symptom prevalence and symptom burden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05;4(3):198-206. 

  2. Rutledge T, Reis VA, Linke SE, Greenberg BH, Mills PJ. Depression in heart failure: a meta-analytic review of prevalence, intervention effects, and associations with clinical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06;48(8):1527-1537. 

  3. Lesman-Leegte I, Jaarsma T, Coyne JC, Hillege HL, Van Veldhuisen DJ, Sanderman R. Quality of life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A comparison betwee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age-and gender-matched community controls. Journal of Cardiac Failure. 2009;15(1):17-23. http://dx.doi.org/10.1016/j.cardfail.2008.09.006 

  4. Bekelman DB, Havranek EP, Becker DM, Kutner JS, Peterson PN, Wittstein IS, et al. Symptom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ac Failure. 2007;13(8):643-648. http://dx.doi.org/10.1016/j.cardfail.2007.05.005 

  5. Albert NM, Fonarow GC, Abraham WT, Gheorghiade M, Greenberg BH, Nunez E, et al. Depression and clinical outcomes in heart failure: An OPTIMIZE-HF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09;122(4):366-373. http://dx.doi.org/10.1016/j.amjmed.2008.09.046 

  6. Jiang W, Kuchibhatla M, Cuffe MS, Christopher EJ, Alexander JD, Clary GL, et al. Prognostic value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Circulation. 2004;110(22):3452-3456. http://dx.doi.org/10.1161/01.CIR.0000148138.25157.F9 

  7. Riegel B, Vaughan Dickson V, Goldberg LR, Deatrick JA.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heart failure self-care. Nursing Research. 2007;56(4):235-243. http://dx.doi.org/10.1097/01.NNR.0000280615.75447.f7 

  8. Son YJ, Kim SH, Kim GY. Factors influencing adherence to self car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3):244-254. 

  9. Lee SH, Ahn SH. Self care compliance,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5;12(2):186-194. 

  10. Artinian NT, Magnan M, Sloan M, Lange MP. Self-care behaviors amo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eart & Lung. 2002;31(3):161-172. http://dx.doi.org/10.1067/mhl.2002.123672 

  11. Rockwell JM, Riegel B. Predictors of self-care in persons with heart failure. Heart & Lung. 2001;30(1):18-25. 

  12. Holzapfel N, Lowe B, Wild B, Schellberg D, Zugck C, Remppis A, et al. Self-car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Heart & Lung. 2009;38(5):392-397. http://dx.doi.org/10.1016/j.hrtlng.2008.11.00120 

  13. DiMatteo MR, Lepper HS, Croghan TW. De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noncompliance with medical treatment: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patient adherenc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0;160(14):2101-2107. 

  14. Gehi A, Haas D, Pipkin S, Whooley MA. Depression and medication adherence in out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Findings from the Heart and Soul Stud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5;165(21):2508-2513. 

  15.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385-401. 

  16. Bae SW, Sin W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ES-D Scal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An application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5;18:165-190. 

  17. Shin SC, Kim MK, Yun KS, Kim JH, Lee MS, Moon SJ, et al.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Its us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1;30(4):752-767. 

  18. Suh GH, Cho DY, Rhoo IK, Yeon BK, Choi IG, Cho MJ.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among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1998;2(1):49-60. 

  19. Lee H, Kim I, Lim Y, Jung HY, Park HK. Depression and sleep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eriatric Nursing. 2011;32(6):408-417. 

  20. Lipkin DP, Scriven AJ, Crake T, Poole-Wilson PA. Six minute walking test for assessing exercise capacity in chronic heart failure. British Medical Journal (Clinical Research Ed.). 1986;292(6521):653-655. 

  21. Sung JD, On YK, Kim HS, Chae IH, Sohn DW, Oh BH, et al.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y Scale/Index (KASI). Korean Circulation Journal. 2000;30(8):1004-1009. 

  22. Jaarsma T, Stromberg A, Martensson J, Dracup K.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European Heart Failure Self-Care Behaviour Scale.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2003;5(3):363-370. 

  23. Kato N, Kinugawa K, Ito N, Yao A, Watanabe M, Imai Y, et al. Adherence to self-care behavior and factors related to this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in Japan. Heart & Lung. 2009;38(5):398-409. http://dx.doi.org/10.1016/j.hrtlng.2008.11.002 

  24. Riegel B, Moser DK, Anker SD, Appel LJ, Dunbar SB, Grady KL, et al. State of the science: Promoting self-care in persons with heart failur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9;120(12): 1141-1163.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9.192628 

  25. Kahng SK, Kwon TY.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depressive symptoms across lifespan.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08;30:332-355. 

  26. Kim JS, Shin KR. A study on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2):352-361. 

  27. Dimos AK, Stougiannos PN, Kakkavas AT, Trikas AG. Depression and heart failure. Hellenic Journal of Cardiology. 2009;50(5):410-417. 

  28. Musselman DL, Evans DL, Nemeroff CB.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to cardiovascular disease: Epidemiology, biology, and treatmen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98;55(7):580-592. 

  29. Artinian NT, Artinian CG, Saunders MM. Identifying and treating depression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04;19(6 Suppl):S4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