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 및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Identity and Administration of Toy Library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4 no.3, 2013년, pp.75 - 98  

이종문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곳은 9.8%(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자치단체의 장난감도서관 조례(45%) 또는 법적 제도와 관계없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의 경우에도 82.4%가 장난감 대여와 놀이 자료 제공 및 프로그램 보급, 문화 활동 서비스로 나타날 정도로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에 따른 동 법에서 말하는 도서관과는 그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법상의 법적 등록기준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기준으로 건물면적은 96.1%가, 열람석은 92.3%가, 보유 자료는 45.1%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서배치의 경우는 배치한 곳이 13.7%에 불과하였다. 셋째 예산의 경우 대부분이 소요 예산의 70%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치단체들이 제정하는 장난감도서관 관련 조례 근거에 도서관법을 포함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장남감도 서관들이 도서관법상의 법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서관법에 의해 등록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장난감도서관 운영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가 예산을 현실화하여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oy librari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identity and administration of toy library and so to propose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tatus of toy librar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ly 9.8%(5) of 51 toy librarie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장난감도서관의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을 관련법과 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도서관법에서 정하고 있는 도서관의 법적 요건 등을 토대로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그런 다음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장난감도서관에 대한 문헌정보학분야에서의 연구는 발견하기 어려울 정도로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타의 분야에서 그간 이루어진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보면, Dockrell과 wilkinson은 스코틀랜드의 두 도시에 있는 도서관을 중심으로 운영자, 이용자 등을 심층 면담하여 장난감 도서관이 사용자를 위해 할 수 있는 여러 역할과 장난감 도서관의 궁극적인 목표와 실체에 대해 연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장난감도서관의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을 관련법과 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도서관법에서 정하고 있는 도서관의 법적 요건 등을 토대로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 20) SSWB 서비스의 목적은 아이들의 성장에 필요한 놀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역의 어린이와 성인에게 좋은 품질의 장난감, 활동 및 정보의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평가의 목적은 이 서비스가 목적에 부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조사하는 것과 SSWB에 의해 정의된 목적에 따라 지역 사용자를 돕기 위한 부가적인 요소가 무엇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沈剑娜는 장난감 도서관의 유래와 발전 과정을 되짚어보고, 그것이 사회에 기여하는 바와 특수한 집단 속에서 운용되고 기능하는 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일본도서관협회 장애인서비스위원회는13) “장난감도서관의 목적은 장난감으로 노는 것, 장난감도서관에서 다른 아이들과 접해 봄으로써 어린이의 발달과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다. 또한 장애아가 가진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법적 위상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법적 위상을 관련법과 선행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도서관법상의 도서관에 대한 정의와 기준 등을 토대로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도서관법시행령 제3조와 제4조의 1항에서 정하고 있는 도서관의 시설과 도서관자료 기준, 사서배치 기준을 토대로 장난감도서관이 도서관법에서 말하는 도서관으로서의 요건을 어느 정도 수준 갖추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 하지만 이시스템에 등록된 장난감도서관은 2013년 6월 현재 3개관[소꿉놀이 장난감 작은도서관(광주), 하늘소 장난감 도서관(경기), 창원시아이세상장난감도서관(경남)]에 불과할 정도로 현황이 파악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장난감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다.
  • 따라서 장난감도서관이 도서관법에서 말하는 도서관의 정체성을 갖기 위해서는 동 법 제2조 1, 2, 3항의 정의에 합당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를 바탕으로 장남감도서관의 도서관적 정체성을 살피고자 한다. 첫째 장난감도서관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보면, 문헌정보학용어사전에서는10) “대출용 장난감을 보유하고 있는 도서관”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키피디아에서는 장난감도서관을 무엇이라 정의하는가? 첫째 장난감도서관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보면, 문헌정보학용어사전에서는10) “대출용 장난감을 보유하고 있는 도서관”으로 정의하고 있다. 위키피디아에서는11) 장난감도서관을 “장난감, 퍼즐, 게임들을 빌려주거나 임대해주는 렌탈샵 또는 가족 자원 프로그램 형태로 기능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곳은 9.8%(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자치단체의 장난감도서관 조례(45%) 또는 법적 제도와 관계없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의 경우에도 82.4%가 장난감 대여와 놀이 자료 제공 및 프로그램 보급, 문화 활동 서비스로 나타날 정도로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에 따른 동 법에서 말하는 도서관과는 그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법상의 법적 등록기준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기준으로 건물면적은 96.1%가, 열람석은 92.3%가, 보유 자료는 45.1%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서배치의 경우는 배치한 곳이 13.7%에 불과하였다. 셋째 예산의 경우 대부분이 소요 예산의 70%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치단체들이 제정하는 장난감도서관 관련 조례 근거에 도서관법을 포함할 것을 제언하였다.
장난감도서관의 주된 자료와 서비스는 무엇인가? 문제는 정체성이다. 장난감도서관의 주된 자료는 <장난감>이고, 서비스는 장난감 대여와 장난감을 매개로 하는 <놀이 프로그램>과 이것과 관련한 부모교육 등이다. 물론 도서와 시청각자료 등 도서관법에서 말하는 도서관자료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난감도서관도 있으나, 핵심 자료와 서비스가 장난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인용 2013. 7. 10]. 

  2. 김수정. 전국 장난감도서관의 운영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2013. (Kim, Soo-Jung. Study of the operations and the development plan on Toy Library in Korea. M.A. Sookmyung Women's University.) 

  3. 도쟁이 홈페이지. [인용 2013. 6. 22]. 

  4. 동윤진. 어린이 도서관과 장난감 도서관에 대한 실태 및 부모인식조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2009. (Dong, yoon Jin, An investigation of parents' recognition and reality concerning toy libraries and children libraries. M.D. thisis. Soongsil University.) 

  5.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cited 2013. 6. 26]. 

  6. 유해미, 양미선, 송신영. 지역사회내 육아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12. (Yu, Hae Mi, yang, Mi Seon, Song, Sin Young. Community Care Support Service Delivery Improvement Status and Research. Seoul: Parenting Policy Institute, 2012.) 

  7. 일본도서관협회 장애인서비스위원회 편, 도서관운동연구회 역.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서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2000. (Disability Services Commission of Japan Library Association service, library study group translation.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oul: Korea Blind Union, 2000.) 

  8. 장경희. "한국 장난감도서관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부모교육연구, 5권, 2호(2008), pp.79-100. (Jang, Kyung Hee. "A research on management of toy library in Korea." Parents Education and Research, Vol.5, No.2(2008), pp.79-100.) 

  9.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홈페이지. [인용 2013. 6. 30]. 

  10. 최은희. 놀이감 대여 프로그램이 어머니-영아 상호작용과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2011. (Choi, Eun Hee. The Effects If the Rental Program of Toys on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Infants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Ph.D. Wonkwang University.) 

  11. 沈劍娜. "?童玩具圖書館的發展及其社會服務功能的探討." 圖書館理會?實?, 2013. pp.16-18. (Shen, Jian Na. "Children's toys library development and their social service function." Library Theory and Practice: 2013.) 

  12. Dockrell, Julie and wilkinson, J. Eric. "Toy libraries: what's in a nam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49, No.1(May 1989), pp.27-36. 

  13. ITLA Home page. [인용 2013. 7. 1]. 

  14. Malik, Abida, and Csikar, Julia. Sure Start West Bowling Local Evaluation of Toy Library. [cited 2013. 6. 28]. 

  15. Mayfield, Margie I. "Toy libraries: Promoting play, toys, and family support internationall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87, Issue1(January 1993), pp.1-13. 

  16. Moore, Julia E. A History of Toy Lending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Since 1935, Master's Research Paper, Kent State Univers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95. 

  17. National Association of Toy and Leisure Libraries. Toy Libraries their benefits for children, families and communities. London: Capacity and Play Matters, 2007. [cited 2013. 6. 20]. 

  18. Powell, Robat and Seaton, Nia. A Treasure Chest of Service : the Role of Toy Libraries Within Play Policy in Wales. Slough: NFER, 2007. 

  19. WAATL. A Guide to Starting and Running a Community-Based Toy Library. 2010, p.4-5. [cited 2013. 6. 24]. 

  20. Wikipedia Home page. [cited 2013. 6. 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