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Effects of the Family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for Families of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1, 2013년, pp.133 - 142  

임희수 (수원여자대학교 간호과) ,  한금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Family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FREP) on family hardiness, family sense of coherence,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evaluation, and adaptation in families of patients with chronic s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2회기: 가족의 규칙이 의미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가족의 좋은 규칙, 나쁜 규칙을 찾아보도록 하여 잘못된 규칙에 대해서는 지침으로 바꾸는 과정을 통해 가족 전체뿐 아니라 가족구성원의 성장발달에 도움이 되는 건강한 가족규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 5) 5회기: 위기 상황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대처능력에 필수적인 요인들과 위기중재가 필요한 상황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다양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방법을 확인하였다. 가족들이 알고 싶어 하는 위기 상황과 각 가족들의 위기 상황 관리방법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장단점에 대해 토의하였다.
  • 연구 결과,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은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의 극복력 증진에 초점을 두어 가족극복력의 요인을 프로그램 구성에 포함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긍정적인 가족 적응을 이끄는 효과적인 간호중재인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을 임상에서나 지역사회에서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을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자 한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중재기간을 길게 하여 가족극복력 증진과 긍정적인 가족 적응의 지속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도 필요할 것이며, 가족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으며 대상자를 무작위로 배정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으므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 10) 10회기: 가족의 자원을 활용하는 단계로 가족, 친구, 이웃 등의 사회적 자원을 파악하고 지지받는 정도를 확인하였다.대상자들이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인 만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자유롭게 이야기함으로써 지지모임 형성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 가족의 극복력과 가족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 본 연구는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의 강인성 점수는 프로그램 실시 후에 증가되어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이 가족강인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극복력의 요인인 가족강인성, 가족일관성,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가족위기 대처전략, 사회적 자원을 증진시켜 긍정적인 가족 적응을 이끄는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은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의 극복력 증진에 초점을 두어 가족극복력의 요인을 프로그램 구성에 포함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긍정적인 가족 적응을 이끄는 효과적인 간호중재인 것이 확인되었다.
  • , 2004; Lee, 2000). 이는 가족 내에 발생한 문제를 이해하고 의미를 형성하며 관리할 수 있는 일관적인 특성에 대한 것으로 본 프로그램에서는 현재 가족 내에 만성조현병 환자가 발생한 위기 상황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가족구성원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여 표현하며, 위기 상황의 관리방법에 대한 토의를 통해 가족의 위기 상황에 대한 의미를 찾고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 볼 수 있겠다.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점수도 마찬가지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의사소통 능력이 증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 이에 본 연구자는 만성조현병 환자의 가족극복력 증진을 위해 McCubbin과 McCubbin (1993)의 극복력 모델(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및 관련 문헌 고찰을 기틀로 하여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가설 1: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강인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2) 가설 2: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일관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3) 가설 3: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점수가 높을 것이다.
  • 4) 가설 4: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위기 대처 전략 점수가 높을 것이다.
  • 5) 가설 5: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회적 자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6) 가설 6: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가족 적응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강인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일관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4: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위기 대처 전략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5: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회적 자원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6: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 적응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현병 환자의 가족 구성원들은 어떤 영향을 받는가? 가족 중에 조현병 환자가 발생하면 그 가족구성원들은 불안, 우울 및 적개심, 죄책감, 공포감, 수치심, 분노 등의 정서적 반응과 고통이 나타난다(Lee et al., 2000). 또한 환자의 질병이 만성화 되어감에 따라 경제적, 사회적 손실 등을 경험하게 되며, 가족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악화되거나 가족 내 갈등이 증가하여 만성 조현병환자와 함께 생활하는 가족들은 가족스트레스가 높고 고통과 부담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Han, 2005). 이러한 가족의 스트레스는 가족의 적응을 어렵게 하여, 가족구성원에게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일으키고 이러한 가족구성원의 반응이 다시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적 과정을 초래하게 된다(Song, 1999).
만성조현병은 어떤 기능에 이상을 가지고 있는가? 만성조현병은 인지, 지각, 행동, 정서, 사회활동 등 다양한 정신기능에 이상을 가지고 있는 질병으로서 증상뿐만 아니라 경과·치료 반응·예후도 다양하다. 또한 기능이 퇴행되어 정신·심리·기능적 결함을 보이므로, 사회에 복귀한 후에도 사회적·직업적 장애를 보이면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여 재발이 잦고 치료가 장기화되는 특징이있다(Leeet al.
조현병환자 가족들의 스트레스는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또한 환자의 질병이 만성화 되어감에 따라 경제적, 사회적 손실 등을 경험하게 되며, 가족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악화되거나 가족 내 갈등이 증가하여 만성 조현병환자와 함께 생활하는 가족들은 가족스트레스가 높고 고통과 부담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Han, 2005). 이러한 가족의 스트레스는 가족의 적응을 어렵게 하여, 가족구성원에게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일으키고 이러한 가족구성원의 반응이 다시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적 과정을 초래하게 된다(Song,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Y. H. (2006). Family resilience: Implications for nursing practice. Journal of Nursing Query, 15(1), 5-24. 

  2. Anderson, C. M., Hogarty, G. E., & Reiss, D. J. (1980). Family treatment of adult schizophrenic patients: A psycho-educational approach. Schizophrenia Bulletin, 6(3), 490-505. http://dx.doi.org/10.1093/schbul/6.3.490 

  3. Antonovsky, A., & Sourani, T. (1988). Family sense of coherence and family adap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1), 79-92. http://dx. doi.org/10.2307/352429 

  4. Bernheim, K. F. (1982). Supportive family counseling. Schizophrenia Bulletin, 8(4), 634-641. http://dx.doi.org/10.1093/schbul/8.4.634 

  5. Chung, S. A., & Yang, S. (2004). The effects of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families with schizophren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7), 1155-1163. 

  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http://dx.doi.org/10.37 58/brm.41.4.1149 

  7. Han, K. S. (2005).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family care-giver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3), 268-275. 

  8. Han, K. S., Kim, Y. J., Lee, P. S., Lee, S. J.,Park, E. S., Park, Y. J., et al. (2004). Construct a structural model for family function of the family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2), 146-155. 

  9. Harrison, C. A., Dadds, M. R., & Smith, G. (1998). Family caregivers' criticism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Psychiatric Services, 49(7), 918-924. 

  10. Kim, H. J. (2002). The Study of stress coping methods through the family func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Kobasa, S. C., Maddi, S. R., & Kahn, S. (1982). Hardiness and health: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1), 168-177. http://dx.doi.org/10.1037/ 0022-3514.42.1.168 

  12. Lee, E. H. (2000). A study on the level of family adaptation to schizophrenic patients: An application of the family resiliency mode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1, 173-200. 

  13. Lee, I. S. (2004).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family psycho-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of family resilience-targeted the family with mental illness childre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9(2), 221-239. 

  14. Lee, S. A. (2004). The influence of the family resilience with the family of chronic illness child on family adap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5. Lee, Y. A. (1995). Family health: Research on family health; A study of perceived family adap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4(2), 147-164. 

  16. Lee, Y. H., Shim, J. C., Lee, S. G., Seo, Y. S., Kim, Y. K., Kim, K. S., et al. (2000). Effect of a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for the families of schizophren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479-494. 

  17. McCubbin, H. I., Olson, D. H., & Larsen, A. S. (1981). F-COPES: 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evaluation scales. In H. I. McCubbin & A. I. Thompson (Eds.),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195-207).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18. McCubbin, H. I., Patterson, J., & Glynn, T. (1996). Social support index (SSI) (1982). In H. I. McCubbin, A. I. Thompson & M. A. Mc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357-389).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19. McCubbin, H. I., Patterson, J. M., Larsen, A. S., Olson, D. H., Glynn, T., & McCubbin, M. A. (1982). Social support index (SSI). In H. I. McCubbin, A. I. Thompson & M. A. Mc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357-390). Me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20. McCubbin, H. I., Thompson, A. I., & McCubbin, M. A. (1996).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M. A. McCubbin, H. I. McCubbin & A. I. Thompson (Eds.), Family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FPSC) (pp. 103-178).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21. McCubbin, M. A., & McCubbin, H. I. (1993). Families coping with illness: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C. B. Danielson, B. Hamel-Bissell & P. Winstead-Fry (Eds.), Families, health, and illness: Perspectives on coping and intervention (pp. 21-63). St. Louis, MO: Mosby. 

  22. McCubbin, M. A., McCubbin, H. I., & Thompson, A. I. (1986). Family hardiness index (FHI). In H. I. McCubbin, A. I. Thompson & M. A. Mc-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239-305).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23. McCubbin, M. A., McCubbin, H. I., & Thompson, A. I. (1988). Family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FPSC). In H. I. McCubbin, A. I. Thompson & M. A. Mc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639- 686).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24. Min, H. S. (2007).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amily resiliency improvement program for improving family adaptation of person with brain inju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25. Olson, D. H., Portner, J., & Lavee, Y. (1985). FACES-III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26. Satir, V., & Baldwin, M. (1983). Satir step by step: A guide to creating change in families.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27. Seo, H. H., & Hah, Y. S. (2003). The effect of family psychoeducation on knowledge and caregiving experience for the family with schizophrenic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4), 565-575. 

  28. Seomun, G. A. (2000). Development of family with elderly dementia patient adaptation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9. Song, Y. S. (1999). The effect of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for families of chronic mentally il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8(1), 134-142. 

  30. Walsh, F. (2003). Family resilience: A framework for clinical practice. Family Process, 42(1), 1-18. http://dx.doi.org/10.1111/j.1545-5300.2003.00001.x 

  31. Yang, S., & Jang, M. H. (2000). Awareness of need and degree of participation for the role of family members as psychiatric patients treatment partners, and the burden in chronic mentally ill patients' fami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1), 94-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