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산책 프로그램이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의 입원스트레스와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Forest Walking Program on Stress and Recovery of Schizophrenic Patients in a Closed Ward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86 - 95  

김은주 (현대사랑병원 간호부) ,  박정화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est walking program on stress and recovery among schizophrenic patients in a closed ward.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36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dmit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숲치료를 통한 자연과의 만남이 정신질환자들의 심리적 안정과 건강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폐쇄병동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조현병 환자의 경우도 숲치료가 입원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회복능력을 증가시키는지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산림 및 걷기운동 등을 포함한 숲산책 프로그램을 간호중재로 구조화하여 폐쇄병동에 입원한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스트레스의 감소와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제1가설 숲산책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는 입원스트레스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2가설 숲산책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는 회복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현병 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의 목표는 무엇인가? 따라서 약물치료와 함께 조현병 환자가 퇴원 후 돌아가야 할 지역사회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고 질병의 재발과 만성화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20,21]. 조현병 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퇴행을 예방하고 정신적 불구를 가지고도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중재 방법으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기술을 증진시키고, 독립심과 사회성을 발달시키며,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을 촉진시키고 성취동기를 유발하여 사회적 재활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9,21]. 하지만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병동 내에서의 활동 프로그램으로는 이런 목표에 도달하는데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새로운 재활치료로 명상요법[22], 원예치료[16], 숲을 이용한 치료 프로그램[23]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조현병이란 무엇인가? 조현병은 망상이나 환청, 혼란스런 행동, 정서적 둔감의 증상과 함께 사회적 기능의 장애가 나타나는 정신질환으로 우리나라의 평생 유병율은 0.6%, 세계적인 평생 유병율은 약 1%정도로 추정된다[1]. 2014년도에 조현병으로 입원한 환자는 24,000명, 외래환자는 94,000명으로 불안장애나 알코올 사용장애 등 다른 정신질환에 비해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입원비도 2010년 1,897억원에서 2014년 2,334억원으로 증가하여 국가와 가정의 경제적 부담도 매우 커지고 있다[2].
조현병 환자들에게 있어서 회복이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치료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회복은 질환이나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포괄적으로 적용해야하는 개념으로 특히 조현병 환자들에게 있어서 회복은 단순히 증상의 호전이나 치료가 끝난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치료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10]. 왜냐하면 조현병은 신경인지기능과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반응과 같은 생물학적 요소와 가족관계[3-7], 스트레스가 되는 삶의 사건들, 정신사회재활 치료 [11-14]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소와 상호작용하며 장기적인 질병과정을 보이는 만성질환이기 때문이다. 조현병 환자의 회복과 관련된 연구들로는 회복에 대한 개념과 현상을 다양하게 설명하기 위해 회복의 속성을 밝히고 개념적 모델을 개발한 연구[15]나 정신사회 재활[16], 삶의 질 향상[17]에 관한 것들이 있으며,회복 경험을 탐색하거나[18], 치료자의 회복에 대한 인식[19],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Society for Schizophrenia Research. Schizophrenia. Korea Society for Schizophrenia Reserch;2013 October [cited 2013 October.21]. available from: http://www.schizophrenia.or.kr/network.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Early detection of schizophrenia is very important. Press release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August [cited 2015 August 31];1-11. Available from: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4869. 

  3. Talwar N, Crawford M, Maratos A. Nur U, McDermott O. & Procter S. Music therapy for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6;189:405-409. http://dx.doi.org/10.1192/bjp.105.015073. 

  4. Kim EJ, Kwon ES, Lee HS, Lee SY, Park IH, Jung DN, et al. Effects of a sterss-management program on stress coping method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1: 20(4):423-33. 

  5. Park SA, Sung KM.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of stress for hospitalized schizophrenic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4;44(3):339-349. 

  6. Karademas EC, Tsagaraki A, Lambrou N. Illness acceptance, hospitalization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in a sample of chronic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8):1243-1250. http://dx.doi.org/10.1177/1359105309345169. 

  7. Rusch N, Muller M, Lay B, Corrigan PW, Zahn R, Schonenberger T, et al. Emotional reactions to involuntary psychiatric hospitalization and stigma-related stress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014;264(1):35-43. http://dx.doi.org/10.1007/s00406-013-0412-5. 

  8. Jung JE. The hospital experience of psychiatric patient: A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0;9(2):156-169. 

  9. Harting T, Evans GW, Jamner L, Davis DS, Garling T. Tracking restoration in natural and urban field settings. Journal of Environment Psychology. 2003;23(2):109-123. 

  10. Higgins A, Mcbennett P, The petals of recovery in a mental health context.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7;16(14):852-856. http://dx.doi.org/10.12968/bjon.2007.16.14.24322. 

  11. Barbic S1, Krupa T, Armstrong I.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iveness of a modified recovery workbook program: preliminary findings.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 2009;60(4):491-497. http://dx.doi.org/10.1176/appi.ps.60.4.491. 

  12. Keum R, Kim SA. Perceived functional health patterns and recovery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2;21(3):238-249. 

  13. Lysaker P, Buck K. Moving toward recovery within clients' personal narratives: directions for a recovery-focused therapy.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 2006;44(1):28-35. 

  14. Irish Mental Health Commission. A vision for a recovery model in Irish mental health services. Dublin: Irish Mental Health Commission; 2005. 

  15. Davidson L1, Chinman M, Sells D, Rowe M. Peer support among adul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a report from the field. Schizophrenia Bulletin. 2006;32(3):443-450. http://dx.doi.org/10.1093/schbul/sbj043. 

  16. Eum EY, Kim HS. Effects of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elf-efficacy, stress response, and 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6;25(1):48-57. http://dx.doi.org/10.12934/jkpmhn.2016.25.1.48. 

  17. Park SA, Sung KM. Effects on stres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hospitaliz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2016;46(4):583-597. 

  18. Kim HJ. Meaning of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findings of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9;18(4):379-89. 

  19. Hyun MS, Park EY, Kim YH, Kim YR, Cho MS. Mediating effect of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relation between hope and recovery of community dwelling patients with a mental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4;23(3):156-164. http://dx.doi.org/10.12934/jkpmhn.2014.23.3.156. 

  20. Jang SJ, Hah YS. The effect of meditation programs on stress responses, anxiety, and self-esteem in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8;17(3):302-310. 

  21. Kim HJ, Kim GH. Psychiatric mental health professional' perception of recovery state from the psychiatric dis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2;11(4):452-461. 

  22. Kim MH, Wi AJ, Yoon BS, Shim BS, Han YH, Oh EM, et al.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ed in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2015;104(1):133-139. http://dx.doi.org/10.14578/jkfs.2015.104.1.133. 

  23. Cho HS, Cho SM, Cha JG.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healing program o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8;13(3):727-743. http://dx.doi.org/10.17315/kjhp2008.13.3.010. 

  24. Choi TH.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s on obese elementary student's physique,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Jeju:Jeju University. 2013.p1-61. 

  25. Kim KW. A study on the forest management methods for therapeutic forest, [doctoral dissertation]. Seoul:Kookmin University. 2011.p1-123. 

  26. Corrigan PW, Gifford D,Rashid F,Leary M, Okeke I. Recovery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1999; 35(3):231-239. http://dx.doi.org/10.1023/A:1018741302682. 

  27. Lee JH. A study on the effect of coercion on the recovery of the person with mental illness. [doctoral dissertation]. Jinju:kyungsang University; 2009.p1-61. 

  28. Honigfeld G, Gillis RD, Klett J. NOSIE-30: A treatment sensitive ward behavior scale. Psychological Reports, 1966;19:180-182. 

  29. Ahn HR.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Nurses' observation scale for inpatient evaluation in the Korea. [master thesis]. Seoul:Yonsei University;2002.p1-45. 

  30. Joo SO. Effects of forest walking program on weight loss and depression of female schizophrenics. [master's thesis]. Seoul:Eulji University; 2008.p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