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댐 하류지역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비교
An Ecological Comparis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Downstream Region of Large Dam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1, 2013년, pp.52 - 63  

김재성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황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준길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지리적으로 인접하지만 다른 수계로 분류되는 전라북도 무주군 일대의 용담댐 하류역과 경상남도 합천군 일대의 합천댐 하류역에 각각 댐에 의한 방류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대상지점(YE-1, 2, 3; HE-1, 2, 3) 및 대조지점(YC-1, 2; HC-1, 2)을 선정하여 각 지점에서 출현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구성, 군집분석, 섭식기능군 및 서식기능군, 군집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채집은 각 댐의 하류역에서 Surber net($30cm{\times}30cm$)을 이용하여 3회에 걸쳐 정량채집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용담댐 하류지역에서 총 4문 6강 12목 33과 69종 6,369개체가 출현하였고, 하천의 주요 분류군인 EPT-group(Ephemeroptera, Plecoptera, Trichoptera-group)은 46종(66.7%)을 차지하였다. 합천댐 하류지역에서는 총 4문 5강 13목 44과 81종 5,728개체가 출현하였고, EPT-group은 45종(55.6%)을 차지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용담댐 하류지역에서 우점도지수는 0.27~0.50(Mean${\pm}$SD $0.38{\pm}0.09$), 다양도지수는 2.22~2.97($2.67{\pm}0.29$), 균등도지수는 0.63~0.76($0.72{\pm}0.06$), 풍부도지수는 4.43~7.06($5.69{\pm}0.99$)으로 분석되었고, 합천댐 하류지역에서 우점도지수는 0.40~0.81($0.59{\pm}0.18$), 다양도지수는 1.40~2.39($2.00{\pm}0.43$), 균등도지수는 0.38~0.68($0.56{\pm}0.13$), 풍부도지수는 4.04~5.80($4.95{\pm}0.70$)으로 분석되었다. 섭식기능군은 용담댐과 합천댐 하류지역 모두에서 filtering-collectors와 gathering-collector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서식기능군은 burrowers, clingers, swimmer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용담댐 유역의 대상하천에서 수환경 변화에 저항력과 회복력이 강한 I특성군에 속하는 집단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합천댐 유역은 대조하천에서 수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력과 회복력이 약한 III특성군에 속하는 종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형댐 하류지역의 하천생태계 안정성은 환경 변화 및 오염에 강한 I특성군에 속하는 군집이 좌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investigated in Yongdam-dam and Hapcheon-dam resions from June to October 2011, Korea. Yongdam-dam and Hapcheon-dam are geographically contiguous, but they are classified as other water system. Experiment site(YE-1, 2, 3; HE-1, 2, 3) which is thought to be affected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용담댐과 합천댐 하류지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조성, 군집분석, 기능군, 군집안정성 등을 분석하고 대형댐 하류지역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댐 하류지역 하천생태계의 복원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담댐의 위치는 어디인가? 용담댐과 합천댐은 홍수조절, 수력발전, 관개, 용수공급 등의 여러 목적으로 이용되는 다목적댐이다. 용담댐은 전라 북도 진안군과 무주군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2년 11월에 착공하여 2001년 10월에 준공된 우리나라에서 5번째로 규모가 큰 댐으로 규모는 높이 70m, 길이 498m, 총저수량 8억 1,500만㎥이다. 합천댐은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회양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4년 4월에 착공하여 1988년 12월에 준공되었다.
용담댐과 합천댐의 이용 목적은 무엇인가? 용담댐과 합천댐은 홍수조절, 수력발전, 관개, 용수공급 등의 여러 목적으로 이용되는 다목적댐이다. 용담댐은 전라 북도 진안군과 무주군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2년 11월에 착공하여 2001년 10월에 준공된 우리나라에서 5번째로 규모가 큰 댐으로 규모는 높이 70m, 길이 498m, 총저수량 8억 1,500만㎥이다.
합천댐의 총저수량은 얼마인가? 합천댐은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회양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4년 4월에 착공하여 1988년 12월에 준공되었다. 댐의 규모는 높이 96m, 길이 472m, 총저수량 7억 9,000만㎥이다. 대형댐은 하천의 유량을 조절하는 긍정적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하천생태계를 단절화하고 수로를 인위적으로 변화시키는 큰 요인이 되어 왔다 (Dynesius and Nilsson, 1994; Dy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 Y.J., D.H. Won, D.H. Hoang, Y.H. Jin and J.M. Hwang(2003) Community Composition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s Insects According to Stream Order from the Gapyeong Creek in Gyeonggi-do, Korea. Th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1): 2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e, Y.J., S.Y. Park and J.M. Hwang(1998) Description of larval Nigrobaetis bacillus (Kluge)(Ephemeroptera: Baetidae) with a key to the larvae of the Baetida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1(4): 282-2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xter, R.M.(1997) Environmental effects of dams and impoundmen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8: 255-283. 

  4. Craig, D.A.(1987) Some of what you should know about water: or K.I.S.S. for hydrodynamics. Bulletin of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4: 178-182. 

  5. Cummins, K.W.(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 Am. Midl. Nat. 67:477-504. 

  6. Doeg, T.J. and J.D. Koehn(1994) Effects of draining and desilting a small weir on downstream fish and macroinvertebrates.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9: 263-277. 

  7. Dynesius, M. and C. Nilsson(1994) Fragmentation and flow regulation of river systems in the northern third of the world. Science 266: 753-762. 

  8. Dyson, M., G. Bergkamp and J. Scanlon(2003) Flow: The Essentials of Environmental Flow. IUCN, Gland, Swizerland and Cambrridge, UK, 118pp. 

  9. Hynes, H.B.N.(1970)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555pp. 

  10. Kawai, T. and K. Tanida(2005) Aquatic Insects of Japan: Manual with Keys and Illustrations.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342pp. 

  11. Kil, H.K., D.G. Kim, S.W. Jung, I.K. Shin, K.H. Cho, H.S Woo and Y.J. Bae(2007)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after a small dam removal from the Gyeongan stream in Kyeonggi-do,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5(4): 385-3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l, H.K., D.G. Kim, S.W. Jung, Y.H. Jin, J.M. Hwang, K.S. Bae and Y.J. Bae(2010) Impacts of impoundments by low-head and large dam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Korean streams and rive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3(2): 190-1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S.H.(2003)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of streams of the near Andong lake by using benethic macroinvertebrates. M. S. thesis, Univ. of Andong, Andong, Korea, 2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S.H.(2008) Influence of Muddy Water in Imha Reservoir on the Community Fluctu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ood Selection of Fishes. M. S. thesis, Univ. of Andong, Andong, Korea, pp. 2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H.G., S.W. Jung and J.K. Choi(2012) Spatial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in lake Hoengseong reg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6(1): 45-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M.J., J.Y. Park, J.K. Seo, H.J. Lee, E.W. Seo and J.E. Lee(2009) Community Structure and Cluster Analysis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Inflow and Outflow area of Ten Reservoirs of Nakdong River System. Journal of Life Science 19(12): 1758-17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argalef, D.R.(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18. McCafferty, W.P.(1981) Aquatic Entomology. John & Bartlett, Boston, 448pp. 

  19. McNaughton, S.J.(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0. Merritt, R.W., K.W. Cummins and M.B. Berg(2008)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4th ed. Kendall/Hunt Publish. Co. Dubuque, lowa, 1214pp. 

  21. Ministry of Environment(2006)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Guide, NER, 289pp. (in Korean) 

  22.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23. Poff, N.L. and D.D. Hart(2002) How dams vary and why it matters for the emerging science of dam removal, Bioscience 52:659-668. 

  24. Power, M.E., R.J. Stout, C.E. Cushing, P.P. Harper, F.R. Hauer, W.J. Matthews, P.B. Moyle, B. Statzner and I.R. Wais De Badgen(1988) Biotic and abiotic controls in river and stream communitie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7: 456-479. 

  25. Resh, V.H., H.V. Brown, A.P. Covich, M.E. Gurtz, H.W. Li, G.W. Minshall, S.R. Reice, A.L. Sheldon, J.B. Wallace and R.C. Wissmar(1988) The role of disturbance in stream ecology.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7: 433-455. 

  26. Ro, T.H. and D.J. Chun(2004) Functional Feeding Group Categorization of Korea Immature Aquatic Insects and Community Stability Analysi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2): 137-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Rosenberg, D.M. and V.H. Resh(1993) Freshwater Biomonitoring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Chapman & Hall, New York, 488pp. 

  28.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33pp. 

  29. Stanley E.H., M.A. Luebke, M.W. Doyle and D.W. Marshall(2002) Short-term changes in channel form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following low-head dam removal. J. N. Am. Benthol. Soc. 21: 172-187. 

  30. Tiemann, J.S., D.P. Gillette, M.L. Wildhaber and D.R. Edds(2004) Effects of Lowhead Dams on riffle-Dwelling Fishes and Macroinvertebrates in a Midwestern River.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3: 705-717. 

  31. Ward, J.V. and J.A. Stanford(1979) The Ecology of Regulated Streams. Plenum Press, New York, 398pp. 

  32. Wiederholm, T.(Ed.)(1983) 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s. Part 1-Larvae. Entomologica Scandinavica Suppliments. No. 19. 457pp. 

  33. Won, D.H., S.J. Kwon and Y.C. Jun(2005) 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415pp. (in Korean) 

  34. Yoon, I.B.(198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0 Aquatic Insect.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840pp. (in Korean) 

  35. Yoon, I.B.(1995) Aquatic Insects of Korea. Junghaengsa, 262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