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왕피천 유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Community Analysis and Bolog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Wangpi-cheon Watershe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3, 2013년, pp.327 - 343  

박영준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전용락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김기동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윤희남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남상호 (대전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환경부 지정 생태 경관보전지역인 왕피천 유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2012년 6월에서 9월까지 총 2회에 걸쳐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지점은 왕피천 유역의 핵심 및 완충구역을 중심으로 상류에서 하류에 걸친 총 11개 지점(본류 5개 지점, 지류 6개 지점)에 해당된다. 조사결과 총 5문 7강 15목 74과 155종이 확인되었으며, 분류된 종과 개체수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DI)는 평균 0.22로 낮게 나타났으며, 평균 종다양도지수(H')는 4.24로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조사된 섭식기능군을 이용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전과 후의 서식지 유형별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이후에 지류 94.51%, 본류 93.19%의 높은 유사도 지수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왕피천 유역에 다양한 종과 많은 개체수가 서식하고 있으며,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이후에 하천생태계의 기능적인 면 역시 잘 유지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청정한 하천에서 높은 값을 보이는 EPT 지수값 역시 62.9%로 높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ESB)와 한국오수생물지수(KSI)를 이용한 연구지역의 환경상태 및 생물학적 수질을 평가한 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는 평균 208.2로 매우 높게 나타나 '최우선보호수역'으로 판정되었으며, 한국오수생물지수는 평균 0.32로 생물학적 수질등급 'I등급'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ommunity analysis and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 from Wangpi-cheon watershed which is defined as conservation areas of ecosystem and landscape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Field survey of the study area was ca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한「2012년 생태·경관보전지역 정밀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하천생태계 생물다양성 및 수환경 지표생물을 대표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및 기능군 분석 그리고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통해 국내 최대 규모의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는 왕피천 유역의 하천생태계 평가 및 보전현황을 파악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며, 지속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생태계란? 하천생태계는 고도 구배에 따라 발원지에서 하구까지 단기간에 변하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게 흐르기 때문에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환경요인이 연속적으로 변하고, 그곳에 적응하여 서식하는 생물의 종류도 달라지는 독특한 생태계이다(Vannote et al., 1980).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채집 특징은? 기존 조사인 Won and Yeom(2003)의 경우 가을(9-10월) 에 1회성 조사를 실시하였고, Kwon and Park(2008)은 사계절(10월, 11월, 3월, 5월)을 실시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채집은 하천 기후 및 유량 등 환경요인이 비교적 안정적이며, 종 동정에 유리한 성충한 유충을 확보할 수 있는 시기에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Ro et al., 2006).
환경부를 비롯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생태계 보호지역 지정에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 2003). 그러나 급격한 산업 및 도시화에 의한 무분별한 개발과 허술한 보전 등의 인위적인 영향으로 그 구조와 기능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일부의 하천생태계는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하천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생물학적 측면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하천을 단위 생태계로 인식하여 그곳의 환경과 생물군집 및 인간의 영향을 총체적으로 규명하고, 보전 및 관리를 하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Bae and Lee, 2001).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환경부를 비롯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생태계 보호지역 지정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e, Y.J. and B.H. Lee(2001) Human impacts on stream ecosystems and freshwater arthropods in Korea. Entomological Research 131(2): 6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e, Y.J., D.H. Won, D.H. Hoang, Y.H. Jin and J.M. Hwang(2003) Community Composition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According to Stream Order from the Gapyeong Creek in Gyeonggi-do,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1): 2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e, Y.J., H.K. Kil and K.S. Bae(2005)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r uses in stream biomonitoring and restoration.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9: 5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onada, N., N. Prat, V.H. Resh and B. Statzner(2006) Developments in aquatic insect biomonitor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recent approache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51: 495-523. 

  5. Bray, J.R. and J.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 325-349. 

  6. Bronmark, C., J. Hermann, B. Malmqvist, C. Otto and P. Sjostrom(1984) Animal community structure as a function of stream size. Hydrobiologia 112: 73-79. 

  7. Brooks, S.S. and A.J. Boulton(1991) Recolonization dynam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fter artificial and natrual disturbances in an Australian temporary stream. Australian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42: 295-308. 

  8. Choi, A.R., S.J. Park, J.Y. Kim, M.Y. Song and D.S. Kong(2012)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dices in the Jinwi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1):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Davis, S.D., S.W. Golladay, G. Vellidis and C.M. Pringle(2003) Macroinvertebrate biomonitoring in intermittent coastal plain stream impacted by animal agricul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2: 1036-1043. 

  10. Giller, P.S. and B. Malmqvist (2003) The biology of stream and river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 York, 289pp. 

  11. Gray, L.J. and S.G. Fisher(1981) Postflood recolonization pathways of macroinvertebrates in a lowland Sonoran Desert stream.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06: 249-257. 

  12. Kim, J.R. and B.H. Hwang(2006) Monitering report of Wangpicheon basin ecology landscape conservation area.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pp. 163-179. (in Korean) 

  13. Kong, D.S.(1997)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Hongseong and Yesan County. Ministry of Environment (eds.), Natural Environment in Yesan, Seosan and Hongseong. pp. 155-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wak, I.S., M.Y. Song and T.S. Chon(2004) The effect of natural disturbanc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1): 87-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won, O.K., G.M. Park and J.S. Lee(1993) Coliured Shell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mpany, 401pp. (in Korean) 

  16. Kwon, O.S. and Y.J. Park(2008) Natural environmental survey of ecology landscape conservation area in Wangpi-cheon watershed.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pp. 95-144. (in Korean) 

  17. Kwon, S.J., Y.C. Jun, J.C. Jeong, S.C. Han and J.E. Lee(2012)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altitude at Jir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3(1, 2): 33-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J.W., J.K. Choi, S.H. Oh and G.W. Choi(2010) A study o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in nature sabbatical area of Unmuns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1): 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nat, D.R.(1988) Water quality assessment of streams using a qualitative collection method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7: 222-233. 

  20. McNaughton, S.J.(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Crassland. Nature 216: 168-169. 

  21. Merritt, R.W. and K.W. Cummins(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3th ed.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Dubuque, Iowa, 862pp. 

  22. Morse, J.C., Y.J. Bae, G. Munkhjargal, N. Sangpradub, K. Tanida, T.S. Vshivkova, B.X. Wang, L.F. Yang and C.M. Yules(2007) Freshwater biomonitoring with macroinvertebrates in East Asia.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5: 33-42. 

  23. NIER(2002) The 2nd National Ecosystem Survey Guid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98pp. (in Korean) 

  24. NIER(2012) Investigation of ecology landscape conservation area. - Wangpi-cheon and Gosanbong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263-305. (in Korean) 

  25. Park, Y.J.(2011)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its predic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Geum River. Ph. D. thesis, Univ. of Daejeon, Korea, 153pp. (in Korean) 

  26. Park, Y.J., H.M. Lim, K.D. Kim, Y.H. Cho, S.H. Nam and O.S. Kwon(2010) Community analysis based on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wangpi-che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56-5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Peitz, D.G.(2003) Macroinvertebrate monitoring as an indicator of water quality: Status report for Niobrara River, Agate Fossil Beds National Monument, 1989-2002, 13pp. 

  28. Ro, T.H., D.J. Chun, H.U. Lee, J.H. Park, S.J. Lee, J.H. Hwang and M.C. Kim(2006) Biota community change predicted program development by environment damage and restoration in rivers. - Imagination rivers continuum concept thesis and application -.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 282pp. (in Korean) 

  29. Rosenberg, D.M. and V.H. Resh(1993) Freshwater biomonitoring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Chapman and Hall, New York, 488pp. 

  30.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33pp. 

  31. Son, S.H., J.Y. Kim, J.I. Jo and D.S. Kong(2011) Altitudinal distribution aspect of benthic macroivertebrates in a mountain stream of Seorak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5): 680-6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Strayer, D.(1983) The effects of surface geology and stream size on freshwater mussel (Bivalvia Unionidae) distribution in south-eastern Michigan, U.S.A., Freshwater Biology 13: 253-264. 

  33. The Ministry of Environment(2006) Change and Notice of Ecological Scenary Preservation Region in Wangpi-cheon. Nature Policy Division, 7pp. 

  34. Underwood, A.J.(1996) Spatial and temporal problems with monitoring in G. Petts, and P. Calow, editors. River restoration: selected extracts from the Rivers handbook. Blackwell Science, pp.182-204. 

  35. Vannote, R.L., G.W. Minshall, K.W. Cummins, J.R. Sedell, and C.E. Cushing(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7: 130-137. 

  36. Williams, D.D. and H.B.N. Hynes(1976) The ecology of temporary streams Ⅰ. The fauna of two Canadian streams. Internationale Review of Hydrobiology 61: 761-787. 

  37. Won, D.H. and J.H. Yeom(2003) Research report of natural ecosystem in Wangpi-cheon at Uljin. NIER, 224pp. (in Korean) 

  38. Won, D.H., S.J. Kwon and Y.C. Jun(2005) 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415pp. (in Korean) 

  39. Won, D.H., Y.C. Jun, S.J. Kwon, S.J. Hwang, K.G. Ahn and J.K. Lee(2006) Development of korean saprobic index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application to biological stream environment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5): 768-7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Yoon, I.B.(1995) Aquatic Insects of Korea. Junghaengsa, 262pp. (in Korean) 

  41. Yoon, I.B., D.S. Kong and J.K. Ryu(1992) Studies on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by benthic macroinvertebrates (I) - Saprobic valency and individuals valu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10(1): 24-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