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 및 브래지어 유형에 따른 인체치수 변화 및 맞음새 연구
Changes in Body Size and Fitness According to Breast and Brassiere Typ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2, 2013년, pp.138 - 150  

최진영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손부현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권수애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body size (as well as fit) before/after wear, according to the breast and brassiere type. To offer producers basic data on how to develop excellent brassieres, we accordingly conducted preliminary research on 183 20's women. The research revealed that breast-rel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치수의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유방유형과 브래지어 종류에 따른 브래지어 착용시 신체치수 변화와 맞음새를 평가하여 유방유형별로 착용쾌적성을 향상시키며 치수 적합도가 높은 최적 브래지어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방유형별 치수 적합도가 높은 최적 브래지어 설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75B컵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20대 여성의 브래지어 착용에 따른 유방유형과 브래지어 종류별 인체치수 변화와 맞음새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래지어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성인여성의 대부분이 일상생활 중 착용하는 브래지어는 유방을 보호하고 유방모양을 교정하며 유방 주변의 군살을 정돈하여 이상적인 상체 실루엣을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파운데이션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
75B컵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20대 여성의 브래지어 착용에 따른 유방유형과 브래지어 종류별 인체치수 변화와 맞음새를 평가하여 얻은 결론은? 브래지어 착용 후 유방 관련 신체치수는 착용 전보다 평균 10.38%의 변화율을 보였으며, 브래지어 착용으로 가슴이 모아지고 위로 올라가며 깊이가 증가하는 보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방유형에 따른 신체 치수 변화는 특히 유방안쪽직경, 목앞젖꼭지길이, 유방위직경에서큰 차이가 나타나, 유방을 안으로 모아주고 위로 올려 주는 정용효과가 유방유형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하수형유방의 변화율이 가장 크고 반구형유방이 가장 작아 유방유형에 따라 보정효과에 차이가 있음을알수있다. 또 브래지어 종류에 따라, 저중심형 브래지어가 모아주는 기능과 볼륨 업 기능이 양호하였으며, 노와이어형이나 1/2컵형브래지어는모아주는기능이다른 브래지어에 비해 낮았다. 맞음새는 전중심 간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대체로 조이는느낌을 받았으며, 컵옆상변의 맞음새는 우수하였으나 젖가슴아래둘레와 와이어 밀착도 항목에서 맞음새가 가장 낮아 이 부분의 맞음새를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하였다. 유방유형별로 하수형 유방은 조임도가 큰 반면, 납작형 유방은 브래지어 둘레와 와이어 부분의 압박감이 크고 컵부분의 들뜸현상이 있었다. 따라서 하수형 유방은 컵부분의 조임을 완화시키기 위한 디자인이 요구되며 납작형 유방의 경우 들뜸을 방지하고 컵부분이 자연스러운 유방형태를 만들도록 패드를 보충하는 브래지어설계가요구된다. 브래지어별맞음새는저중심형브래지어가 가장 우수하고, 1/2컵형 브래지어가 가장 낮았다. 브래지어 착용시 유방치수 변화와 치수 맞음새의 대부분 항목에서 브래지어 종류별 차이보다는 유방유형별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유방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단순한 유방의 둘레 편차로 브래지어 사이즈를 결정하는 현 치수 체계에 문제점이 많음을 알 수 있으며, 인체에 잘 맞는 브래지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슴 둘레와 컵사이즈 뿐만 아니라 동일 사이즈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방의 유형을 고려한 새로운 사이즈 체계의 설정이 필요하다.
체형에 맞지 않는 브래지어 착용시 나타나는 결과는? , 2009). 체형에 맞지 않는 브래지어 착용시 유방이 아래로 처지는 원인이 되며, 맞지 않는 컵 크기는 겨드랑쪽으로 살이 밀리게 하거나 브래지어가 유방을 충분히 보호해주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 S. J., & Sohn, H. S. (2010). The conditions for wearing and purchasing brassieres by Korean women-Based o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2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2), 303-317. 

  2. Ha, S. J., & Lee, K. H. (1999). A study on the visual sensibility of brassiere design (Part 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5), 635-644. 

  3. Kim, J. H., & Yi, K. H. (2001). A study on the wearing effect and wearing comfort of brassiere on the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8), 1432-1443. 

  4. Kim, Y. S. (1998). A study on the perceived and actual breast shapes of adult women and effects of brassiere wear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5. Kweon, S. A., & Sohn, B. H. (2011). A study on cup size of brassiere and classification of breast type according to breast circumference and volum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5), 1-10. 

  6. Lee, H. Y. (2007). Evaluation of commercial mould brassieres for women with poor breas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6), 1211?1221. 

  7. Lee, M. J., & Kim, Y. W. (2002). Distribution of clothing pressure under the brassier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2), 178?185. 

  8. Lim, J. Y. (2004). A survey on the wearing conditions for the improvement of wearing comfort of brassie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6(4), 455-460. 

  9. Pan, H. Y., Choi, J. M., Kweon, S. A., & Sohn, B. H. (2009). A study on the wearing and preferences of brassier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5), 1093?1101. 

  10. Sohn, H. J. (2006). Lingerie patterns. Seoul: Kyungchoonsa. 

  11. Suh, C. Y. (2010). Comparative pattern analysis and the fitness evaluation of brassie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4), 673-6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