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대 성인 여성의 드롭치에 따른 체형 분류 및 브래지어 컵 사이즈 변화 연구
The Study of Body Type According to Drop Value of Women in Their 20's and Gradient of Brassiere Cup Siz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8 no.6, 2014년, pp.887 - 895  

정진아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최혜선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최정욱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provides baseline data on developing ready-to-wear clothes for adult females in their twenties who have finished shaping their bodies and have realized an ideal shape. We analyzed the data from females aged from 20 to 29 in "The $5^{th}$ Size Korea Survey" and "The $6^{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Korea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 [KATS], 2004)와 2010년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KATS, 2010)의 20~29세 여성의 인체조사자료를 분석하고 직접 계측한 자료를 드롭(drop)에 따라 20대 여성의 체형의 유형을 분류한 후, 그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서구화된 체형의 근거가 되는 브래지어 컵 사이즈를 연도별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기성복 및 대량 맞춤형 의복 같은 대량 생산 시 의복치수 설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이에 따른 소비자의 의복맞음새에 대한 만족도를 증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의복치수 설정 및 패턴제작 시 필수 정보가 되는 수치인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를 선정하여 드롭값에 따라 체형의 유형을 분류하고 브래지어 치수를 연도별, 유형별로 비교하여 우리나라 20대 성인 여성의 체형 변화를 분석하고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체형 분류를 위해 선정된 드롭값으로는 젖가슴둘레-허리둘레, 엉덩이둘레-허리둘레, 엉덩이둘레-젖가슴둘레로 3가지 드롭값을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Korea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 [KATS], 2004)와 2010년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KATS, 2010)의 20~29세 여성의 인체조사자료를 분석하고 직접 계측한 자료를 드롭(drop)에 따라 20대 여성의 체형의 유형을 분류한 후, 그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형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체형을 분류하는 방법은 직접 및 간접 측정치로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Kim & Kim, 2009; Lee & Nam, 2004), 인체를 부위별로 분류하는 방법(Kim & Lee, 2013; Shin & Sohn, 2011), 비만판정지수로 체형을 분류하는 방법(Kim & Lee, 2008; Sung & Kim, 2001)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드롭에 의한 체형 분류방법(Choi, 2012; Yoon & Suh, 2012; Park et al.
20대 여성의 가슴 사이즈의 연도별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를 살펴보면, 2004년에는 A컵이 29.7%로 가장 많았으며, 2010년은 B컵이 36.1%, 2013년은 C컵이 30.2%이 가장 많아 젖가슴둘레와 젖가슴아래둘레의 차이로 인한 가슴 사이즈가 점점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004년과 2010년에는 A컵과 B컵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2013년에는 C컵 이상이 다른 사이즈보다 증가한 결과를 볼 수 있다. 이는 20대 여성의 체형이 예전에 비해 몸통은 날씬하나 가슴은 상대적으로 커져 몸매 굴곡이 뚜렷한 서구형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드롭에 의한 체형 분류방법이란 무엇인가? 드롭에 의한 체형 분류방법(Choi, 2012; Yoon & Suh, 2012; Park et al., 2005)은 인체의 가슴, 허리, 엉덩이의 둘레 차이에 의한 분류방법으로 개개인이 자신의 체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체형분류기준이며, 우리나라 치수 규격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의복치수 규격에서 사용하는 체형 분류기준이다(Hyun & Nam, 2010). 또한, 우리나라 대부분의 의류업체에서 통계적 평균치를 기준값으로 단일화된 원형을 사용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보았을 때 적절한 기준을 선정하여 의복설계에 반영하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J. W. (2000). Development of a grading increments chart for women's wear focusing on dimensional variations among groups of different ages, heights and drop valu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 Choi, J. Y. (2012). Body somatotype classification of the twenties and thirties Korean women according to the drop and the bust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Hyun, E. K., & Nam, Y. J. (2010). A study on the body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boys according to their drop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233-1241. doi:10.5850/JKSCT.2010.34.8.1233 

  4. Kim, I. M., & Kim, S. R. (2009). A study on the somatotype classification of women in the early 20'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8(2), 35-55. doi:10.5143/JESK.2009.28.2.035 

  5. Kim, J. A., & Lee, J. R. (2008). A study on the somatotype of women in their twenties by degree of obesity and classification of silhouette.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9(3), 419-429. 

  6. Kim, J. Y., & Lee, H. J. (2013). Upper body-type classification of Jeonbuk women in their twen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1), 97-107. doi:110.7233/jksc.2013.63.1.097 

  7. Kim, T. S. (2013, March 5). 글래머를 잡아라...신세계몰 빅 사이즈 속옷 전문매장 오픈 [Catch the glamour...Open one's underwear specialist, as a big size store to mall Shinsegae]. Maeil Business. Retrieved April 7, 2014,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66196 

  8.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 (2004). The report of national anthropometric survey of Korea 2004. Size Korea. Retrieved March 20, 2014, from http://sizekorea.kats.go.kr/ 

  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 (2010). The report of national anthropometric survey of Korea 2010. Seoul: Author. 

  10. Lee, J. Y., & Nam, Y. J. (2004). Comparison of somatotypes from various classification methods-Between 18 and 24 years old Korean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6(2), 221-228. 

  11. Lee, S. K. (2013). Construction of a jacket pattern for woman with unusual body shape-Focusing on large breas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12. Park, J. H., Hong, J. M., & Yoon, J. K. (2005). The study of somatotype according to the drop of women in their 2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7(5), 494-500. 

  13. Park, M. A. (1997). The character factors of body type per age bracket in adult females. Research Review Kyungil University, 14(1), 927-943. 

  14. Shin, J. H., & Sohn, H. S. (2011). Torso body-type classification of Korean women in their early twent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1), 176-190. 

  15. Song, C. H. (2010, December 16). '긴 다리에 작은 얼굴'... 20대 체형 서구화 진행 ['Long legs and small face'... Westernization and progression of body types in their 20s]. SBS CNBC. Retrieved March 21, 2014, from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103881 

  16. Sung, M. J., & Kim, H. E. (2001). Classification of the somatotype by obesity indexes and body cogn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3(3), 227-234. 

  17. Yi, K. H., & Kim, J. E. (2013). The comparisons of anthropometric data according to measurement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1), 39-50. doi:10.5850/JKSCT.2013.37.1.39 

  18. Yoon, J. W., & Suh, M. A. (2012). Characteristics of adult women's body somatotype according to drop valu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4), 529-534. doi:10.7741/rjcc.2012.20.4.5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