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벼 품종(삼광, 미광, 칠보, 청해진미 및 조운)의 도정 부산물인 미강에 대한 추출 온도에 따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polyphenol, flavonoid)과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을 비교 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추출 온도에 따른 미강의 항산화 성분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에서는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총 flavonoid 함량은 추출 온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제외한 총 항산화력(ABTS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사되어진 품종들의 미강 최적 추출조건은 청해진미로 $25^{\circ}C$에서 추출하였을 경우에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기능성 성분을 활용할 수 있는 추출 온도를 제공함으로써 도정 부산물의 최적 추출조건 및 품종별 쌀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at temperatures of $10^{\circ}C$, $25^{\circ}C$, and $60^{\circ}C$ using 70% ethanol solution.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have been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으로는 식생활의 다양화와 고급화로 인한 쌀 소비량 감소로 과잉 생산의 문제, 식품의 기호성 증진을 위해 더욱 정교해지는 곡류의 도정 과정으로 인해 미강의 발생량은 계속 증가될 것이어서 다양한 활용 방안의 모색이 절실히 요구될 것이다(Choi 등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미강에 다량 함유된 유용 성분 및 생리활성성분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최근 육성된 벼 품종들의 온도에 따른 미강 추출물의 항산화성 물질을 탐색하고 평가함으로서, 우수한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벼 품종(삼광, 미광, 칠보, 청해진미 및 조운)의 도정 부산물인 미강에 대한 추출 온도에 따른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polyphenol, flavonoid)과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을 비교․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추출 온도에 따른 미강의 항산화성분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에서는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총 flavonoid 함량은 추출 온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항산화제는 무엇이 있는가? 20세기 들어 급속한 의학 분야의 발전과 경제성장의 영향으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연 유래의 건강식품에 대한 급격한 수요 증가와 함께 보다 영양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여러 형태의 제품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고도로 발달된 산업화 사회에서 각종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각종 질병 및 성인병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진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있으며, 이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α-tocopherol, vitamin C, flavonoid, carotenoids 등과 같은 천연항산화제들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 중에 있어 경제성 및 안정성을 갖는 천연 항산화제 소재 및 제품 개발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Bae 등 2001; Halliwell B 1996).
품종별 미강의 수분, 회분, 조지방, 단백질, 식이섬유 및 도정율을 측정한 결과는? 각 품종별 미강의 수분, 회분, 조지방, 단백질, 식이섬유 및 도정율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각 품종별 미강의 수분 함량은 8.13~10.34%의 범위에 있었으며, 회분 함량은 10.51~11.42%의 수준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18.18~20.98%, 단백질 함량은 13.39~14.11%이었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40.74~47.35% 수준이었다. 품종별 현미의 도정율은 86.6~88.8%로서 일반적으로 현미를 백미로 도정할 때 도정율인 10분도(92%)보다는 전체적으로 낮은 수치로서 일반적인 도정상태보다 호분층은 물론 배유부분까지 더 도정된 것으로 생각된다.
아시아 문화권 및 우리나라에서 쌀은 어떤 작물이라 할 수 있는가?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량 자원 중 하나인 쌀은 아시아 문화권 사람들한테는 중요한 식량자원이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주식으로서 인체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작물이다. 이러한 쌀은 주로 백미로서 섭취를 하게 되는데, 최근 건강식으로서 현미가 인정을 받고 있지만, 거친 식감과 소화흡수율 저하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 도정한 백미를 선호하게 되며, 이때 벼 도정시 부산물로서 발생되어지는 것이 미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tella S, Antonio T, Rosella LC, Domenico T, Anna P, Anna DP, Nicola U, Francesco B. 1999. Ferulic acid caffeic acids as potential protective agents against photooxidative skin damage. J Sci Food Agric 79:476-480 

  2. Ardiansyah, Hitoshi S, Takuya K, Katsumi H, Michio K. 2007. The driselase-treated fraction of rice bran is a more effective dietary factor to improve hypertensi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oke-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compared to ferulic acid. Br J Nutr 97:67-76 

  3. Bae SM, Kim JH, Cho CW, Jeong TJ, Ha JU, Lee SC. 2001.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processed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6-1032 

  4. Bae SM, Kim JH, Cho CW, Jeong TJ, Yook HS, Byun MW, Lee SC. 2002. Effect of r-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 rice bran and barley br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46-250 

  5. Chen MH, Bergman CJ. 2005. A rapid procedure for analyzing rice bran tocopherol, tocotrienol and oryzanol contents. J Food Compos Anal 18:139-151 

  6. Choi HI, Ye EJ, Kim SJ, Bae MJ, Yee ST, Park EJ, Park EM. 2006. Anticancer (in vitro) and antiallergy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1297-1303 

  7. Choi SP, Kang MY, Nam SH. 2004.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pigmented rice brans on inflammatory reaction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222-227 

  8.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3:130-138 

  9.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m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381-387 

  10. Chotimarkorn C, Benjakul S, Silalai N. 2008. Antioxidant components and properties of five long-grained rice bran extracts from commercial available cultivars in Thailand. Food Chem 111:636-641 

  11. Ha TY, Han S, Kim SR, Kim IH, Lee HY, Kim HK. 2005. Bioactive components in rice bran oil improve lipid profiles in rat fed a high-cholesterol diet. Nutr Res 25:597-606 

  12.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33-49 

  13. Hong MJ, Lee GD, Kim HK, Kown JH. 1998. Changes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13-418 

  14.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15.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3713-3717 

  16. Kim YH, Kang CS, Lee YS. 2004. Quantification of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 in rice bran by near infrated reflectance spectroscopy. Korean J Crop Sci 43:211-215 

  17. Kong S, Lee J. 2010. Antioxidants in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cultivars. Food Chem 120:278-281 

  18. Kong SH, Choi YM, Lee SM, Lee JS. 2008.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815-819 

  19. Lai P, Li KY, Lu S, Chen HH. 2009.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Japonica rice bran. Food Chem 117:538-544 

  20. Lee KY, Kim JH, Son JR, Lee JS. 2001. Detec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 compounds from bran of Heugjinju rice (Oryza sativa L.).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296-301 

  21. Lee YH, Moon TW. 1994.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6:288-294 

  22. Lee YR, Woo KS, Kim KJ, Son JR, Jeong HS.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Food Sci Biotechnol 16:765-770 

  23. Mau JL, Lin II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519-526 

  24. Nam SH, Kang MY. 1997.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icity. Agric Chem Biotechnol 40:307-312 

  25. Oh SK, Kim DJ, Chun AR, Yoon MR, Kim KJ, Lee JS, Hong HC, Kim YK.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illing by-products of rice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624-630 

  2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 1231-1237 

  27. Renuka Devi R, Arumughan C. 2007. Phy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defatted rice bran and optimization of a process for their extraction and enrichment. Bioresour Technol 98: 3037-3043 

  28. Ryu KC, Chung HW, Lee GD, Kwon JH. 1997. Color changes and optimization of organoleptic properties of roasted Polygonatum odoratum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831-837 

  29. Sakihama Y, Cohen MF, Grace SC, Yamasaki H. 2002.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Toxicology 177:67-80 

  30. Scalbert A, Johnson IT, Saltmarsh M. 2005. Polyphenols: antioxidants and beyond. Am J Clin Nutr 81:215S-217S 

  31. Seo SJ, Choi YM, Lee SM, Kong SH, Lee JS.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9-135 

  32. Turkmen N, Sari F, Velioglu YS. 2005.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s total phenol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green vegetables. Food Chem 93:713-718 

  33. Qureshi AA, Mo H, Packer L, Peterson DM. 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vel tocotrienols from rice bran with hypocholesterolemic,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perties. J Agric Food Chem 48:3130-3140 

  34.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4113-4117 

  35. Vilano D, Fernandez-Pachon MS, Moya ML, Troncoso AM, Garcia-Parrilla MC. 2007.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polyphenolic compounds towards DPPH free radical. Talanta 71:230-235 

  36. Woo JH, Shin SL, Jeong HS, Lee CH. 2010. Influence of applied pressure and heat treatment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leaves from Achillea alpina and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Koeran J Plant Res 23:123-1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