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원격 열화상을 이용한 지붕색상별 겨울철 표면온도 변화추세 비교 평가 Evaluating Changing Trends of Surface Temperature in Winter according to Rooftop Color using Remotely Sensed Thermal Infrared Image원문보기
원격 열화상으로 관측된 지붕표면 온도 분포 자료를 활용하여 쿨루프(Cool Roof)에 기인한 겨울철 난방부하에 대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원격 열화상은 지붕색상(흰색, 검은색, 청색, 녹색)에 따른 지붕표면 온도의 광역 분포패턴을 가시적으로 제시하였는데, 이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에 국한된 데이터만을 제시하는 현지조사와는 확연히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다. 겨울철에 높은 태양 반사율을 갖는 쿨루프의 표면 온도는 일반 지붕에 비해 $3^{\circ}C{\sim}9^{\circ}C$ 정도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쿨루프가 여름철에 일반지붕과 비교해서 $18.4^{\circ}C$ 정도 낮은 표면온도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겨울철에 쿨루프로 인해 감소된 온도가 여름철에 비해 현격하게 낮아 쿨루프가 한국의 기후조건에서 상당한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원격 열화상을 이용하여 광역 열분포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기 때문에 쿨루프로 인한 겨울철 난방 부하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원격 열화상으로 관측된 지붕표면 온도 분포 자료를 활용하여 쿨루프(Cool Roof)에 기인한 겨울철 난방부하에 대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원격 열화상은 지붕색상(흰색, 검은색, 청색, 녹색)에 따른 지붕표면 온도의 광역 분포패턴을 가시적으로 제시하였는데, 이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에 국한된 데이터만을 제시하는 현지조사와는 확연히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다. 겨울철에 높은 태양 반사율을 갖는 쿨루프의 표면 온도는 일반 지붕에 비해 $3^{\circ}C{\sim}9^{\circ}C$ 정도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쿨루프가 여름철에 일반지붕과 비교해서 $18.4^{\circ}C$ 정도 낮은 표면온도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겨울철에 쿨루프로 인해 감소된 온도가 여름철에 비해 현격하게 낮아 쿨루프가 한국의 기후조건에서 상당한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원격 열화상을 이용하여 광역 열분포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기 때문에 쿨루프로 인한 겨울철 난방 부하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roof surface temperature monitoring, utilizing remotely sensed thermal infrared image has been specifically proposed to explore evidential data for heating load in winter by cool roof. The remotely sensed thermal infrared image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changing trends of ...
A roof surface temperature monitoring, utilizing remotely sensed thermal infrared image has been specifically proposed to explore evidential data for heating load in winter by cool roof. The remotely sensed thermal infrared image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changing trends of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rooftop color (white, black, blue, green)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field sampl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cool roof having a higher solar reflectance were ranged from $3^{\circ}C$ up to $9^{\circ}C$, compared to the general roof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tential to the energy saving by introducing the cool roof in a Korean climate since up to $18.46^{\circ}C$ difference in cool roof, compared to the general roofs in summer were already identified in Seoul, South Korea.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in identifying heating load in winter by cool roof since an objective monitoring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e area-wide measured, fully quantitative performance of remotely sensed thermal infrared image.
A roof surface temperature monitoring, utilizing remotely sensed thermal infrared image has been specifically proposed to explore evidential data for heating load in winter by cool roof. The remotely sensed thermal infrared image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changing trends of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rooftop color (white, black, blue, green)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field sampl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cool roof having a higher solar reflectance were ranged from $3^{\circ}C$ up to $9^{\circ}C$, compared to the general roof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tential to the energy saving by introducing the cool roof in a Korean climate since up to $18.46^{\circ}C$ difference in cool roof, compared to the general roofs in summer were already identified in Seoul, South Korea.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in identifying heating load in winter by cool roof since an objective monitoring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e area-wide measured, fully quantitative performance of remotely sensed thermal infrared imag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Synnefa(2012)은 UV/VIS/NIR spectrophotometer라는 기기를 사용하여 학교건물. 지붕 표면의 빛반사율을 측정하여 쿨루프 도입 타당성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일본 기후현의 한 학교 옥상에 고반사율 도료의 쿨루프를 적용하였을 경우 시공 전 표면온도가 40℃였으나 시공 후에는 22℃로 낮 아짐과 동시에 실내온도가 5℃이상 내려간 것을 보고 하고 있다(近藤靖史,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쿨루프 성능검증에서 겨울철 난방 부하에 개입되는 다양한 변수 중 지붕표면온도와 관련 하여 그간 직접접촉 조사나, 시뮬레이션에서 지적되어 온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지붕색상이 상당히 넓은 범위에서 파악 될 수 있는데도 연구의 범위를 축소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하고자 본 연구에서 사용한 원격 열화상에서 판독 가능한 공간 객체에 의거하여 표면온도를 평가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건물이 있고 지붕도 판상형, 탑상형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나 연구의 범위를 축소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하고자 본 연구지역에서 확인되는 지붕색상에 의거하여 표면온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원격열화상을 활용하여 지붕색상에 따른 표면온도 조사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열화상 영상은 대학캠퍼스의 흑색, 백색, 청색, 녹색 지붕에서 나타나는 표면온도 분포의 주요패턴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전통적인 직접 조사 방식으로는 취득할 수 없는 정보들이었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적외선 열화상카메라는 피사체의 표면으로부터 복사되는 열에너지를 온도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제공한다. 열화상 카메라인 FLIR i7(Table 1)은 –20℃~250℃ 범위에서 표면 온도 측정이 가능하며 0.
청천공의 기상조건이어서 지붕표면 온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기 일사량으로, 외기의 일사량 변화에 따라 지붕표면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평가하기 위한 최적의 기상조건에서 열화상 영상을 취득하였다. 태양고도의 변화가 명확히 구분되는 2시간 단위로 각 건물의 지붕색에 따라 동시에 촬영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일몰시간은 17시 57분으로 적외선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온도측정은 18시 이전인 16시까지 이루어졌다.
여름철 지붕표면의 온도는 Figure 4와 같이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2011년 8월 16일에서 표면온도가 가장 높을 때(13시 40분)에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하였다. 일반지붕과 쿨루프의 표면온도는 각각 50.
적외선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e, f, g, h) 각 시간대별 온도가 주변 온도보다 밝게 보여 온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넓은 면적에 대한 온도를 한 포인트만 지정할 수 없어 3지점을 찍어 평균온도를 구 하였다. 추운날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온도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12시에 (f) 까지 가장 높은 온도 (15.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일시기에 대한 측정자료로써 현장조사와 원격열화상과의 전체적인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연구 방법론적인 한계성이 내재되어 있다. 1년 동안의 획득 표면온도가 아닌 절기를 대표하는 하루 동안의 표면온도를 비교평가 한 것이다. 다양한 계절의 청천공 열화상을 확보한다면 쿨루프로 인한 냉난방 부하를 평가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험연구는 학술연구라는 자체적인 한계 때문에 단기간에 수행된 단 1개의 사례지역에 걸친 국한된 결과이다. 다양한 지붕색상이 상당히 넓은 범위에서 파악 될 수 있는데도 연구의 범위를 축소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하고자 본 연구에서 사용한 원격 열화상에서 판독 가능한 공간 객체에 의거하여 표면온도를 평가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건물이 있고 지붕도 판상형, 탑상형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나 연구의 범위를 축소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하고자 본 연구지역에서 확인되는 지붕색상에 의거하여 표면온도를 평가하였다.
원격열화상 조사는 현장조사에 소요되는 막대한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짧은 기간에 대학캠퍼스의 열 분포 특성을 조사할 수 있는 열 환경 데이타를 제시하였다. 대학캠퍼스의 지붕색상별 표면온도 변화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붕색상이 표면온도 변화의 주요 원인이라는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구글어스 영상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대표할 수 있는 지붕을 선택하였는데, 관측지점인 글로벌플라자 주변 으로 흑색, 백색, 청색, 녹색 네가지 색으로 구분하였다 (Figure 2
대상 데이터
연구대상지역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캠퍼스로 정하였으며, 대구광역시 북구에 소재하고 경위도 상으로 동경 128°36'~128°37'의 동서구간과 북위 35°53'에 위치하며, 지형적인 높이는 약 35~62m로 완 만한 구릉지를 이루고 있다.
Google Earth 영상을 통해 백색과 흑색계통의 지붕이 가시적으로 구별된다. 2012년 3월 경북대학교의 랜드마크적 이미지를 갖는 지상 17층 연면적 37,277 ㎡의 글로벌 플라자(Figure 1)가 준공되었다. 이 건물 주변에 위치한 저층 건물이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어 겨울철 건물의 지붕 표면 온도를 검증하기 위한 원격 열화상 영상을 확보하는 데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여름철 쿨루프의 성능을 비교·확인하기 위해 Figure 3과 같이 일반지붕과 그 위에 쿨루프를 적용한 작은 건 물로 실험을 하였다.
쿨루프를 대표할 수 있는 흰색지붕, 시멘 트로 된 지붕이지만 이물질이 묻어서 지붕전체가 검게 보이는 지붕, 그리고 방수제를 칠한 녹색지붕, 청색 지붕을 선정하였다(Figure 2
성능/효과
6℃로 측정된 흰색지붕 Figure 5의 a 보다 10배가 높은 온도 분포를 보였다. 외부 온도가 상당히 낮음에도 불구하고 색깔을 가진 지붕들의 빛 흡수가 매우 강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태양 고도 가 가장 높을 때인 12시에는 지붕과 수직으로 단파 적외선을 최대한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상승 으로 인해 가장 높은 온도분포를 보였다(Figure 5 b, f;Figure 6 b, f)(2012년 2월 2일 대구시 최고 태양고도 는 13시: 방위각 : 186도 12분 29.
4℃로 급격히 하락함을 볼 수 있다. 녹색인 학생센터의 지붕은 방수제를 도포하여 녹색을 형성하였지만 도색 후 장기간이 경과하여 심하게 퇴색이 되어있 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루 동안 온도 변화의 폭은 크지 않으나 빛의 흡수량이 있어서 12시에는(f) 11.
4℃이다. 검은색 지붕과 녹색지붕의 온도 변화율은 거의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검은색 지붕이 태양의 복사열을 더 흡수 하여 녹색지붕보다 대체로 3℃ 이상 높게 나타났다.
태양이 남중고도를 지나서 고도가 떨어지면 지붕표 면에 흡수한 열은 주변의 낮은 온도로 인해 급격히 열을 잃으면서 지붕표면의 온도가 빠르게 낮아진다. 색이 있는 지붕과 백색지붕간의 온도 하강 기울기에서 백색 지붕의 기울기(-0.75)는 다른 색이 있는 지붕과 비교해 서 약 2배 (흑색: -1.6; 녹색:-1.5 청색:-2.45) 낮게 나타났으며 온도가 천천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색이 있는 지붕은 온도 하강추세로 미루어 일몰(오후 6시) 이후는 백색지붕보다 표면온도가 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색이 있는 지붕은 온도 하강추세로 미루어 일몰(오후 6시) 이후는 백색지붕보다 표면온도가 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색상별 최고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이를 비교하면, 청색지붕은 16시에 급격한 온도 하강이 확인되었으며 최고저 온도간의 차이가 다른 색 지붕보다 3℃이상이 높은 9.8℃를 보인다(Table 2).
백색지붕은 태양이 있는 낮 시간에 빛 반사율의 효과가 나타날 뿐 해가 진 이후에는 색상을 가진 다른 지붕과 비교할 때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히려 진한 색상을 가진 지붕일수록 낮에 태양에 의해 흡수한 열이 태 양의 강도가 약해짐에 따라 더 빠른 속도로 온도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2℃로 큰 차이가 없어 난방 부하의 증가는 거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원격 열화상을 이용 한 지붕표면 온도조사가 현지조사나 시뮬레이션과 유사한 결과가 도출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반면에 여름철에 쿨루프는 지붕 표면온도가 일반지붕과 비교하여 최대 약 18.
원격 열화상을 이용 한 지붕표면 온도조사가 현지조사나 시뮬레이션과 유사한 결과가 도출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반면에 여름철에 쿨루프는 지붕 표면온도가 일반지붕과 비교하여 최대 약 18.46℃차이가 있음을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으므로 쿨루프로 인해 줄어드는 냉방부하가 난방 부하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것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대학캠퍼스의 지붕색상별 표면온도 변화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붕색상이 표면온도 변화의 주요 원인이라는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원격 열화상을 이용한 열분포 평가는 열환경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조사 대상건물 지붕의 전반적인 열분포 실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현지를 방문하여 수평관찰(horizontal point of view)이나 직접 접촉 샘플링조사에서 얻을 수 없었던 데이터를 사각관찰(near vertical or oblique vantage point)로 현장조사의 한계점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원격열화상의 광역정보를 통해 현장조사 방법에서 직접접촉 조사의 한계성을 확인하면서 열환경 감시에서 원격열화상이 입체적인 지붕 표면 온도 분포감시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원격열화상의 광역정보를 통해 현장조사 방법에서 직접접촉 조사의 한계성을 확인하면서 열환경 감시에서 원격열화상이 입체적인 지붕 표면 온도 분포감시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후속연구
본 연구와 같이 수직영상이 아니고 사각 (oblique) 영상의 경우 획득된 자료는 영상에 나타나는 각 점의 위치와 실제지상에 존재하는 지형지물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왜곡되어서 나타나게 된다. 촬영과정에서 열화상 카메라의 흔들림, 렌즈의 왜곡 등을 삼각대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고정하여 최대한 수직을 유지하면서 영상을 취득하여 열분포 조사에 필요한 영상을 확보하는 데 큰 무리가 없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실내온도와 에너지 사용량 등 현지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향후 현지조사 기반의 평가에서 사용하는 기법과 원격 열화상 기반의 평가 기법을 통합한 다양한 기법을 지붕색에 따른 열분포 조사와 연계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의 실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실내온도와 에너지 사용량 등 현지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향후 현지조사 기반의 평가에서 사용하는 기법과 원격 열화상 기반의 평가 기법을 통합한 다양한 기법을 지붕색에 따른 열분포 조사와 연계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의 실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일시기에 대한 측정자료로써 현장조사와 원격열화상과의 전체적인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연구 방법론적인 한계성이 내재되어 있다. 1년 동안의 획득 표면온도가 아닌 절기를 대표하는 하루 동안의 표면온도를 비교평가 한 것이다.
다양한 계절의 청천공 열화상을 확보한다면 쿨루프로 인한 냉난방 부하를 평가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계절의 청천공 열화상을 확보한다면 쿨루프로 인한 냉난방 부하를 평가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위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다중 시기의 반복측정을 통한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특정지점에 한정된 열분포 측정 및 감시체제와 광역적인 차원에서의 열화상 감시체계가 상당한 상관관 계를 가지고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대학교를 동일한 분류지표에 의거 지붕표면온도 평가하였지만 또한 각 지역이나 장소마다 그 특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한 두가지의 연구나 모형으로 지붕표면온도 평가기법을 확정할 수 없고 향후에 보다 많은 지역의 서로 다른 특성들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표면온도 비교평가는 대학캠퍼스 건물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전용주거 지역, 일반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등 다양한 지역의 건물을 대상으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대학교를 동일한 분류지표에 의거 지붕표면온도 평가하였지만 또한 각 지역이나 장소마다 그 특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한 두가지의 연구나 모형으로 지붕표면온도 평가기법을 확정할 수 없고 향후에 보다 많은 지역의 서로 다른 특성들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표면온도 비교평가는 대학캠퍼스 건물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전용주거 지역, 일반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등 다양한 지역의 건물을 대상으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단독주택, 집합건물, 탑상형, 판상형 아파트 등 건물 유형별 표면온도 비교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표면온도 비교평가는 대학캠퍼스 건물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전용주거 지역, 일반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등 다양한 지역의 건물을 대상으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단독주택, 집합건물, 탑상형, 판상형 아파트 등 건물 유형별 표면온도 비교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비교 평가과정은 즉 전통적으로 현지조사에 의거한 접근보다 훨씬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하여 표면온도 분포에 의거한 난방부하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단독주택, 집합건물, 탑상형, 판상형 아파트 등 건물 유형별 표면온도 비교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비교 평가과정은 즉 전통적으로 현지조사에 의거한 접근보다 훨씬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하여 표면온도 분포에 의거한 난방부하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넓은 지역에 대한 지붕표면 온도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원격열화상은 기존의 현장조사와 비교하여 경제적이며 광범위한 지역에서 나타나는 시․공간적 변화추세를 분석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확실하게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쿨루프로 인한 겨울철 난방부하를 여름철 냉방부하와 비교평가하는 과정에서 통일적이고 일관성을 지닌 객관적인 근거로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원격열화상을 이용한 평가과정은 캠퍼스 지붕색의 조정과정에서 다양한 국가의 각 대학별로 축 적된 노하우와 문제점들을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캠퍼스 지붕색으로 인한 표면온도 평가에 대한 참고가 될 기준이 없는 상황이어서 우리나라에서 냉방일수가 최장기간인 지역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대구 캠퍼스의 열화상 분포는 국내 대학의 지붕색을 관리지침을 제시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거하여 경북대 학교는 캠퍼스 고유의 지붕색과 주변 지역의 특성에 부합한 지붕색 관리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캠퍼스 지붕색으로 인한 표면온도 평가에 대한 참고가 될 기준이 없는 상황이어서 우리나라에서 냉방일수가 최장기간인 지역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대구 캠퍼스의 열화상 분포는 국내 대학의 지붕색을 관리지침을 제시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거하여 경북대 학교는 캠퍼스 고유의 지붕색과 주변 지역의 특성에 부합한 지붕색 관리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단순히 대학 캠퍼스의 건물 지붕 열환경을 비교․평가하는 차원을 넘어 향후 캠퍼스의 마스터플랜 수립 등 정책 대안제시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거하여 경북대 학교는 캠퍼스 고유의 지붕색과 주변 지역의 특성에 부합한 지붕색 관리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단순히 대학 캠퍼스의 건물 지붕 열환경을 비교․평가하는 차원을 넘어 향후 캠퍼스의 마스터플랜 수립 등 정책 대안제시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년간, 다계절의 열화상 영상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다면 캠퍼스의 영년변화(永年變化) 등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영구적인 기록인 영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가상현실을 통한 원격 열분포 감시로 현장방문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가상현실을 통한 원격 열분포 감시로 현장방문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거의 열분포 실태의 확인 필요성이 제기될 때는 영구적인 기록 (Permanent record)으로 보전 되고 있는 열화상 영상을 통해 현재의 상황과 비교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 및 악화의 원인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격탐사 장점은 무엇인가?
원격탐사는 실제 관찰하고자 하는 지붕에 접근하지 않고 지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열화상 영상을 보다 신속하고 광역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결국 현재 쿨루프가 실내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추정하기 위해서는 실측보다는 원격탐사의 방식으로 통해 다양한 지붕색상별로 지붕표면의 온도를 비교·평가 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쿨루프란 무엇인가?
지붕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미국, 일 본 등 선진국에서는 지붕의 색을 흰색 또는 밝은 색으로 도색하는 쿨루프 (Cool Roof)를 도입하고 있다. 건축물의 지붕에 태양복사 에너지의 반사율이 큰 색상의 페인트를 사용할 경우 태양의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등을 반사시켜 건물과 주변 대기로의 열전도를 감소시키고, 높은 열방사로 인해 건물이 흡수한 태양복사 에너지를 빠르게 발산하여 건물의 냉방효율이 증가된다.
원격탐사 영상은 특히 겨울철에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일반적인 원격탐사 영상은 태양광에 의존하여 영상을 취득하게 되므로 촬영은 기상조건에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옅은 구름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겨울철은 청천공의 외기조건을 확보하기 어려워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29)
Ahn, T. K., 2003, Evaluation for thermal performance of apartment house top floor using roof planting system,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0(3), pp. 182-186.
Akbari, H., 1998, Cool roofs save energy, ASHRAE Transactions, 104(1B), pp. 783-788.
Akbari, H., Pomerantz, M., Taha, H., 2001, Cool surfaces and shade trees to reduce energy use and improve air quality inurban areas. Solar Energy 70 (3), pp. 295-310.
Akbari H., Levinson R., Rainer L., 2005, Monitoring the energy-use effects of cool roofs on california commercial buildings, Energy and Buildings 37, pp. 1007-1101.
Alberto H. N., Flavio A. S., 2008, Comparison between detailed model simulat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forecast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Energy Build., 40, pp. 2169-2176.
Bohm B. and Danig, P. O., 2004, Monitoring the energy consumption in a district heated apartment building in copenhagen, with specific interest in the thermodynamic performance, Energy and Buildings, 36(3), pp. 229-236.
Choi, G. S., Sohn, J. Y., 2010,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partment housing using infra-red camera, korea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2(6), pp. 404-412.
Choi, J. H., Um, J. S., 2010, Introducing strategy of cool roofs based on comparative evaluation of foreign case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6), pp. 591-605.
Cool Roof Workshop, 2005, Lisa Gartland, Pacific Energy Center, San Francisco.
Graveline, S. P., 2009, Benefits of cool roofs on commercial buildings. Retrieved July 10, 2012, from, pp. 15-21.
Heiple, S. C. and D. J. Sailor, 2008, Using building energy simulation and geospatial modeling techniques to determine high resolution building sector energy consumption profiles. Energy and Buildings, 40, pp. 1426-1436.
Hong, S. H., Jang, M. S., Park, H. S., Yang, K. S., 2001, A study on the typical energy consumption of apartment,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12), pp. 151-160.
Jeong, J. C., 2008, The spatial factor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p 97-99.
Jung, G. S., Yoo, H. H., 2010, Analysis of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of urban green space,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p 85-86.
KASI, 2011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http://www.kasi.re.kr/
KICT, 201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exterior finishes for energy saving, pp. 23-39.
Kim, O., 2010, Cool A study on the performance standards and design guidelines of cool roof system, Thesis, Chung-ang University.
KMA, 20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11, Heat island projects (cool roofing materials database), http://heatisland.lbl.gov/coolscience/cool-science-cool-pavements
Lee, J. S, 2002, A study on the color design techniques of residential buildings in U.S.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16(1), pp. 49-59.
Lee, T. C., Yoon, S. H., 2012, Review on radiation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multipurpose high-rise building by infrared rays camera,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pp. 77-80.
Moon, C. H., 2007, Improvement of special facility system using district heating by heat load pattern analysis, Thesis, Hanyang University.
Sakagami T., Ogura K., Kubo S. and Farris T,N,, 2002, Application of infrared thermography for contact problems, iutam symposium on advanced optical methods and applications in solid mechanics, Solid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82(14), pp. 603-610.
Shariah A., Shalabi B., Rousan A., 1998, Tashtoush B., Effects of absorptance of external surfaces on heating and cooling loads of residential buildings in Jordan,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39 pp. 273-284.
Synnefa A., Saliari M., Santamouris M., 2012, Experimental and numerical assessment of the impact of increased roof reflectance on a school building in Athens, Energy and Buildings, In Press, Corrected Proof, Available online 6 March 2012.
Tae, W. J., 2005, A study on the optimum slope of the roof for minimum cooling load,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5(4), pp. 119-123.
近藤靖史, 2009, 都市被覆の日射反射性能向上によるヒ ㅡアイランド緩和と冷房負荷低減, 空氣調和衛生工學, 83(8), pp. 639-643.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