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알코올 분해능
Antioxidant and Alcohol Degrada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cer tegmentosum Maxi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3, 2013년, pp.378 - 383  

최준혁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소희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박윤희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성규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정영태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인선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박준홍 (주식회사 정문) ,  김현정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벌나무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in vitro 및 in vivo에서의 알코올 분해능을 검토하였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71.93{\pm}2.2{\mu}g/mg$, $152.69{\pm}1.25{\mu}g/m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51{\pm}1.34{\mu}g/mg$, $5.01{\pm}0.83{\mu}g/mg$이었고, FRAP값은 각각 $1.75{\pm}0.32{\mu}M/{\mu}g$, $1.67{\pm}0.28{\mu}M/{\mu}g$으로 나타났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DPPH 및 ABTS에 대해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고,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벌나무 열수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알코올에 대한 in vitro에서의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었고, 또한 알코올을 투여한 rat에서 벌나무 추출물을 투여하면 알코올 투여 30분이 경과한 후 알코올 투여군보다 혈중 알코올 함량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따라서 벌나무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작용을 하며, 알코올 분해 작용 및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cer tegmentosum Maxim. (AT) and the ability of these extracts to reduce the serum alcohol concentration in rats administered alcohol. The total amount of polyphenols in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AT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벌나무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추출물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의 알코올 분해능을 검토하여 벌나무의 숙취해소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벌나무 에탄올추출물 및 열수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벌나무 에탄올추출물 및 열수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tannic acid, quercetin을 기준 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Table 2). 그 결과 벌나무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1.93±2.20 μg/mg, 벌나무 에탄올추출물은 152.69±1.25 μg/mg으로 열수추출물에서 좀 더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벌나무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이 각각 7.
알코올 1차 대사산물은 무엇인가? 숙취는 알코올 섭취 후 두통이나 속쓰림 등으로 나타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을 찾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많지 않다(1-3). 숙취 유발 물질로는 술의 알코올 성분과 1차 대사산물인 acetaldehyde가 알려져 있는데 체내로 흡수된 알코올은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해 간에서 NAD+가 NADH로 환원되면서 acetaldehyde를 생산하며, acetaldehyde는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에 의해 산화되어 acetone으로 대사되는데 이때 대사 장애가 일어나면 acetaldehyde가 축적되고 이는 변이원성, 발암성을 나타낸다(4). 이러한 알코올 대사물질들은 간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데, 면역계에 radical로 인한 지질과산화 물질이 생성되면 단백질 변성을 가져오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 섭취로 인해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인 malondialdehyde(MDA)에 의한 산화적 손상이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5).
벌나무의 이명은 무엇인가? 한편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는 단풍나무과에 속하며 국내의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산겨릅나무, 산저릅나무, 봉목, 산청목으로 불린다. 벌나무는 민간에서 간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간에 쌓인 독을 해독하여 간세포를 살리는 효능이 있고, 이뇨작용 또한 강하여 신장염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i GH, Kim JG, Kwon ST. 2011. Protective effects of food including Hovenia dulcis on acute alcohol intoxi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07-1112. 

  2. Cha JY, Jeong HJ, Jeong JJ, Yang HJ, Kim YT, Lee YS. 2009. Effects of amino acids on the activities of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J Life Sci 19: 1321-1327. 

  3. Park SM, Kang BK, Chung TH. 1998. The effect of mildronate on serum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68-174. 

  4. Lieber CS. 1994. Alcohol and the liver. Gastroenterology 106: 1085-1105. 

  5. Palinski W, Witztum JL. 2000. Immune response to oxidative neoepitopes on LDL and phospholipids modulate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J Intern Med 247: 371-380. 

  6. Willcox JK, Ash SL, Catiqnani GL. 2004. Antioxidants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Crit Rev Food Sci Nutr 44: 275-295. 

  7. Hong BK, Eom SH, Lee CO, Lee JW, Jeong JH, Kim JK, Cho DH, Yu CY, Kwon YS, Kim MJ. 2007. Biological activities and bioactive compounds in the extract of Acer tegmentosum Maxim. stem. Korean J Medicinal Corp Sci 15: 296-303. 

  8. Hur JM, Jun M, Yang EJ, Choi SH, Park JC, Song KS. 2007. Isolation of isoprenoidal compounds from the stems of Acer tegmentosum Max. Kor J Pharmacogn 38: 67-70. 

  9. Kwon HN, Park JR, Jeon JR. 2008. Antioxidative and hepatopretective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89-1394. 

  10. Shin IC, Sa JH, Shim TH, Lee JH. 2006.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axim.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22-327. 

  11.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2.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3. Benzie IF, St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6. 

  14.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e var. int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15. Kikuzaki H, Nakatani N. 1993. Antioxidant effects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Technol 58: 1407-1410. 

  16.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17. Yoshizawa S, Horiuchi T, Fujiki H, Yoshida T, Okuda T, Sugimura T. 1987. Antitumor promoting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gallate, the main constituent of "tannin" in green tea. Phytother Res 1: 44-47. 

  18. Jung YT, Lee IS, Whang K, Yu MH. 2012. Antioxidant effects of Picrasma quassioides and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 extracts. J Life Sci 22: 354-359. 

  19. Sanchez-Gonzalez I, Jimenez-Escrig A, Saura-Calixto F. 200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s brewed using different procedures (Italian, espresso and filter). Food Chem 90: 133-139. 

  20. An BJ, Lee JT, Lee SA, Kwak JH, Park JM, Lee JY, Son JH. 2004.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44-250. 

  21. Lee SE, Seong NS, Bang JK, Park CG, Sung JS, Song J. 2003. Antioxidants activities of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27-134. 

  22.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3. Li XF, Li Y, Nam KW, Kim DS, Chio HD, Son BW. 2002.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the marine- derived fungus. Kor J Pharmacogn 33: 219-223. 

  24. Miller NJ, Rice-Evans C, Davies MJ, Gopinathan V, Milner A. 1993.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 Sci (Lond) 84: 407-412. 

  25. Rice-Evans C, Miller NJ. 1994. Total antioxidant status in plasma and body fluids. Methods Enzymol 234: 279-293. 

  26.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27. Chae JW, Kim JS, Jo BS, Kang SA, Park HJ, Joo SH, Chun SS, Cho YJ. 2011. Biological actis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Amelanchier asiatica fruits. J Appl Biol Chem 54: 238-243. 

  28. Aden DP, Fogel A, Plotkin S, Damjanov I, Knowles BB. 1979. Controlled synthesis of HBsAg in a differentiated human liver carcinoma-derived cell line. Nature 282: 615-616. 

  29. Lieber CS. 1991. Perspectives: do alcohol calories count? Am J Clin Nutr 54: 976-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